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1장>
11-① 子曰夫易은 何爲者也오 夫易은 開物成務하여 冒天下之道하나니 如斯而已者也라 是故로 聖人이 以通天下之志하며 以定天下之業하며 以斷天下之疑하나니라
공자 가라사대, 무릇 역은 무엇을 위한 것인고? 무릇 역은 물건을 열어 힘씀을 이뤄 천하의 도를 덮나니 이 같을 따름이라. 이런 까닭으로 성인이 써 천하의 뜻을 통하며, 써 천하의 일을 정하며, 써 천하의 의심스러움을 끊느니라.
[本義] 開物成務는 謂使人卜筮하여 以知吉凶而成事業이라 冒天下之道는 謂卦爻旣設而天下之道 皆在其中니라
[본의] ‘開物成務’는 사람으로 하여금 점을 치게 하여 써 길흉를 알고 사업을 이룸을 이르니라. ‘冒天下之道’는 괘효가 이미 베풀어짐에 천하의 도가 다 그 속에 있음을 이르니라.
11-② 是故로 蓍之德은 圓而神이오 卦之德은 方以知요 六爻之義는 易以貢이니 聖人이 以此로 洗心하여 退藏於密하며 吉凶에 與民同患하여 神以知來코 知以藏往하나니 其孰能與於此哉리오 古之聰明叡知神武而不殺者夫인저
이런 까닭으로 시초의 덕은 둥글고 신비롭고, 괘의 덕은 모나서 써 알고, 육효의 뜻은 바꾸어 써 알리니, 성인이 이로써 마음을 닦아 깊숙이에 물러가 감추며, 길흉에 백성들과 더불어 근심을 한가지로 하여 신으로써 옴을 알고 지혜로움으로써 감을 감추었으니, 그 누가 능히 이에 더불어 하리오. 옛적의 총명하고 예지하며 신비로운 무력임에도 죽이지 않은 자인저!
程子曰生生之謂易, 天地設位而易行乎其中, 乾坤毁則无以見易, 易不可見則乾坤或幾乎息矣라하니 易畢竟是甚이오 又指而言曰聖人以此洗心退藏於密라하니 聖人示人之意至此하여 深且明矣에도 終无人理會易者는 此也密也니 是甚物고 人能至此하여 深思하고 當自得之니라 ○又曰安有識得易고 後不知는 退藏於密일새니 密은 是用之原이오 聖人之妙處라 知는 不專爲藏徃이오 易言知來藏徃은 主蓍卦而言이라 ○張子曰圓神故로 能通天下之志요 方知故로 能定天下之業이오 易貢故로 能斷天下之疑하니 易書에 成三者는 備憂患하여 明이니 聖人得以洗濯其心하여 退藏於密矣라
정자 말하기를, ‘生生之謂易(제5장)’과 ‘天地設位而易行乎其中(제7장)’과 ‘乾坤毁則无以見易, 易不可見則乾坤或幾乎息矣(제12장)’라 하니, 역을 다하면 이 무엇인고? 또 가리켜 말하기를, ‘성인이 이로써 마음을 닦아 깊숙이에 물러가 감추었다.’고 하니, 성인이 사람들에게 보여주신 뜻이 이에 이르러 깊고도 밝음에도 끝내 사람들이 역을 이해함이 없는 것은 이 깊음이니. 이 무슨 물건인고? 사람이 능히 이에 이르러 깊이 생각하고 마땅히 스스로 얻어야 하니라. ○또 말하기를, 어찌해야 역을 얻어 앎이 있을꼬? 뒤에서 알지 못함은 깊숙이에 물러가 감추었기 때문이니, 깊숙함은 이 씀의 근원이고 성인의 묘처라. 앎은 오로지 지나간 것을 감춘 것을 위함이 아니고, 역에서 말한 ‘오는 것을 알고 지나간 것을 감추었다.’는 것은 시초와 괘를 주장으로 하여 말함이라. ○장자 말하기를, 둥글고 신비로우므로 능히 천하의 뜻에 통하고, 방정하고 지혜로우므로 능히 천하의 일을 정하고, 바꾸어 알려주므로 능히 천하의 의심을 끊으니, 역서에 세 가지를 이룬 것은 우환에 대비하여 밝혔으니 성인이 얻어 써 그 마음을 씻어 깊숙이에 물러가 감추었음이라.
