노자『도덕경』제11장
[원문]
“삼십폭공일곡 당기무 유거지용
三十輻 共一轂 當其無 有車之用”
“서른 개의 바퀴살이 하나의 바퀴통으로 모여 있는데,
‘바퀴통의 구멍(無)’이 있기 때문에, (수레가) 수레로서의 효용을 가지게 된다.”
[왕필주]
“轂所以能統三十輻者 無也 以其無能受物之故 故能以實統衆也”
“바퀴통이 서른 개의 바큇살을 총괄할 수 잇는 것은, 바퀴통의 구멍 때문이다.
그 구멍이 사물을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에, 실제로 여럿을 총괄할 수 있다.”
[원문]
“연식이위기 당기무 유기지용
埏埴以爲器 當其無 有器之用
착호유이위실 당기무 유실지용 고유지이위리 무지이위용
鑿戶牖以爲室 當其無 有室之用 故有之以爲利 無之以爲用”
“진흙을 빚어서 그릇을 만드는데, 그릇 속의 공간이 있기 때문에 (그릇이) 그릇으로서 효용을 가지게 된다. 창과 문을 뚫어서 방을 만드는데, 방 아닌 공간이 있기 때문에, (방이) 방으로서의 효용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공간을 차지한 것(有)’들이 ‘이롭게 되는 것(利)’은, ‘공간(無)’이 효용이 되기 때문이다.”
[왕필주]
“木埴壁所以成三者 而皆以無爲用也 言無者有之所以爲利 皆賴無以爲用也”
“나무·진흙·벽으로 (수레·그릇·방이라는) 세 가지를 완성하는 것은, 모두 공간을 효용으로 삼기 때문이다.
공간이란 ‘공간을 차지한 것(有)’들을 이롭게 하는 것이니, (공간을 차지한 것들은)
모두 공간에 의지하여 효용이 된다는 말이다.”
해설
1장의 해설에서 이미 언급했지만, 11장에서의 有는, 의식활동이 개입됨으로서 사물로 명확히 드러난 것에 대한 미유이고,
無는, 의식활동이 개입되지 않음으로서 사물로 드러나지 않은 것에 대한 비유이다.
물아일체의 상태에서는 모든 것이 有物混成, 곧 혼돈의 상태로 있지만, 의식활동이 개입되면서 구체적인 사물, 곧 이름을 가진 사물로 분별된다.
그런데, 사물은 언제나 그 이면(無)에 의해 드러나고, 효용이 있게 되는 것은, 사물의 필연적 존재방식이다.
11장은, 바로 사물이 無에 의해 드러나고, 효용이 있음을 단순한 비유를 통해 알려주고 있는 것인데, 40장의 주에서 “(도의) 움직임에서 모두 그 없는 바를 안다면, 사물에 통한다”는 의미이며, 또한 “천하의 사물은 모두 있음으로 낳음을 삼고, 있음이 시작하는 바는 없음으로 근본을 삼으니, 있음을 온전히 하고자 한다면, 잔드시 없음으로 되돌아가야 한다”라는 의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