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15년 동안 아파트관리사무소에 근무를 하면서 업자들이 말하는 것과 실제가 다른 것을 많이 보아왔고
재료의 특성이나 시공 방법이 잘못 되어 하자가 발생하는 것을 많이 보아왔다. 말과는 완전히 다르다.
업자들은 대부분 시공을 하고 가면 그만이다 하자기간이 끝난후에 발생하는 하자는 모두 관리사무소 직원 목이다
하자 기간이 끝난 후에 발생하는 하자에 대해서 업자들이
어떻게 알겠는가 말이다.
개 코도 모르면서 말 뿐인 전문가
나는 전문가라는 말을 함부로 하지마라고 하고 싶다.
최소 30년 이상 경험과 하자기간을 5년이상 한 사람만이 전문가라고 할수 있다
1년짜리 하자로 전문가라고 할 수는 절대 없다
야~ 인간아
하자는 3년 뒤나 5년에 주로 발생한다.
그러니 나중에 발생하는 하자에 대해서는 잘 모르는 경우가
아주 많다
그래도 업자들은 우기면서 자기들 말이 맞다고 한다
페인트 가게에서도 잘 모르는 경우도 있다.
옥상방수-우레탄은 절대 경화제를 섞는 것을 구입해서는 안 된다.
경화제를 섞는 것은 마르면서 나중에 모서리부분이 반드시 갈라진다.
경화제를 섞지 않는 것을 구입해야한다.
1.재료
1). 프라이머
2). 시너
3). 우레탄
4). 쇠헤라
5). 플라스틱 빗자루, 쓰레받기
6). 넓은 붓-우레탄을 붓으로 칠해야 하는 곳에 칠하기 위함
7. 쇠 브러시-곰팡이 같은 것을 청소하기 위하여
2. 조건
1).5일 이상 비가 오지 않아야한다
- 완전히 건조 된 상태에서 해야 한다.
2).바닥이 깨끗해야 한다 - 곰팡이나 이물질을 깨끗이 청소한다.
곰팡이가 있으면 나중에 들뜸 현상이 생긴다.
3).프라이머를 칠하고 완전히 건조시켜야 한다.
프라이머를 칠하고 완전 건조되지 않은 상태에서 우레탄을
칠하면 물집과 같이 불록하게 올라는 것이 곳곳에 생긴다.
여름철 햇빛이 잘나고 바람이 부는 경우 하루정도
겨울철에 햇빛이 잘나고 바람이 부는 경우 2일정도 건조시켜야한다
습도가 높은 경우는 여름이든 겨울이든 간에 무조건 3일 이상
반드시 반드시 건조시켜야한다.
4).프라이머는 우레탄이 잘 붙기 위해서 바닥에 칠하는 것이다.
프라이머를 바닥에 흠뻑 칠하면 콘크리트 바닥 속으로
들어가서 방수 역할을 한다. 프라이머가 콘크리트 속으로 들어가면서
작은 기포들이 곳곳에 올라온다.프라이머가 콘크리트 속으로 들어가
물 구멍을 완전히 막으면 우레탄을 하지 않아도 비가 세지 않더라
이것은 경험이다 프라이머만을 칠하고도 3년을 가더라
그런데 프라이머는 햇빛에 노출 되면 노화가 빨리 되므로
우레탄을 반드시 칠해야한다.
★★★ 방수는 하도, 중도, 상도 3가지의 방수 층을 이루는 것이 좋다
내가 사는 아파트에 우레탄에 경화를 섞는 것을 칠해서 모서리가 갈라져서
3번이 나와서 하지방수를 했다 2014년9월이다.
5).습도가 높거나 영하의 날씨에는 페인트나 방수 작업을 하지 않는다.
6).우레탄을 바르고 하루 이상 비가 오지 않아야 하므로 날씨를 참조 할 것
7).우레탄 작업을 하기 전에
가을이나 겨울에는 수성실리콘으로 메우고 1주일 이상 지나서 해야한다.
실리콘은 유성과 수성 2가지 종류가 있고 옥상 방수용 따로 있다는 것을
알아야한다 가격이 좀 비싸다.
유성은 주로 쇠나 알루미늄에 하고 수성은 콘크리트에 칠한다
유성실리콘 위에 일반페인트를 칠하면 칠이 되지않는다 며칠 내에 다 벗겨진다
만약 유성실리콘을 잘 못 칠했다면 유성 실리콘 위에 수성실리콘을 칠하고
완전히 건조한 다음에 우레탄이나, 페인트 칠을 해야한다.
일반적으로 페인트 작업을 하기 전에 메우는 작업은 수성실리콘으로 작업을
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