[本義] 圓神은 謂變化无方이오 方知는 謂事有定理요 易以貢은 謂變易以告人이니 聖人體具三者之德而无一塵之累하고 无事則其心寂然하여 人莫能窺하고 有事則神知之用이 隨感而應하니 所謂无卜筮而知吉凶也라 神武不殺은 得其理而不假其物之謂라
[본의] 圓神은 변화에 방소가 없음을 이르고, 方知는 일에는 정한 이치가 있음을 이르고, 易以貢은 바꾸어서 사람에서 고함을 이르니, 성인이 세 가지의 덕을 체로 갖추어 한 티끌이라도 누가 없고, 일이 없으면 그 마음이 고요하여 사람들이 능히 엿보지 못하고, 일이 있으면 신비로운 지혜의 씀이 따라서 느껴 응하니, 이른바 점을 침이 없어도 길흉을 아니라. 신비로운 무력을 갖고도 죽이지 않음은 그 이치를 얻어 그 물건을 빌리지 않음을 이름이라.
11-③ 是以明於天之道而察於民之故하여 是興神物하여 以前民用하니 聖人이 以此齋戒하여 以神明其德夫인저
이로써 하늘의 도에 밝고 백성의 연고를 살펴 이에 신비로운 물건을 일으켜 써 백성의 쓰임에 앞에 하니, 성인이 이로써 재계하여 써 그 덕을 신비롭게 밝힘인저!
程子曰聖人이 以此退藏於密하며 以此齋戒하여 以神明其德하니 夫要須玩索이니라 ○張子曰言天之變遷과 禍福之道는 由民逆順取舍之故라 故로 聖人作易하여 以先之라
정자 말하기를, 성인이 이로써 깊숙이에 물러가 감추고, 이로써 재계하여 써 그 덕을 신비롭게 밝히니, 무릇 요컨대 익히며 찾아야 하니라. ○장자 말하기를, 하늘의 변천과 화복의 도는 백성의 역함과 순함, 취함과 버림의 연고로 말미암았음을 말함이라. 그러므로 성인이 역을 지어서 써 먼저 함이라.
[本義] 神物謂蓍龜요 湛然純一之謂齋요 肅然警惕之謂戒라 明天道故로 知神物之可興이오 察民故이라 故로 知其用之不可不有하여 以開其先이라 是以作爲卜筮하여 以敎人而於此焉齋戒하여 以考其占하여 使其心神明不測하니 如鬼神之能知來也라
[본의] 神物은 시초와 거북을 이르고, 담연히 순일하게 함은 齋라 이르고, 숙연히 경계하며 두려워함은 戒라 이르니라. 천도를 밝혔으므로 신비로운 물건이 가히 일어남을 알고, 백성들의 연고를 살폈으므로 그 쓰임이 불가불 있음을 알고서 써 그 먼저 열어놓음이라. 이로써 복서를 만들어 써 사람들을 가르침에 이에 재계하여 써 그 점을 살펴서 그 마음으로 하여금 헤아리지 못함을 신비롭게 밝혔으니, 마치 귀신처럼 능히 오는 것을 아니라.
○南軒張氏曰夫蓍는 植物也니 足以揲天地之數요 龜는 動物也니 足以見天下之象이라 故로 天能生之而不能興之라가 惟聖人用其四十九而幽贊鬼神者하니 所以興其蓍也요 鑽之七十二而置之前列者하니 所以興其龜也라 天下之民이 其終不倦而樂於有爲요 亹亹不忘而勇於有行者는 以其有蓍以前之也라 然後聖人深居에 簡出利用安身하고 齊以去其不一之는 思戒以防其不測之患이니 神明自得은 有莫知其所以然者矣니라
○남헌장씨 가로대, 무릇 시초는 식물이니, 족히 써 하늘의 수를 세고, 거북은 동물이니, 족히 써 천하의 상을 보니라. 그러므로 하늘이 능히 냈음에도 능히 일어나지 못하다가 오직 성인이 그 49를 써서 그윽이 귀신을 도왔으니 써 그 시초를 일으킨 바이고, 72개의 구멍을 뚫어서 앞에 펼쳐두었으니 써 그 거북을 일으킨 바이라. 천하의 백성이 그 끝내 게으르지 않고 하는 일이 있음을 즐거워하고, 힘쓰고 힘쓰면서 잊지 않고 행함이 있음을 용맹하게 함은 그 시초로써 앞서 했기 때문이라. 그런 뒤에 성인 깊이 거처함에 냄을 간략히 하고 씀을 이롭게 하며 몸을 편안히 하고 그 불일치하는 것을 버려서 가지런히 함은 생각하고 경계함에 이로써 그 예측하지 못하는 근심을 방비함이니, 신비롭게 밝아 스스로 얻음은 그 ‘소이연’을 아는 것 만한 것이 없느니라.
