된장에 빠진 전갱이 - 제주 돌하르방식당
오전 10시40분. 아침이라기는 늦고 점심이라기는 이른 시각인데도 열두어 개 되는 식탁에 빈자리가 듬성듬성할 뿐이다. 별일이네. 제주 사람들은 시도 때도 없이 밥 먹나. 앞 유리 전체를 떼어낸 게 시원하기는 해도 그저 허름한 슬레이트 건물일 뿐 별로 눈에 차는 것도 없다. 그런데 무엇이 이렇게 사람들을 끌어들일까. 언뜻 둘러보니 둘이 앉았건 넷이 모였건 그저 한 가지 메뉴다. 이름도 범상치 않은 각재기국이다.
각재기란 전갱이의 제주도 사투리다. 전갱이는 등 푸른 생선인데 국을 끓인다고? 비린내는 어쩌고….
무작정 식탁 하나를 차지하고 앉아 각재기국을 시켰다. 앞 손님들의 흔적을 행주질 한 번에 말끔히 치워낸 아줌마가 금세 다시 돌아와 찬들을 한 상 차려 놓는다. 콩잎과 풋고추, 된장, 멸치젓, 오징어젓, 고등어 조림에 두 사람이 오면 서비스로 주는 멸치 구이까지 있다. 네 사람이 오면 차림표에 버젓이 '1만원'이라고 씌어 있는 고등어 구이가 서비스로 나온다는 게 옆자리 손님의 귀띔이다.
문제의 각재기국을 기다리며 애꿎은 찬물만 홀짝이고 있으려니 아줌마가 "좀 있어야 하니까 먼저 찬을 들고 있으라"고 거든다. 서울 촌놈 표시 안 내려고 사뭇 여유를 가장했는데 어딘가 어정쩡한 품새가 '안 봐도 비디오'인가 보다.
이미 들켜 버렸으니 체면 차릴 게 없다. 밑반찬 중에서 정체불명의 것에 대해 뭐냐 물었더니 '촐래'란다. 제주도 특산인 자리젓에 무를 깍둑 썰어 넣어 바특하게 졸인 것이다. 제주도식 쌈장이라고 보면 된다. 처음 먹는 입맛에는 너무 짠 '고난이도' 음식인데 먹을수록 은근한 감칠맛이 뒤로 남는다. 고소한 콩잎에 밥을 한 술 올리고 촐래를 살짝 얹어 먹는다. 한번 맛 들이면 끊기 어려운 중독성 음식이다.
드디어 뚝배기 안에서 펄펄 끓고 있는 각재기국이 나왔다. 배추와 파를 큼직하게 썰어 넣고 옅게 된장을 풀었다. 매일 아침 그날 쓸 만큼만 구해 오는 제철 배추와 된장이 비린내를 없애는 비결이다. 전갱이 살은 부드럽고 국물은 담백하다 못해 고소하기까지 하다.
이 집에는 각재기국 말고 멜국(멸치국)도 있다. 고소한 맛은 각재기국과 비슷한데 좀 더 비릿하다. 아무래도 초보자에게는 조금 무리 같아 보인다.
각재기국 전문 식당은 제주도에서도 몇 안 된다. 그저 가정에서 일상으로 먹던 것을 돌하르방 식당의 강영채(72)사장이 손봐 내놓은 것이다. 강 사장은 한국전쟁 당시 학도병으로 지원, 보병 9연대에 배속돼 종전 때까지 온갖 전투에 참가한 인물이다. 제대 뒤 회사원도 해 보고 외항선도 타다 남들 은퇴하는 나이인 55세에 식당 문을 열었다.
그렇다고 큰 돈 벌겠다는 욕심 때문은 아니다. 이 식당은 오전 10시에 문을 열어 오후 3시면 영업 끝이다. 달력에서 빨간 날은 무조건 쉰다. "쓸 만큼만 벌겠다"는 게 강 사장의 경영 철학이다. 그래선지 아직도 주방일을 하는 강 사장의 콧노래도, "더 먹으라"고 채근하는 그의 쩌렁쩌렁한 목소리도 듣기 편하다.
기분 좋게 일어나는데 벌써 문 앞에 손님들이 진을 치고 줄을 섰다. 오전 11시 30분인데도 말이다. 064-752-75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