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송씨 종친회
 
 
 
카페 게시글
역 경 스크랩 주역전의대전권지십구 -離上艮下 火山旅 (리상간하 화산려)
신선 추천 0 조회 79 11.03.03 06:49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離上艮下 火山旅 (리상간하 화산려)

旅 ; 군사, 나그네 려


[傳] 旅는 序卦에 豊은 大也니 窮大者는 必失其居라 故受之以旅라하니라 豊盛이 至於窮極이면 則必失其所安이니 旅所以次豊也라 爲卦 離上艮下하니 山은 止而不遷하고 火는 行而不居하여 違去爲(而)不處之象이라 故爲旅也요 又麗(리)乎外는 亦旅之象이라.

려는 서괘에 풍은 대야니 궁대자는 필실기거라. 고수지이려라하니라. 풍성이 지어궁극이면 즉필실기소안이니 려소이차풍야라. 위괘 리상간하하니 산은 지이불천하고 화는 행이불거하여 위거위(이)불처지상이라. 고위려야요, 우리호외는 역려지상이라.

 旅卦는 <序卦傳>에 “?은 큼이니, 큼을 궁극히 한 자는 반드시 거처를 잃는다. 그러므로 旅卦로써 받았다.” 하였다. ?盛함이 궁극함에 이르면 반드시 편안한 바를 잃으니, 旅卦가 이 때문에 ?卦의 다음이 된 것이다. 卦됨이 離가 위에 있고 艮이 아래에 있으니, 山은 멈추어 움직이지 않고 火는 행하여 머물지 아니하여 떠나가서 거처하지 않는 象이다. 그러므로 旅가 되었고, 또 밖에 걸려 있음은 또한 旅(나그네)의 象이다.

違 ; 어길, 떠날 위

旅는 小亨하고 旅貞하여 吉하니라.

(려는 소형하고 려정하여 길하니라.)

旅는 조금 亨通하고 旅의 道가 貞正하여 吉하다.

[傳] 以卦才言也니 如卦之才면 可以小亨이요 得旅之貞正而吉也라.

이괘재언야니 여괘지재면 가이소형이요 득려지정정이길야라.

 卦才로 말하였으니, 卦의 재질과 같으면 조금 亨通할 수 있고 旅의 貞正함을 얻어 吉하다.


[本義] 旅는 ?(羈)旅也라 山止於下하고 火炎於上하니 爲去其所止而不處之象이라 故爲旅라 以六五得中於外而順乎上下之二陽하고 艮止而離 麗於明이라 故其占이 可以小亨이요 而能守其旅之貞則吉이라 旅非常居니 若可苟者나 然道无不在라 故自有其正하니 不可須臾離也라.

려는 기(기)려야라. 산지어하하고 화염어상하니 위거기소지이불처지상이라. 고위려라. 상육오득중어외이순호상하지이양하고 간지이리리어명이라. 고기점이 가이소형이요 이능수기려지정즉길이라. 려비상거니 약가구자나 연도무부재라 고자유기정하니 불가수유리야라.

 旅는 나그네로 붙여있는 것이다. 山이 아래에 멈추고 火가 위에 타오르니, 머물던 곳을 떠나 거처하지 않는 象이 된다. 그러므로 旅라 한다. 六五가 밖에서 中을 얻고 上下의 두 陽에게 順하며, 艮은 멈추고 離는 밝음에 걸려 있다. 그러므로 占이 조금 亨通할 수 있고 旅의 貞道를 지키면 吉한 것이다. 旅는 일정한 거처가 있는 것이 아니니, 구차할 듯하나, 道는 있지 않은 곳이 없으므로 스스로 正道가 있는 것이니, 道는 잠시라도 떠나서는 안된다.

羈 ; 나그네살이 기   臾 ; 잠깐, 잠시 유

彖曰 旅小亨은 柔得中乎外而順乎剛하고 止而麗乎明이라 是以小亨旅貞吉也니

(단왈 려소형은 유득중호외이순호강하고 지이리호명이라. 시이소형려정길야니)

<彖傳>에 말하길 “旅가 조금 亨通함은 柔가 밖에서 中을 얻고 剛에게 順하며, 멈추고 밝음에 걸려 있다. 이 때문에 조금 亨通하고 旅의 道가 바루어 吉한 것이니,

[傳] 六上居五는 柔得中乎外也요 麗乎上下之剛은 順乎剛也요 下艮止, 上離麗는 止而麗於明也라 柔順而得在外之中하고 所止能麗於明하니 是以小亨이요 得旅之貞正而吉也라 旅困之時에 非陽剛中正이 有助於下면 不能致大亨也라 所謂得在外之中은 中非一揆니 旅有旅之中也라 止麗於明이면 則不失時宜하리니 然後에 得處旅之道라.

