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일조의 유래가 뭔가요?
왜 가톨릭에 오게 되었느냐고 사람들에게 물어보면 많은 사람이 평화롭다, 조용하다, 가만히 내버려 둔다, 돈 이야기 많이 하지 않아서 좋다는 대답을 합니다.
물론 1980년대 민주화운동 때 보여준 사회참여의 면모나 지금도 지속되고 있는 교회의 예언자적 모습에 매력을 느껴 신자가 되는 분도 적잖을 것입니다.
특별히 개신교에서 가톨릭으로 온 분들 가운데는 십일조의 부담에서 자유로워진 느낌을 받는 분들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십일조를 강조하지 않는 것을 신기해합니다.
구약과 신약성경 여기저기에 십일조에 관한 이야기가 있습니다. 수입의 십분의 일을 하느님께 바친다는 것은 모든 것을 하느님에게서 받았기에 그분께 감사를 드리는 것이며, 더불어 하느님의 일을 하는 이들을 도와준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꾼이 자기 먹을 것을 받는 것은 당연하다"(마태 10,10)라고 예수께서도 사도들을 파견하면서 말씀하셨습니다.
가톨릭에도 엄밀한 의미의 십일조는 아니지만, 미사 때 바치는 헌금 외에 '의무적'으로 바치는 헌금이 있습니다. 이 교무금이 바로 십일조에서 유래한 헌금이라고 보면 됩니다. 교무금에 관한 법규는 지역교회별로 차이가 있지만, 그 목적은 교회를 유지하고 다양한 사목을 위해 사용하는 데 있습니다. 교무금은 개인이 아니라 세대별로 얼마를 낼지를 정합니다.
교회법에는 교무금이나 헌금에 대한 이런 규정이 있습니다.
"그리스도교 신자들은 교회가 하느님 경배, 사도직과 애덕의 사업 및 교역자들의 합당한 생활비에 필요한 것을 구비하도록 교회를 지원할 의무가 있다. 그리스도교 신자들은 사회 정의를 증진시키고 또한 주님의 계명을 명심하여 자기 수입에서 가난한 이들을 도와줄 의무도 있다."(교회법 제 222조)
각 본당에서 모은 교무금은 정기적으로 교구에 전달됩니다. 각 교구는 교무금을 어느 정도 낼 수 있는지 각 가정이 책정한 금액을 가지고 교구 연간 운영 예산을 세웁니다. 그러므로 각 세대는 가정의 수입을 감안해서 낼 수 있는 만큼의 액수를 책정해야 교구 운영에 어려움을 주지 않습니다.
중요한 것은 교무금의 근본 취지가 교회의 사목을 원활히 하도록 힘을 모으자는 데 있으니, 각자의 처지에 맞게 할 수 있는 만큼 봉헌하려는 마음가짐이 무엇보다 필요할 것입니다.
- 박종인 신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