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크리스마스 씰 |
 |
대한민국 한국의 전통의상은 한복이다. 한복은 상의인 저고리와, 하의인 바지, 치마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여성의 한복은 상의가 짧고 하의는 길어 단정하고 아담한 것이 특징이다. 한국인은 백의민족으로 불릴 만큼 흰색을 선호했지만 흰옷은 주로 평민의 의복이었고 관원들의 의복은 주로 색복이었다. 또한 예복과 평상복의 구분이 있으며, 이에 여러 종류의 속옷이 따른다. 남녀별, 계절별, 성인과 어린이의 옷이 다르고 신분에 따라 모양과 색이 달라지는 것도 한복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
|
 |
영국 오랜 전통을 지닌 영국의 전통의상은 스코틀랜드식 킬트(Kilt)이다. 킬트는 세로로 주름이 잡힌 느슨한 스커트로서 길이는 허리에서 무릎에 닿을 정도이다. 본래는 집안이나 신분을 나타내는 타탄 체크(Tartan check) 의상으로, 주로 스코틀랜드 고지인(高地人)이나 군인이 착용하였다. ??페일베그(feile-beag:작은 가리개)??라고도 불리는 이 옷은 원피스 형태의 짧은 튜닉에 몸통 부분과 스커트로 분리된 모양이다. 킬트의 앞쪽 중앙에는 스포런(sporran)이라고 하는 작은 가죽주머니를 차는데 이는 식량을 넣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
|
 |
이집트 이집트인들은 뜨겁고 건조한 기후에 적응하기 위해 공기가 잘 통하는 마직천으로 허리 아래만 간단히 두르거나 느슨하게 휘둘러 입는 드레이퍼리(drapery)형 의상을 착용했다. 화려한 가발, 머리쓰개, 왕관 등은 왕족을 중심으로 한 강한 권력의 상징이었다. 왕은 투명한 얇은 리넨으로 된 직사각형 천과 함께 에이프런형의 ‘센모트'를 둘렀는데, 센모트는 헝겊이나 가죽에 보석이나 색색의 유리가루를 녹여 붙인 매우 정교하고 화려한 의상이다. 왕비의 옷은 직사각형의 반투명한 리넨 천의 가운데 목둘레선을 대었고 양 옆선이 터져 있으며, 노예계급은 맨몸을 거의 드러내는 간단한 ‘로인클로스'를 걸쳤다. |
|
 |
인도 인도의 전통의상은 여성들이 착용하는 '사리(Sari)'와 남성들이 입는 '도띠(Dhoti)'로 나뉜다. 사리는 오늘날에도 인도 전역에서 볼 수 있는데 바느질이 안 된 긴 천의 형태이며, 입는 방법이나 형태는 지역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다. 사리 끝을 앞에서 뒤로 넘기는 것은 남부식이고, 뒤에서 앞으로 넘기는 방법은 북부식이다. 또 외출시에는 사리의 남는 부분을 머리에 뒤집어쓰기도 한다. 도띠는 사리처럼 한 장의 천으로 되어 있지만 길이가 짧고 흰색이 대부분이다. 입는 방법은 한쪽 끝에서 시작해 입는 사리와 달리 가운데부터 시작해 입는다. |
|
 |
중국 중국의 대표적인 전통의상은 ??치파오??이다. 자연스럽게 흘러내리는 선과 우아한 모양이 특징인 치파오는 16C 중엽 만족의 민족의상이었는데, 중국의 청나라 때부터 남녀 공용으로 널리 착용하게 되었다. 원래 박스형이었던 치파오는 점차 허리선이 들어가고 몸이 피트되면서 인체의 굴곡을 살려주는 형태로 변화되었다. 이는 서양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며, 옆선이 트이도록 한 슬릿(slit)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
|
 |
러시아 전통적 러시아 의상은 남자의 경우 손으로 짠 모직바지 위에 수가 놓아진 화려한 색상의 셔츠와 옆구리 쪽으로 잠그도록 되어 있는 ??꼬소보르트카??라는 아마포 셔츠가 있다. 이밖에 모피모자를 쓰고 ??랍찌??라 불리는 보리수 껍질로 엮은 신발을 신었으며, 축제일에는 가죽이나 모피로 만든 ??발렌끼??를 신었다. 여성의 경우 대개 손수 짠 아마포 셔츠와 앞치마가 달린 모직치마 ??뽀녜바??에 머리에는 머리수건 혹은 기혼여성인 경우 높다란 머리띠를 하였다. 나이가 든 처녀들은 긴 부인복과 치마의 중간 정도 되는??사라판??을 입었다. |