육상거오는 유득중호외야요, 리호상하지강은 순호강야요, 하간지, 상리리는 지이리어명야라. 유순이득재외지중하고 소지능리어명하니 시이소형이요 득려지정정이길야라. 려곤지시에 비양강중정이 유조어하면 불능치대형야라. 소위득재외지중은 중비일규니 려유려지중야라. 지리어명이면 즉부실시의하리니 연후에 득처려지도라.

 六이 위로 五에 거함은 柔가 밖에서 中을 얻은 것이요, 上下의 剛에 걸려 있음은 剛에게 순함이요, 아래의 艮은 멈추고 위의 離는 걸림은 멈추고 밝음에 걸려 있는 것이다. 柔順하면서 밖에 있는 中을 얻고 멈춘 바가 밝음에 걸려 있으니, 이 때문에 조금 亨通하고 旅의 貞正함을 얻어 吉한 것이다. 나그네로 곤궁할 때에 陽剛中正이 아래에서 도와주지 않으면 크게 亨通함을 이룰 수 없다. 이른바 밖에 있는 中을 얻었다는 것은 中은 한 가지 法이 아니니, 나그네에게는 나그네의 中이 있는 것이다. 멈춤이 밝음에 걸려 있으면 때의 마땅함을 잃지 않으니, 그런 뒤에야 나그네에 처하는 道를 얻게 된다.

麗 ; 걸리 리   揆 ; 헤아릴, 법 규


[本義]以卦體卦德으로 釋卦辭라.

이괘체괘덕으로 석괘사라.

 卦體와 卦德으로 卦辭를 해석하였다.

旅之時義 大矣哉라.

(려지시의 대의재라.)

旅의 때와 義가 크다.”

[傳] 天下之事 當隨時各適其宜로되 而旅爲難處라 故로 稱其時義之大하니라.

천하지사 당수시각적기의로되 이려위난처라 고로 칭기시의지대하니라.

 천하의 일은 때에 따라 각각 그 마땅함에 맞게 하여야 하는데, 旅는 대처하기가 어려우므로 그 때와 義가 크다고 말한 것이다.


[本義] 旅之時爲難處라.

려지시위난처라.

 旅의 때는 처하기 어려움이 된다.

象曰 山上有火 旅하니 君子 以明愼用刑하며 而不留獄하니라.

[傳] 火之在高에 明无不照하니 君子觀明照之象하여 則以明愼用刑하나니 明不可悖라 故戒於愼이요 明而止亦愼象이라 觀火行不處之象하면 則不留獄하니 獄者는 不得已而設이니 民有罪而入이면 豈可留滯淹久也리오.

화지재고에 명무부조하니 군자관명조지상하여 즉이명신용형하나니 명불가패라 고계어신이요 명이지역신상이라. 관화행불처지상하면 즉불류옥하니 옥자는 부득이이설이니 민유죄이입이면 기가류체엄구야리오.

 불이 높은 곳에 있음에 밝음이 비추지 않음이 없으니, 君子가 밝게 비추는 象을 보고서 刑을 씀을 밝게 하고 삼가니, 밝음을 믿을 수 없기 때문에 삼가라고 경계한 것이요, 밝고 멈춤은 또한 삼가는 象이다. 불이 번져가고 머물지 않는 象을 관찰하면 獄事를 지체하지 않으니, 獄은 부득이하여 만든 것이니, 백성들이 罪가 있어 들어오면 어찌 지체하여 오랫동안 머물게 하겠는가.

淹 ; 담글, 오랠 엄


[本義] 愼刑如山이요 不留如火라.

신형여산이요 불류여화라.

 刑을 삼가기를 山과 같이 하고 지체하지 않기를 불과 같이 하는 것이다.

初六 旅??니 斯其所取災니라.

(초육은 려쇄쇄니 사기소취재니라.)

初六은 나그네가 ??(자질구레함)하니, 이 때문에 재앙을 취하게 된다.