11-④ 是故로 闔戶를 謂之坤이오 闢戶를 謂之乾이오 一闔一闢을 謂之變이오 往來不窮을 謂之通이오 見을 乃謂之象이오 形을 乃謂之器요 制而用之를 謂之法이오 利用出入하여 民咸用之를 謂之神이라
이런 까닭으로 문을 닫음을 곤이라 이르고, 문을 엶을 건이라 이르고, 한번 닫고 한번 엶을 변이라 이르고, 왕래에 궁하지 않음을 통이라 이르고, 나타남을 이에 상이라 이르고, 모양을 이에 그릇이라 이르고, 만들어 씀을 법이라 이르고, 씀을 이롭게 하여 출입하여 백성들이 다 쓰는 것을 신이라 이르니라.
見 나타날 현
[本義] 闔闢은 動靜之機也라 先言坤者는 由靜而動也일새라 乾坤變通者는 化育之功也라 見象形器者는 生物之序也라 法者는 聖人修道之所爲요 而神者는 百姓自然之日用也라
[본의] 闔闢은 동정의 기틀이라. 먼저 坤을 말한 것은 고요함으로 말미암아 움직이기 때문이라. 건곤의 변통이란 것은 화육의 공이라. 상을 나타내고 그릇을 형상한다는 것은 물건을 내는 순서라. 법한다는 것은 성인이 도를 닦아 하는 바이고, 신이란 것은 백성이 자연히 날마다 씀이라.
11-⑤ 是故로 易有太極하니 是生兩儀하고 兩儀生四象하고 四象生八卦하니
이런 까닭으로 역에는 태극이 있으니, 이에 양의를 낳고, 양의는 사상을 낳고, 사상은 팔괘를 낳으니, 팔괘는 길흉을 정하고,
[本義] 一每生二는 自然之理也라 易者는 陰陽之變이오 大極者는 其理也라 兩儀者는 始爲一畫以分陰陽이오 四象者는 次爲二畫以分太少요 八卦者는 次爲三畫이니 而三才之象이 始備라 此數言者는 實聖人作易에 自然之次第이니 有不假絲毫智力而成者하니 畫卦揲蓍其序 皆然이라 詳見序例啓蒙이라
[본의] 하나가 매양 둘을 낳음은 자연이 이치라. 역이란 것은 음양의 변함이고, 태극이란 것은 그 이치라. 양의란 것은 비로소 한 획이 써 음양으로 나뉨이 되고, 사상이란 것은 다음으로 두 획이 써 태와 소로 나뉨이 되고, 팔괘란 것은 다음으로 삼획이 되니, 삼재의 상이 비로소 갖춰짐이라. 여기서 여러 번 말한 것은 실로 성인이 역을 지음에 자연한 순서이니, 실끝만한 지력을 빌려서 이룬 것은 있지 아니하니, 괘를 긋고 시초를 내는 그 순서가 다 그러하니라. 자세함이 『계몽』에 순서대로 나타나느니라.
11-⑥ 八卦定吉凶하고 吉凶生大業하나니라
길흉은 대업을 낳느니라.
[本義] 有吉有凶이 是生大業이라
[본의] 길함이 있고 흉함이 있음이 이것이 대업을 낳음이라.