|
 |
네덜란드 네덜란드의 전통의상에는 유난히 꽃무늬가 많이 들어간다. 17C 미술품을 통해서도 종종 드러나는 네덜란드의 전통의상은 하이디 같은 나막신에 귀여운 고깔모 등이다. 관광산업에 종사하는 네덜란드인들이 여행객을 위해 전통의상을 입기도 한다. 대표적인 의상을 하나로 말하기 어려울 만큼 네덜란드에는 지역별로 다양한 전통의상이 존재하는데 특히 제이란드(Zeeland)와 프리스란드(Friesland), 북동 펠유워(Veluwe), 한때 어촌이었던 에이셀(Ijsselmeer) 호수 근처의 폴런담(Volendam)과 마르켄(Marken)에서는 전통의상을 입고 생활하는 사람들을 쉽게 만날 수 있다. |
|
 |
그리스 그리스의 의상은 현대의상과 달리 앞이 트여 있지 않다. 벨트로 고정시키는 부분을 제외하면 몸에 붙지 않아 자연스런 주름을 형성하는 헐렁한 의상이다. 기본 의상은 면이나 울로 된 '튜닉'과 '키톤'인데, 튜닉은 남녀 공용의 옷이며, 키톤은 좀 더 심플하고 옆이 트이지 않은 형태의 튜닉이라 할 수 있다. '팔라'는 음악가나 연극인, 여성이 착용했는데 키톤과 겉옷 사이에 입는 것으로 양옆이 트여 있으며 어깨에서 고정시킨다. 여기에 땅바닥까지 닿는'히마티온'을 어깨에 둘러 멋을 냈다. |
|
 |
멕시코 남자들은 면으로 된 셔츠와 바지를 입고, '후아라체(huardches)'라는 가죽으로 된 샌들을 신는다. 또한 '솜브레로(somvrero)'라는 창이 넓고 끝이 말려 올라간 모자를 쓰는데, 이는 뜨거운 태양 빛을 차단해 주는 역할을 한다. 날씨가 춥거나 비가 올 때는 판쵸의를 입는다. 여자들은 긴 블라우스와 긴 스커트를 입고, '레보소(rebozo)'라는 숄로 머리를 덮어 추위를 피했다. |
|
 |
미국 미국은 영국에서 이주해온 이주민에 의해 건설된 나라여서인지 전통의상도 유럽의 의상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특히 여성 의상의 경우 더욱 그러한데, 다만 서부 개척시대를 상징하는 카우보이 복장은 미국의 정신이 잘 드러나 있는 만큼 미국 남성의 전통복장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가죽점퍼와 챙이 넓고 독특한 ‘텐갤런 햇(Tengallon hat)'은 카우보이 복장을 대표하며 동시에 미국의 건국정신을 잘 표현하고 있다. |
|
 |
케냐 사하라사막 이남의 의복 형태는 기후와 관습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도시 사람들은 대개 서양식 옷을 입으며 일부 도시 주민들과 농촌 사람들은 다채로운 색상과 대담한 형태를 특징으로 하는 아프리카식 전통의상을 입는다. 성별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어 남자는 밝고 붉은 색의 천을 똑같이 입는 반면, 여자는 화려한 디자인의 의복을 입고 구슬을 엮어 만든 목걸이를 걸친다. 화려하면서도 독특한 장신구는 아프리카의 전통의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요소이다. |
|
 |
일본 일본의 전통의상은 '기모노'이다. 기모노는 나라시대 초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일본인 남녀가 즐겨 입어온 의상으로 중국의 파오(袍) 양식에서 유래했다. 기모노의 기본형은 발목까지 내려오는 길이에 소매는 길고 넓으며 목부분이 V자로 패여 있으며 단추나 끈 없이 왼쪽 옷자락을 오른쪽으로 여며 허리에 오비(帶)를 두르는 형태이다. 기모노는 원래 일본 옷은 아니지만 17~18세기 일본의 의상 디자이너들에 의해 오늘날의 형태로 발전, 세계에서 가장 우아한 옷의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
첫댓글 한번에 세계 의상을 조망할 수 있어서 좋구나...
크리스마스씰이네~공부도 되고 따뜻한 마음도 나눌 수 있어 더 좋으네요! 연말연시, 어려운 친구들이 많을텐데ㅠㅠ 올해엔, 정을 나누는 따뜻한 크리스마스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