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사회복지 실천론 기말고사 과제제출
학과 : 호원대 실용음악부 안양학습관 2학년
학번 :12225843
성명 : 이수춘
과제명: 사회복지 실천론 제 13장 종결
서론
종결은 실천과정의 최종단계로 사회복지사의 개입이 종결된 후에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의 능력이 유지되도록 하는데 있으
며 종결의 유형은 3가지가 있으며 종결의 구성요소 5가지와 종결에 대
한 반응 5가지에 대해 자세히 살펴 보고자 한다.
본론
1)종결의 개념
클라이언트에게 실천과정에서이루어진 진전을 검토할기회를 주며 이 과정에서 클라이언트가 자신이 변화의 주체임을 깨닫게
깨닫게 돕고 종경이후의생활에 대해 자신감을 갖고 원조관계를 종료 하도록 돕는다.
2)종결의 유형 3가지
①달성으로 인한 종결
개입의 목표가 달성되어 이루어지는 종결이 가장 만족스러운 종결의
유형이다.
②시간제한에의한 계획된 종결
기관의 기능 또는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 간의 합의와 관련된 시간
제한에 이한 종결이 이루어지는 경우이다 .
③계획되지 않은 종결
클라이언트의 사정으로 종결된 경우 중단 결정사유를 파악하여 전화
와 이메일등으로 연락을 취해야하며 사회복지사로 인한 종결은 퇴직
이나 업무 변동등으로 판단이 필요하다.
3)종결의 구성요소
①진전수준 검토
클라이언트의 노력과 목표에 주목하고 자신의 태도,역량 차원을 확인
한다.
② 변화의 안정화
사회복지사는 그 동안의 진정을 검토하면서 자신의 태도,역량 차원을
확인한다.
③ 정서적 유대 다루기
클라이언트와의 관계를 적절하게 마무리 짓고 개인적 관계를 유지하며
보호하고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공감해 나가야한다.
④ 다음 단계의 계획
퇴원계획 또는 클라이언트가 필요로하는 자원이나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기관으로의 이동을 의미한다.
⑤평가
클라이언트의 욕구에 근거하고 행동계획의 일환으로 설정된 목표들에
적용된다.
사회복지실천의 효과성 효율성을 측정하고 자원으ㅏ 사용에 대한 책임성 입증 client에 대한 책임감 이행,실천과정에 대한 모니터,사회복지사의 능력향상등
ㄱ) 결과평과- 설정했던 목표들이 얼마나 달성되었는지 평가하는것
ㄴ) 과정평가-사회복지실천이 클라이언트에게 도움이 됐는지 원조과정을 어떻게 인지했는지 평가
ㄷ)형성평가- 사회복지 실천 진행과정에서 개입과정을 부분적으로 수정 및 개선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얻기위해 주기적으로 진 전 상황을 평가 하는것
ㄹ) 총괄평가-사회복지 실천과정이 종료되었을때 활동의 결과로 산출된 효과와효율성에 대해 종합적인 판단을 하는평가임
4)종결에 대한 반응
① 분노
종결시 클라이언트가 분놀ㄹ 느낄수 있는데 특히 사회복지사의 부서이
동이나 사직으로 인해 종결이 이루어질 때이다.
②부정
종결시기를 미리 고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종결을 의식하지 못하는 경우
이다.
③회피
클라이언트가 자신이 버림받았거나 보호받지 못했다고 판단할 때 사회
복지사는 확인시켜주고 감정을 이해하고 전달하는 것이 필요하다.
④지속적 개입
과거의 문제가 개발되었다고 하거나 새로운 문제를 가져옴.
⑤지속적인 만남의 요구
클라이언트의 지속적인 만남이 필요함
5)종결에 대한 주요과제
①클라이언트와 종결을 계획하고 논의해야한다.
②부정적인 정서적 반응을 해결하는 노력을 가져야한다.
③성취한 변화를 계속 유지할수 있도록 도와주어야한다.
5)사후 관리의 필요성
①클라이언트가 개입이 없어도 잘 기능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②개입의 효과성을 알아볼 수 있다.
③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의 변화 노력에 관심이있음을 기억시킨다.
클라이언트에게 아직 해결되지 않은 문제가 있음을 발견하며 필요
④도움을 제공하거나 다른 사회복지사 또는 기관에 의뢰할 수 있다.
⑤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와의 지속적 유대관계 유지- 방문, 전화,메일등
결론
사회복지 실천과정의 최종단계인 종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사회복지사는 종결된 후에도 클라이언트와 계속적으로 개인적인 관계
를 유지하고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필요한 자원이나 프로그램을 제공하
여 사후관리를 함으로써 클라이언트의 부정적인 정서와 미 해결 문제
를 발견하여 도움을 주고 정보를 제공하여 나아감으로서 클라이언트의
욕구를 채워주고 필요시 사회복지사 또는 기관을 소개해줌으로써 클라
이언트의 미래의 삶을 영위할수있도록 사회복지사의 자부심과 긍지를
고취 시킬수 있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