11-⑦ 是故로 法象이 莫大乎天地하고 變通이 莫大乎四時하고 縣象著明이 莫大乎日月하고 崇高 莫大乎富貴하고 備物하며 致用하며 立成器하여 以爲天下利 莫大乎聖人하고 探賾索隱하며 鉤深致遠하여 以定天下之吉凶하며 成天下亹亹者 莫大乎蓍龜하니라
이런 까닭으로 법상이 천지보다 큼이 없고, 변통이 사시보다 큼이 없고, 상을 매달고 밝음을 드러냄이 일월보다 큼이 없고, 숭고함이 부귀보다 큼이 없고, 물건을 갖추며 씀을 이루며 그릇을 이뤄 세워 써 천하의 이로움을 위함이 성인보다 큼이 없고, 잡란함을 더듬고 은미함을 찾으며, 깊은 것을 끌어내고 먼 곳에 이르러 써 천하의 길흉을 정하며 천하의 힘쓰고 힘쓸 것을 이룸이 시초와 거북보다 큼이 없느니라.
[本義] 富貴는 謂有天下履帝位라 立下疑有闕文이라 亹亹는 猶勉勉也라 疑則怠하니 決이라 故로 勉이라
[본의] 부귀는 천하에 제위를 밟음을 이름이라. 立 아래에 아마도 빠진 문장이 있는 듯하니라. 亹亹는 勉勉과 같음이라. 의심하면 게을러지니 결단함이라. 그러므로 힘쓰느니라.
11-⑧ 是故로 天生神物이어늘 聖人이 則之하며 天地變化어늘 聖人이 效之하며 天垂象하여 見吉凶이어늘 聖人이 象之하며 河出圖하며 洛出書어늘 聖人이 則之하니
이런 까닭으로 하늘이 신비로운 물건을 내거늘 성인이 법칙하며, 천지가 변화하거늘 성인이 본받으며, 하늘이 상을 드리워 길흉을 나타내거늘 성인이 상하였으며, 하수에서 그림이 나오고 낙수에서 글이 나왔거늘 성인이 법칙하니,
[本義] 此四者는 聖人作易之所由也라 河圖洛書는 詳見啓蒙이라
[본의] 이 네 가지는 성인이 역을 지음에 말미암은 바라. 하도와 낙서는 자세함이 『계몽』에 나타나느니라.
○雙湖胡氏曰神物은 謂蓍니 則之而四十九之用以行이라 變化는 謂陰陽이니 效之而卦爻之動靜以備이라 象은 謂日月星辰이니 循度失度而吉凶見象之而卦爻有以斷吉凶이라 圖書則金木水火土의 生成克이 制之數하니 則之而卦畫方位以定은 皆作易之本也라 ○南軒張氏曰通於天者는 河也니 有龍馬負圖而出하니 此聖人之德이 上配於天而天降其祥也라 中於地者는 洛也니 有神龜戴書而出하니 聖人之德이 下及於地而地呈其瑞也라 聖人則之故로 易興於世하고 然後에 象數推之하여 以前民用하고 卦爻推之하여 以前民行而示天下後世也라
○쌍호호씨 가로대, 신물은 시초를 이르니, 본받아 49책을 써서 행함이라. 변화는 음양을 이르니, 본받아 괘효의 동정으로 써 갖춤이라. 상은 일월성신을 이르니 도수를 따르거나 도수를 잃음에 길흉이 상에 나타나 괘효가 써 기륭을 끊음이 있음이라. 도서는 곧 금목수화토의 생성과 극함이 수를 지었으니 본받아 괘획의 방위를 써 정함은 다 작역의 근본이라. ○남헌장씨 가로대, 하늘에 통하는 것은 하수이니 용마가 그림을 짊어지고 나왔으니 이는 성인의 덕이 위로 하늘에 짝하고 하늘이 그 상서로움을 내림이라. 땅에 가운데 한 것은 낙수이니, 신비로운 거북이 書를 짊어지고 나왔으니 성인의 덕이 아래로 땅에 미치어 땅이 그 상서로움을 드러냈음이라. 성인이 법칙 하였으므로 역이 세상에 일어났고, 그런 뒤에 상과 수를 미루어 써 백성들의 쓰임에 앞에 하고, 개효를 미루어 백성들의 행함에 앞에 하고, 천하 후세에게 보임이라.
11-⑨ 易有四象은 所以示也요 繫辭焉은 所以告也요 定之以吉凶은 所以斷也라
역에 사상이 있음은 써 보이는 바이고, 말을 매달음은 써 알리는 바이고, 길흉으로써 정함은 써 끊는 바라.