[傳]六以陰柔로 在旅之時하여 處於卑下하니 是柔弱之人이 處旅困而在卑賤이니 所存汚下者也라 志卑之人이 旣處旅困이면 鄙猥?細하여 无所不至하리니 乃其所以致悔辱, 取災咎也라 ??는 猥細之狀이라 當旅困之時하여 才質如是하니 上雖有援이나 无能爲也라 四는 陽性而離體니 亦非就下者也요 又在旅하니 與他卦爲大臣之位者異矣니라.

육이음유로 재려지시하여 처어비하하니 시유약지인이 처려곤이재비천이니 소존오하자야라. 지비지인이 기처려곤이면 비외쇄세하여 무소부지하리니 내기소이치회욕, 취재구야라. 쇄쇄는 외세지상이라 당려곤지시하여 재질여시하니 상수유원이나 무능위야라. 사는 양성이리체니 역비취하자야요 우재려하니 여타괘위대신지위자이의니라.

 六이 陰柔로서 旅의 때에 있으면서 卑下한 곳에 처했으니, 이는 柔弱한 사람이 나그네의 困窮함에 처하고 비천한 자리에 있는 것이니, 간직한 바가 더럽고 낮은 것이다. 뜻이 낮은 사람이 이미 나그네의 곤궁함에 처하면 야비하고 추잡스러우며 자질구레하여 이르지 않는 바가 없으리니, 이는 뉘우침과 모욕을 부르고 재앙과 허물을 취하는 所以이다. ??(쇄쇄)는 야비하고 추잡스러우며 자질구레한 모양이다. 나그네의 곤궁할 때를 당하여 재질이 이와 같으니, 위에 비록 應援이 있으나 큰 일을 할 수가 없다. 四는 陽性이 離體이니 또한 아래로 내려오는 자가 아니며, 또 旅에 있으니 다른 卦에서 大臣의 지위가 된 것과는 다르다.

? ; 자잘할 쇄   災 ; 재앙 재   猥 ; 함부로, 비루할 외


[本義] 當旅之時하여 以陰柔居下位라 故其象占如此하니라.

당려지시하여 이음유거하위라 고기상점여차하니라.

 旅의 때를 당하여 陰柔로서 낮은 지위에 거하였으므로 그 象과 占이 이와 같은 것이다.

象曰 旅??는 志窮하여 災也라.

(상왈 려쇄쇄는 지궁하여 재야라.)

<象傳>에 말하길 “나그네가 ??함은 뜻이 궁하여 재앙이 있는 것이다.”

[傳] 志意窮迫하여 益自取災也라 災?은 對言則有分이요 獨言則謂災患耳라.

지의궁박하여 익자취재야라. 재생은 대언즉유분이요 독어즉위재환이라.

 意志가 窮迫하여 더욱 스스로 재앙을 취하는 것이다. 災?은 상대하여 말하면 분별이 있고 홀로(하나로) 말하면 災患을 이른다.

? ; 눈에백태낄, 허물, 재앙 생  

六二는 旅卽次하여 懷其資하고 得童僕貞이로다.

(육이는 려즉차하여 회기자하고 득동복정이로다.)

六二는 나그네가 머무는 곳에 나아가 物資를 간직하고 童僕(어린 종과 큰 종)의 貞(충직함)을 얻도다.

次 ; 버금, 다음, 머무를 차


[傳] 二有柔順中正之德하니 柔順則衆與之요 中正則處不失當이라 故能保其所有하고 童僕亦盡其忠信이라 雖不若五有文明之德, 上下之助나 亦處旅之善者也라 次舍는 旅所安也요 財貨는 旅所資也요 童僕은 旅所賴也라 得就次舍하여 懷畜其資財하고 又得童僕之貞良은 旅之善也라 柔弱在下者는 童也요 剛壯處外者는 僕也니 二柔順中正이라 故得內外之心이라 在旅에 所親比者는 童僕也라 不云吉者는 旅寓之際에  得免於災?면 則已善矣일새라.

이유유순중정지덕하니 유순즉중여지요 중정즉처부실당이라. 고능보기소유하고 동복역진기충신이라. 수불약오유문명지덕, 상하지조나 역처려지선자야라. 차사는 려소안야요 재화는 려소자야요 동복은 려소뢰야라. 득취차사하여 회축기자재하고 우득동복지정량은 려지선야라. 유약재하자는 동야요 강장처외자는 복야니 이유순중정이라. 고득내외지심이라. 재려에 소친비자는 동복야라. 불운길자는 려우지제에 득명어재려면 즉이선의일새라.

