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계대명사 정리
https://blog.naver.com/jydecor/20055357089
✪ 계대명사란 주절 내의 명사나 대명사를
대신하면서 주절과 종속절을 연결하는
"접속사 + 대명사"의 역할을 한다.
또한 관계대명사가 이끄는 형용사절은
앞에 있는 명사나 대명사를 수식하게 되는데
이 명사나 대명사를 관계대명사의 선행사
(antecedent)라고 한다. 두개의 문장이
하나의 문장속으로 들어가는 개념인데
가령, This is my pen. I bought it in Japan.
이 문장을 이 펜은 내가 일본에서 샀던 거야.
라는 한 문장으로 만들 때 관계대명사가
사용되는 것이다.
두 문장에서 동일한 명사 pen이 반복되는데,
이때 뒷 문장,즉 앞의 펜을 수식하는 문장에서
it은 목적어의 역할을 한다.
This is my pen which I bought in Japan.
뒷 문장의 it이 사라지고 관계대명사 which가
나타났다. 이때 which는 뒷 문장에서 목적어로
사용되었던 it가 변한거라서
'목적격 관계대명사'라고 부른다.
이렇게 관계대명사는 대명사로서 문장의 어떤
단어를 받아 접속사의 역할을 해가면서 그 말을
뒤에 나오는 절(clause)[즉,관계대명사절]에
이어주어 어떠한 관계를 맺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런 관계대명사절은 앞의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절이라고 생각하면되는데
주어,목적어등이 관계사로 앞으로 빠지기때문에
불완전한 문장이되는게 큰 특징이다.
즉 주어가 없다거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문장이되는 것이다.일반적인 절과의 차이점이라고
알아두면 좋겠다.
✿주격 관계대명사 :who,which, that
-사람 : who, that
-동물,사물 : which,that
-사물(선행사를 포함한경우) : what
▶선행사가 사람이면 who, that
▶선행사가 동물,사물이면 which, that
•My friend who has a job in Seoul
came down to Busan to meet me
on the weekend.(서울에 직장이 있는 친구가
주말에 나를 만나러 부산에 내려왔다.)
☞여기서 선행사는 My friend, 사람이다.
그래서 관계대명사 who가 왔다.
단, 관계대명사 that은 선행사가 사람이던
사물이던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관계대명사에서 알아두어야 할 것은
관계대명사가 이끄는 절[관계대명사 절]은
불완전한 문장이라는 것인데,선행사가
관계대명사절 속에서 주어,목적어 등의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My friend who has a job in Seoul
came down to Busan to meet me
on the weekend.(서울에 직장이 있는 친구가
주말에 나를 만나러 부산에 내려왔다.)
이 문장에서 관계대명사 who 이하를 보면
has앞에 주어가 생략되어 있다.
주어가 선행사와 같기 때문에 반복을 피하기
위해서 생략이 되었다.
그래서 영어문법 시험에서 관계대명사인지
단순한 부사절인지 등을 구별하기 위해서는
완전한 문장인지 아닌지를 보면 된다.
•I have a friend. +
•He lives in L.A.
⇒ I have a friend who lives in L.A.
(나는 L.A.에 사는 친구가 하나 있다.)
❋주격 관계대명사 다음에 오는 동사는
선행사의 인칭과 수에 일치한다.
•I have a friend who lives in L.A.
[a friend → lives]
(나는 L.A.에 사는 친구가 하나 있다.)
•I have two friends who live in L.A.
[two friends→ live]
(나는 L.A.에 사는 두 친구가 있다.)
✿소유격 관계대명사 :whose/ whose,of which
-사람 : whose
-동물,사물 : whose/of which
▶선행사가 사람이면 whose
▶선행사가 동물,사물 이면 whose,of which
•I'm working on a report, the subject of which
is a product that will be released soon.
(나는 보고서를 작성 중인데, 그 주제는
곧 출시될 제품이다.)
☞선행사는 report이고 subject의 주체가
바로 그 리포트로 소유격이다.
사물이 선행사이기 때문에 of which를 쓴다.
•He is a novelist.+
(그는 소설가이다.)
•His novel is widely read.
(그의 소설은 널리 읽힌다.)
⇒He is a novelist whose novel is widely read.
(그는 그 소설이 널리 읽히는 소설가이다.)
▶소유격 (whose)는 선행사 a novelist 를 받아
novel을 수식하는 소유격 구실을 한다.
•I know a girl.+
•Her name is Susan.
⇒I know a girl whose name is Susan.
(나는 그 이름이 수잔인 한 소녀를 알고 있다.)
✿목적격 관계대명사 :whom,which,that
-사람 : who(m), that
-동물,사물 : which,that
-사물(선행사를 포함한경우) : what
▶선행사가 사람이면 whom, that
▶선행사가 동물,사물이면 which, that
•My friend whom I met yesterday lives in Seoul.