[本義] 四象은 謂陰陽老少요 示는 謂示人以所值之卦爻라
[본의] 四象은 음양노소를 이르고. 示는 사람에게 만나는 바의 괘효로써 보여줌이라.
右는 第十一章이라
[本義] 此章은 專言卜筮라
[본의] 이 장은 오로지 복서를 말함이라.
○雙湖胡氏曰此章은 凡八稱聖人이니 皆指伏羲요 只繫辭以告는 是文王周公事라 首揭夫易何爲者也一句하여 爲問辭喚起하니 一章의 大意而以夫易開物以下爲答辭이며 盡說歸卜筮니라 其下六個는 是故요 一個는 是以니 皆發明卜筮之事라 第一個是故는 說聖人以通以定以斷하니 總言卜筮之綱也요 第二個是故는 言聖人以此洗心이오 第三個是以는 言聖人以此齋戒는 此卽卜筮하여 以用卜筮也라 第四個是故는 分言闔戶爲坤闢戸爲乾하여 以明畫卦布爻之法이오 第五個是故는 提起易有太極하여 以論生儀象卦之法과 亦揲蓍求卦之象이오 第六個是故는 雖論天地四時日月하여 實歸重聖人하고 有富貴之位라야 能致用하고 立器하여 以利天下而必以蓍龜하니 亹亹者結之는 亦聖人之事也라하니라 至第七個是故하여는 四이니 致意於聖人則之效之象之則之로대 而未及文王周公之辭焉이라 故로 本義에 謂此章은 專言卜筮而伏羲畫卦之法과 其綱領이 已備見於是하고 而圖書爲作易之原이며 亦因是而發焉하니 此皆不可不知也라
○쌍호호씨 가로대, 이 장은 무릇 여덟 번 성인을 일컬었으니, 다 복희씨를 가리키고, 다만 말을 매달아 알려줌은 문왕과 주공의 일이라. 머리에 ‘무릇 역은 무엇을 함인가’라는 한 구절을 걸어서 물으며 말을 환기했으니, 한 장(제11장)의 대의이고, 써 ‘夫易開物’ 이하는 답하는 말이 되며 모든 설명을 복서에 돌렸느니라. 그 아래 6개는 ‘是故’이고, 한 개(11-③)는 ‘是以’니 다 복서의 일을 발명함이라. 첫 번째의 ‘是故(11-①)’는 성인의 ‘以通’ ‘以定’ ‘以斷’을 설명했으니, 복서의 벼리를 총괄적으로 말했고, 두 번째의 ‘是故(11-②)’는 성인의 ‘以此洗心’으로 말했고, 세 번째의 ‘是以(11-③)’는 성인의 ‘以此齋戒’는 이에 복서에 나아가 써 복서를 씀을 말함이라. 네 번째의 ‘是故(11-④)’는 문을 닫음이 坤이 되고 문을 엶이 乾이 됨을 나누어 말하여 써 괘를 그리고 효를 베푼 법을 밝혀 말했고, 다섯 번째의 ‘是故(11-⑤)’는 ‘易有太極’을 끌어 일으켜 써 양의와 사상과 팔괘를 낳은 법과 또 설시하여 괘의 상을 구함을 논했고, 여섯 번째의 ‘是故(11-⑦)’는 모름지기 천지와 사시와 일월을 논하여 실제는 성인을 중히 여김으로 돌리고, 부귀한 지위가 있어야 능히 씀을 이루고 그릇을 세워 써 천하를 이롭게 함에 반드시 시초와 거북으로 하니, 힘쓰고 힘씀을 맺는 것은 또한 성인의 일이라고 함이라. 일곱 번째의 ‘是故(11-⑧)’에 이르러서는 넷이니, 성인에서 뜻을 이룸이 ‘則之’ ‘效之’ ‘象之’ ‘則之’인데 문왕과 주공의 말까지는 미치지 아니했음이라. 그러므로 [본의]에 이르기를, 이 장은 오로지 복서를 말하면서 복희의 획괘의 법과 그 강령이 이미 갖춰져 이에 나타나고, 도서의 작역의 근원이 되며 또 이로 인했음을 발표했으니, 이는 다 불가불 알아야 하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