 二는 柔順하고 中正한 德이 있으니, 柔順하면 사람들이 도와주고 中正하면 처함이 마땅함을 잃지 않는다. 그러므로 그 소유함을 보존하고 童僕들 또한 忠信을 다하는 것이다. 비록 文明의 德과 上下의 도움이 있는 오만은 못하나 또한 旅에 대처하기를 잘하는 자이다. 次舍는 나그네가 편안히 쉴 수 있는 곳이요, 財貨는 나그네가 이용하는 것이요, 童僕은 나그네가 의뢰하는 바이다. 머무는 집에 나아가 물자와 재물을 간직하고 또 童匐의 貞良함을 얻음은 나그네의 좋음이다. 柔弱하고 아래에 있는 자는 童이요, 强壯하고 밖에 있는 자는 僕이니, 二가 柔順하고 中正하므로 內外의 人心을 얻은 것이다. 나그네에게 있어 가까이 하는 자는 童僕이다. 吉하다고 말하지 않은 것은 나그네로 부쳐있을 때에는 재앙과 위태로움만 면할 수 있으면 이미 좋기 때문이다.


[本義] 卽次則安하고 懷資則裕하고 得其童僕之貞信則无欺而有賴하니 旅之最吉者也라 二有柔順中正之德이라 故其象占如此하니라.

즉차즉안하고 회자즉유하고 득기동복지정신즉무사이유뢰하니 려지최길자야라. 이유유순중정지덕이라 고기상점여차하니라.

 머무는 곳에 나아가면 편안하고 물자를 간직하면 여유가 있고 동복의 정신함을 얻으면 속이지 않아 의뢰함이 있으니, 나그네로서 가장 길한 것이다. 이는 유순하고 중정한 덕이 있으므로 그 상과 점이 이와 같은 것이다.

象曰 得童僕貞은 終无尤也리라.

(상왈 득동복정은 종무우야리라.)

<象傳>에 말하길 “童僕의 貞을 얻음은 끝내 허물이 없으리라.”

尤 ; 더욱, 허물 우


[傳] ?旅之人은 所賴者童僕也어늘 旣得童僕之忠貞하니 終无尤悔矣라.

기려지인은 소뢰자동복야어늘 기득동복지충정하니 종무우회의라.

 나그네로 부쳐있는 사람은 의뢰하는 자가 童僕인데 이미 童僕의 忠貞함을 얻었으니, 끝내 허물과 뉘우침가 없으리라.

九三은 旅焚其次하고 喪其童僕貞하니 ?하니라.

(구삼은 려분기차하고 상기동복정하니 려하니라.)

九三은 나그네가 머무는 곳을 불태우고 童僕의 믿음(貞)을 잃었으니, 위태롭다.

[傳] 處旅之道는 以柔順謙下爲先이어늘 三이 剛而不中하고 又居下體之上, 與艮之上하여 有自高之象하니 在旅而過剛自高는 致困災之道也라 自高則不順於上이라 故上不與而焚其次하니 失所安也니 上離爲焚象이라 過剛則暴下라 故下離而喪其童僕之貞信하니 謂失其心也니 如此則危?之道也라.

처려지도는 이유순겸하위선이어늘 삼이 강이부중하고 우거하체지상, 여간지상하여 유자고지상하니 재려이과강자고는 치곤재지도야라. 자고즉불순어상이라 고상불여이분기차하니 실소안야니 상리위분상이라. 과강즉폭하라 고하리이상기동복지정신하니 위실기심야니 여차즉위려지도야라.

 나그네로 처하는 道는 柔順함과 謙遜함을 우선으로 삼는데, 三은 剛하고 中하지 못하며 또 下體의 위와 艮의 위에 거하여 스스로 높은 체하는 象이 있으니, 나그네로 있으면서 지나치게 剛하고 스스로 높은 체함은 곤궁과 재앙을 부르는 道이다. 스스로 높은 체하면 위에 순하지 못하므로 위가 더불지 아니하여 머무는 곳을 불태우니, 이는 편안한 바를 잃은 것이니, 위의 離는 불타는 象이 된다. 지나치게 剛하면 아랫사람들에게 포악하게 하므로 아랫사람들이 離叛하여 童僕의 貞信을 잃는 것이니, 이는 마음을 잃음을 이르니, 이와 같으면 위태로운 道이다.


[本義] 過剛不中하여 居下之上이라 故其象占如此라 喪其童僕이면 則不止於失其心矣라 故貞字連下句爲義니라.

과강부중하여 거하지상이라 고기상점여차라. 상기동복이면 즉부지어실기심의라. 고정자연하구위의니라.