(내가 어제 만난 내 친구는 서울에 산다.)
이 문장에서 선행사는 사람인 My friend이다.
그래서 whom이 왔다.
마찬가지로 관계대명사가 이끄는 절
[관계대명사 절]에는 목적어가 생략이 되었다.
선행사가 목적어와 동일하기 때문이다.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생략이 가능하다는
점도 알아두길.
•That woman I introduced to you is my boss.
(내가 너에게 소개해준 저 여자가 내 상사야.)
여기서 선행사는 that woman,
I introduced to you가 목적격 관계대명사절로
관계대명사 whom이 생략이 되어 있다.
관계대명사라는 것은 introduced 뒤에
목적어가 없다는 것으로 알 수 있다.
•This is the boy. +
(이 아이가 그 소년이다.)
•I wanted to see him.
(나는 그를 보고 싶었다.)
⇒This is the boy whom I wanted to see.
(이 아이가 내가 보고 싶었던 그 소년이다.)
•I know a girl.+
•Tony likes her.
⇒ I know a girl who(m) Tony likes.
(나는 토니가 좋아하는 한 소녀를 안다.)
✪ 관계대명사가 이끄는 절에는 선행사에
해당하는 품사가 생략이 된다고 했다.
그런데 순간 헷갈릴 수 있어서 이 문제를
다루어 보도록 하겠다.
아래 문장은 맞는 문장일까?
•That man is a marketer whom we believe
was hired to promote this new product.(X,틀림)
☞선행사는 a marketer 이다.
그런데 선행사 whom이 이끄는 문장에서
주어가 we가 나왔다.
주어가 있다는 이야기는 그럼 목적격
관계대명사 겠구나...해서 whom이 맞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we belive는 단순한 삽입절이다.
생략해도 된다.whom이하의 문장에서
주어가 없는 것이니 주격이 와야 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말해야 한다.
•That man is a marketer who we believe
was hired to promote this new product.(○,옳음)
(저 남자는 이 신제품을 홍보하기 위해 고용된
-우리가 믿어 보는-마케터이다.)
✪ 주격관계대명사(who,which,that)의 특징
관계대명사는 형용사의 역할을 하여 앞에
있는 명사를 수식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렇다면 주격 관계대명사란 무엇일까요?
관계대명사 절은 앞의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절이라고 생각하면되는데
주어,목적어등이 관계사로 앞으로
빠지기때문에 불완전한 문장이되는게
큰 특징이다.가령 "선행사+관계대명사
+주어+동사+목적어"로 된 문장이 있다고
하였을 때,관계대명사 뒤에 오는 문장에서
주어가 빠진 경우를 주격관계대명사라고
한다.이러한 특징 때문에 주격관계대명사
뒤에는 동사가 바로 보이며,
동사를 수식하는 부사가 동사 앞에
오는 경우도 종종 있다.
또한 선행사에 따라 관계대명사의 종류가
결정되는데,명사가
사람이라면 who라는 관계대명사를~
동물 또는 사물에는 which를~
그리고 who와 which는 that으로 대신
사용이 가능하다.
이 밖에도 주격관계대명사 뒤 문장에
나오는 동사는 선행사의 시제/수/태와
일치해야 하며 주격관계대명사 뒤에
be 동사가 있을 시 생략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예문 1]
•I have a sister who makes me angry.
(나는 나를 화나게 하는 여동생이 있다.)
①선행사 a sister과 who 뒤의 문장에서
주어가 빠진 동사 makes가 곧바로
온 것을 보아 who는 주격관계대명사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②선행사 a sister이 3인칭 단수이기 때문에
makes로 수를 일치시킨 것을 알 수 있다.
③I have a sister who always makes me angry.
위 문장처럼 동사 앞에 부사 always를 붙여
사용할 수 있다.
[예문 2]
•I have books which are hard to read.
(나는 읽기 어려운 책들을 가지고 있다.)
①선행사 books와 뒤 문장에서 be 동사
are가 바로 왔기 때문에 which가
주격관계대명사로 사용된 것을 알 수 있다.
②선행사 books가 복수 형태이기 때문에
수 일치를 위해 be 동사 are이 사용되었다.
③ "관계대명사+be 동사"는 생략이 가능하기
때문에
•I have books which are hard to read.
(나는 읽기 어려운 책들을 가지고 있다.)
⇒I have books hard to read.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주격 관계절의 선행사와 동사의 수 일치
주격 관계절은 선행사가 주어 역할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동사의 수 일치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Applicants who don't have South Korean
citizenship have a disadvantage over other
job seekers.(한국 국적을 갖고 있지 않은
지원자들은 다른 구직자들보다 불리하다.)
☞applicants 라는 복수가 관계절의 선행사이므로
관계절의 동사는 복수형인 don't have가 나왔다.
출처:Internet,etc. & JOHN KIM's additional work
***************
Ref.https://cafe.daum.net/4fcl/SGgG/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