 지나치게 剛하고 中하지 못하면서 下卦의 위에 거하였으므로 그 象과 占이 이와 같은 것이다. 童僕을 잃으면 마음을 잃는 데에만 그치지 않는다. 그러므로 貞字를 아래 句에 연결하여 뜻을 삼는다.

象曰 旅焚其次하니 亦以傷矣요 以旅與下하니 其義喪也라.

(상왈 려분기차하니 역이상의요 이려여하하니 기의상야라.)

<象傳>에 말하길 “나그네가 머무는 곳을 불태우니 또한 해롭고, 나그네로서 아래를 대하는 道가 이와 같으니, 의리상 상실할 것이다.”

[傳] 旅焚失其次舍하니 亦以困傷矣요 以旅之時而與下之道如此하니 義當喪也라 在旅而以過剛自高로 待下하면 必喪其忠貞이니 謂失其心也라 在旅而失其童僕之心이면 爲可危也라.

려분실기차사하니 역이곤상의요 이려지시이여하지도여차하니 의당상야라. 재려이이과강자고로 대하하면 필상기충정이니 위실기심야라. 재려이실기동복지심이면 위가위야라.

 나그네가 머무는 집을 불태워 잃었으니, 또한 곤궁하고 해로우며, 나그네의 때에 아래를 대하는 道가 이와 같으니 의리상 마땅히 상실할 것이다. 나그네로 있으면서 지나치게 강하고 스스로 높은 체함으로 아랫사람들을 대하면 반드시 忠貞을 잃을 것이니, 그 마음을 잃음을 이른다. 나그네로 있으면서 童僕의 마음을 잃는다면 위험스러움이 된다.


[本義] 以旅之時而與下之道如此하니 義當喪也라.

이려지시이여하지도여차하니 의당상야라.

 나그네의 때에 아래를 대하는 道가 이와 같으니, 의리상 마땅히 상실하게 된다.

九四는 旅于處하고 得其資斧하나 我心은 不快로다.

(구사는 려우처하고 득기자부하나 아심은 불쾌로다.)

구사는 나그네로 거처하고 물자(노자)와 도끼를 얻으나 자신의 마음은 불쾌하도다.

斧 ; 도끼 부


[傳] 四는 陽剛이나 雖不居中이나 而處柔하고 在上體之下하여 有用柔能下之象하니 得旅之宜也라 以剛明之才로 爲五所與하고 爲初所應하니 在旅之善者也라 然四非正位라 故雖得其處止나 不若二之就次舍也라 有剛明之才하여 爲上下所與하니 乃旅而得貨財之資, 器用之利也니 雖在旅爲善이나 然上无剛陽之與하고 下唯陰柔之應이라 故不能伸其才, 行其志하여 其心不快也라 云我者는 據四而言이라.

사는 양강이나 수불거중이나 이처유하고 재상체지하하여 유용유능하지상하니 득려지의야라. 이강명지재로 위오소여하고 위초소응하니 재려지선자야라 연사비정위라. 고수득기처지나 불약이지취차사야라. 유강명지재하여 위상하소여하니 내려이득화재지자, 기용지리야니 수재려위선이나 연상무강양지여하고 하유음유지응이라. 고불능신기재, 행기지하여 기심불쾌야라. 운아자는 거사이언이라.

 四는 陽剛이니, 비록 中에 거하지 못했으나 柔에 처하고 上體의 아래에 있어 柔를 쓰고 몸을 낮추는 象이 있으니, 나그네의 마땅함을 얻은 것이다. 剛明한 재질로 五의 상대하는 바가 되고 初의 應하는 바가 되었으니, 나그네로 있으면서 잘 처신하는 자이다. 그러나 四는 正位가 아니기 때문에 비록 거처할 곳을 얻었으나 머무는 집으로 나아간 二만은 못하다. 剛明한 재질이 있어 上下의 상대하는 바가 되었으니, 나그네로서 財貨의 物資와 器用의 이로움을 얻은 것이니, 비록 나그네에 있어서는 좋음이 되나 위에 剛陽의 도움이 없고 아래에 오직 陰柔가 應하기 때문에 그 재주를 펴고 그 뜻을 행하지 못하여 그 마음이 불쾌한 것이다. 我라고 말한 것은 四를 근거하여 말한 것이다.


[本義] 以陽居陰하고 處上之下하여 用柔能下라 故其象占如此라 然非其正位요 又上无剛陽之與하고 下唯陰柔之應이라 故其心이 有所不快也라.

이양거음하고 처상지하하여 용유능하라 고기상점여차라. 연비기정위요 우상무강양지여하고 하유음유지응이라 고기심이 유소불쾌야라.

 陽으로서 陰位에 거하고 上卦의 아래에 처하여 柔를 쓰고 몸을 낮추기 때문에 그 象과 占이 이와 같다. 그러나 正位가 아니고 또 위에 剛陽의 도와줌이 없고 아래에 오직 陰柔가 應하므로 그 마음이 불쾌한 바가 있는 것이다.

象曰 旅于處는 未得位也니 得其資斧하나 心未快也라.

(상왈 려우처는 미득위야니 득기자부하나 심미쾌야라.)

<象傳>에 말하길 “나그네로 거처함은 지위를 얻지 못함이니, 物資와 도끼를 얻으나 마음이 快하지 못하다.”

[傳] 四以近君爲當位로되 在旅엔 五不取君義라 故四爲未得位也라 曰 然則以九居四는 不正이니 爲有咎矣라하니 曰 以剛居柔는 旅之宜也라 九以剛明之才로 欲得時而行其志라 故雖得資斧하여 於旅爲善이나 其心志未快也라.

사이근군위당위로되 재려엔 오불취군의라 고사위미득위야라. 왈 연즉이구거사는 부정이니 위유구의라하니 왈 이강거유는 려지의야라. 구이강명지재로 욕득시이행기지라. 고수득자부하여 어려위선이나 기심지미쾌야라.

 四는 君主를 가까이 하였으므로 當位(지위를 담당함)가 되나 旅에 있어서는 五가 君主의 뜻을 취하지 않으므로 四가 지위를 얻지 못함이 된 것이다. “그렇다면 九로서 四에 거함은 正이 아니니, 허물이 있을 것이다.” 라고 하기에 다음과 같이 대답하였다. “剛으로서 柔에 거함은 나그네의 마땅함이다. 九가 剛明한 재질로 때를 얻어 뜻을 행하고자 하기 때문에 비록 물자와 도끼를 얻어 나그네의 입장에는 좋음이 되나 그 심지는 快하지 못한 것이다.”

六五는 射(석)雉一矢亡이라 終以譽命이리라.

(육오는 석치일실망이라. 종이예명이리라.)

六五는 꿩을 쏘아 맞추어 한 화살에 잡는다. 끝내 譽命(명예와 복록)을 얻으리라.

[傳] 六五有文明柔順之德하고 處得中道而上下與之하니 處旅之至善者也라 人之處旅에 能合文明之道면 可謂善矣라 ?旅之人은 動而或失이면 則困辱隨之하나니 動而无失然後에 爲善이라 離爲雉하니 文明之物이니 射雉는 謂取則於文明之道而必合이라 如射雉에 一矢而亡之하여 發无不中이면 則終能致譽命也니 譽는 令聞也요 命은 福祿也라 五居文明之位하여 有文明之德이라 故動必中文明之道也라 五는 君位나 人君은 无旅하니 旅則失位라 故不取君義하니라.

육오유문명유순지덕하고 처득중도이상하여지하니 처려지지선자야라. 인지처려에 능합문명지도면 가위선의라. 기려지인은 동이혹실이면 즉곤욕수지하나니 동이무실연후에 위선이라. 이위치하니 문명지물이니 석치는 위취즉어문명지도이필합이라. 여석치에 일실이망지하여 발무부중이면 즉종능치예명야니 예는 영문야요 명은 복록야라. 오거문명지위하여 유문명지덕이라 고동필중문명지도야라. 오는 군위나 인군은 무려하니 려즉실위라. 고불취군의하니라.

 六五는 文明하고 柔順한 德이 있으며 처함이 中道를 얻어 上下가 더부니, 나그네에 처하기를 지극히 잘하는 자이다. 사람이 나그네에 처함에 文明의 道에 합하면 善하다고 이를 만하다. 나그네로 부쳐있는 사람은 動하여 혹 잘못하면 곤욕이 뒤따르니, 動하여 잘못이 없는 뒤에야 善함이 된다. 離는 꿩이 되어 文明한 물건이니, 꿩을 쏘아 맞춘다는 것은 文明한 道에서 法을 취하여 반드시 합함을 이른다. 마치 꿩을 쏘아 맞추어 한 화살에 죽게 하여 발사함에 맞지 않음이 없듯이 한다면 끝내 譽命을 이룰 것이니, 譽는 훌륭한 名聲이고 命은 福祿이다. 五는 文明한 자리에 거하여 文明한 德이 있으므로 動함에 반드시 문명한 道에 맞는 것이다. 五는 君主의 자리이나, 人君은 나그네가 되는 법이 없으니, 나그네가 되면 지위를 잃는다. 그러므로 君主의 뜻을 취하지 않은 것이다.

射 ; 쏘아맞힐 석   雉 ; 꿩 치   令 ; 좋을 령


[本義] 雉는 文明之物이니 離之象也라 六五柔順文明하고 又得中道하여 爲離之主라 故得此爻者 爲射雉之象이니 雖不无亡矢之費나 而所喪不多하여 終有譽命也라.

치는 문명지물이니 리지상야라. 육오유순문명하고 우득중도하여 위리지주라. 고득차효자 위석치지상이니 수불무망실지비나 이소상부다하여 종유예명야라.

 꿩은 文明한 물건이니, 離의 象이다. 六五가 柔順하고 文明하여 또 中道를 얻어 離의 주체가 되었다. 그러므로 이 爻를 얻은 자는 꿩을 쏘아 맞히는 象이 되니, 비록 화살을 잃는 허비함이 없지 않으나 상실하는 바가 많지 않아 끝내 譽命이 있는 것이다.

象曰 終以譽命은 上逮也일새라.

(상왈 종이예명은 상체야일새라.)

<象傳>에 말하길 “끝내 譽命을 얻음은 위로 미치기(더불기) 때문이다.”

逮 ; 이르다, 미칠 체


[傳] 有文明柔順之德이면 則上下與之라 逮는 與也니 能順承於上而上 與之는 爲上所逮也요 在上而得乎下는 爲下所上逮也라 在旅而上下與之하니 所以致譽命也라 旅者는 困而未得所安之時也니 終以譽命은 終當致譽命也니 已譽命則非旅也라 困而親寡則爲旅니 不必在外也라.

유문명유순지덕이면 즉상하여지라. 체는 여야니 능순승어상이상여지는 위상소체야요 재상이득호하는 위하소상체야라. 재려이상하여지하니 소이치예명야라. 려자는 공이미득소안지시야니 종이예명은 종당치예명야니 이예명즉비려야라. 곤이친과즉위려니 불필재외야라.

 文明하고 柔順한 德이 있으면 上下가 더분다. 逮는 더?이니, 윗사람을 순히 받들어 윗사람이 더붊은 윗사람에게 더부는 바가 되는 것이요, 위에 있으면서 아랫사람에게 얻음은 아랫사람에게 위로 더부는 바가 되는 것이다. 나그네로 있으면서 上下가 더부니, 이 때문에 譽命을 이룬 것이다. 나그네는 곤궁하여 편안함을 얻지 못하는 때이니, ‘終以譽命’은 끝내 譽命을 이루는 것이니, 이미 譽命이 있으면 나그네가 아니다. 곤궁하고 친한 사람이 적으면 나그네가 되니, 반드시 밖에 있는 것만은 아니다.


[本義] 上逮는 言其譽命聞於上也라.

상체는 언기예명문어상야라.

 上逮는 譽命이 위에 알려짐을 말한다.

上九는 鳥焚其巢니 旅人이 先笑後號?라 喪牛于易니 凶하니라.

(상구는 조분기소니 려인이 선소후호도라. 상우우이니 흉하니라.)

上九는 새가 둥지를 불태우니, 旅人(나그네)이 먼저는 웃고 뒤에는 울부짖는다. 소를 함부로 하여 잃으니, 凶하다.

巢 ; 집, 둥지 소   ? ; 울 도


[傳] 鳥는 飛騰處高者也라 上九剛不中而處最高하고 又離體니 其亢 可知라 故取鳥象하니라 在旅之時에 謙降柔和라야 乃可自保어늘 而過剛自高하니 失其所宜安矣라 巢는 鳥所安止니 焚其巢는 失其所安하여 无所止也니 在離上은 爲焚象이라 陽剛이 自處於至高하여 始快其意라 故先笑요 旣而失安莫與라 故號?하니 輕易以喪其順德은 所以凶也라 牛는 順物이니 喪牛于易는 謂忽易以失其順也라 離火性上하니 爲躁易之象이라 上承鳥焚其巢라 故更可旅人字하니 不云旅人이면 則是鳥笑哭也라.

조는 비등처고자야라. 상구강부중이처최고하고 우리체니 기항가지라. 고취조상하니라. 재려지시에 겸항유하라야 내가자보어늘 이과강자고하니 실기소의안의라. 소는 조소안지니 분기소는 실기소안하여 무소지야니 재리상은 위분상이라. 양강이 자처어지고하여 시쾌기의라. 고선소요 기이실안막여라 고호도하니 경이이상기순덕은 소이흉야라. 우는 순물이니 상우우이는 위홀이이실기순야라. 이화성상하니 위조이지상이라. 상승조분기소라 고갱가려인자하니 불운려인이면 즉시조소곡야라.

 새는 날아서 높은 곳에 처하는 것이다. 上九가 剛하고 中하지 못하면서 가장 높은 자리에 처하고 또 離體이니, 그 높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새의 象을 취하였다. 나그네의 때에 있어서는 겸손하고 낮추고 柔和하여야 스스로 보존할 수 있는데, 지나치게 剛하고 스스로 높은 체하니, 마땅하고 편안한 곳을 잃을 것이다. 둥지는 새가 편안히 머무는 곳이니, 둥지를 불태움은 편안한 곳을 잃어서 머물 곳이 없는 것이니, 離의 위에 있음은 불타는 象이 된다. 陽剛이 스스로 지극히 높은 곳에 처하여 처음에는 그 뜻에 快하므로 먼저는 웃는 것이요, 이윽고는 편안함을 잃고 더부는 이가 없으므로 울부짖는 것이니, 가벼이 하고 함부로 하여 순한 德을 잃음은 凶하게 되는 所以이다. 소는 순한 물건이니, 소를 함부로 하여 잃는다는 것은 소홀히 하고 함부로 하여 순함을 잃음을 말한다. 離의 火는 성질이 올라가니, 조급하고 함부로 하는 象이 된다. 위로 새가 둥지를 불태운다는 말을 이었으므로 다시 旅人이라는 글자를 더했으니, 旅人이라고 말하지 않으면 이는 새가 웃고 우는 것이 된다.

騰 ; 오를 등


[本義] 上九過剛하여 處旅之上, 離之極하여 驕而不順하니 凶之道也라 故其象占如此하니라.

상구과강하여 처려지상, 리지극하여 교이불순하니 흉지도야라. 고기상점여차하니라.

 上九가 지나치게 剛하면서 旅의 위와 離의 極에 처하여 교만하고 순하지 못하니, 凶한 道이다. 그러므로 그 象과 占이 이와 같은 것이다.

象曰 以旅在上하니 其義焚也요 喪牛于易하니 終莫之聞也로다.

(상왈 이려재상하니 기의분야요 상우우이하니 종막지문야로다.)

<象傳>에 말하길 “나그네로서 위에 있으니 의리상 불타게 되는 것이요, 소를 함부로 하여 잃으니 끝내 들어 알지 못하도다.”

[傳] 以旅在上而以尊高自處하니 豈能保其居리오 其義當有焚巢之事라 方以極剛自高하여 爲得志而笑하고 不知喪其順德於躁易하니 是終莫之聞이니 謂終不自聞知也라 使自覺知면 則不至於極而號?矣리라 陽剛不中而處極하니 固有高亢躁動之象이요 而火復炎上하니 則又甚焉이라.

이려재상이이존고자처하니 기능보기거리오. 기의당유분소지사라. 방이극강자고하여 위득지이소하고 부지상기순덕어조이하니 시종막지문이니 위종부자문지야라. 사자각지면 즉부지어극이호도의리라. 양강부중이처극하니 고유고항조동지상이요 이화부염상하니 즉우심언이라.

 나그네가 위에 있으면서 尊高함으로 자처하니, 어찌 그 거처를 보존할 수 있겠는가. 義에 마땅히 둥지를 불태우는 일이 있는 것이다. 바야흐로 지나치게 剛함으로 스스로 높은 체하여, 뜻을 얻었다 하여 웃고 순한 德을 조급하고 함부로 함에서 잃는 줄을 모르니, 이는 끝내 듣지 못하는 것이니, 끝내 스스로 들어 알지 못함을 이른다. 가령 스스로 깨달아 안다면 極에 처하여 울부짖는 데에는 이르지 않으리라. 陽剛으로 中하지 못하면서 極에 처하였으니 진실로 높은 체하고 조급하게 動하는 象이 있으며, 불이 다시 불타오르니 또 더욱 심한 것이다.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