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보 도 자 료 | | ||
배포일시 | 2015. 4. 22.(수) 총 3매(본문2, 참고1) | |||
담당 부서 | 용산공원조성추진단 기획총괄과 | 담 당 자 | ∙과장 이소영, 사무관 정송이, 주무관 장영기 ∙☎ (02)2125-2510, 2511, 2512 | |
보 도 일 시 | 2015년 4월 23일(목)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통신․방송․인터넷은 4. 22.(수) 11:00 이후 보도 가능 |
용산공원 유엔사 부지 일반상업지로 개발
부지 14% 공공용지로, 최고 높이 70m…지역투자 활성화 기대
□ 국토교통부(장관 유일호)는 용산공원 복합시설조성지구 중 가장 먼저 개발될 유엔사 부지의 조성계획*을 승인‧고시(4.23)했다.
* 이태원동 22-34 일원(면적 51,753㎡), 사업시행자 한국토지주택공사(LH)
ㅇ 용산공원 주변 3개 산재부지*에 지정된 복합시설조성지구는, 용산 미군기지에 국가공원을 조성하기 위해, 미군 평택 이전재원(3.4조원) 마련을 목적으로 복합 용도로 개발하게 된다.
* 용산 미군기지 일대의 유엔사, 캠프킴, 수송부 부지(약 18만㎡)
□ 당초 일부 부지의 개발 높이 등과 관련하여, 미군기지 이전재원 마련을 위한 3개 부지 전체에 대한 고밀개발의 현실적 필요성과, 남산 조망 등 도시 경관 제고를 위한 저밀개발 필요성이 대립하였으나,
ㅇ 수차례에 걸친 관계기관 간 조정 회의를 통해 합의점을 도출하여, 제7차 투자활성화대책(1.19)으로 단계적 개발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 (유엔사) 남산조망 가능 높이 결정 후 조성계획 승인(4월) 및 연내 투자 착수 추진
* (캠프킴) 입지규제최소구역으로 지정(‘17년)하여 고밀 개발(800% 이상) 추진
* (수송부) 유엔사·캠프킴 감정평가 결과 등 추진상황을 보아가며 개발계획 확정
□ 이번 유엔사 부지 조성계획은 관계기관 협의 및 용산공원조성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승인‧고시되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ㅇ 도시관리계획 결정에 따라 유엔사 부지 용도지역이 제3종일반주거지역에서 일반상업지역으로 변경되었으며,
ㅇ 토지이용계획을 수립하여, 유엔사 부지 전체 면적의 14%가 공원(7.4%), 녹지(4.4%), 도로(1.8%) 등 공공시설용지로 사용되게 된다.
ㅇ 특히, 제7차 투자활성화대책에서 합의한 바에 따라, 3D 경관 시뮬레이션을 통해 남산 조망이 가능하도록 개발 최고높이(70m)를 결정하여, 도시 경관을 해치지 않는 개발이 되도록 하였다.
□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이번 조성계획을 시작으로, 사업이 조기 착공될 수 있도록 금년 하반기 중 유엔사 부지 실시계획을 승인할 예정으로,
ㅇ 단계적으로 캠프킴, 수송부 부지도 개발하게 됨에 따라 ‘20년까지 총 5조원의 민간투자가 예상되며, 유엔사 부지의 경우, 약 1.5조원의 투자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유엔사 부지 조성계획 세부내용은 국토교통부 홈페이지(http://www.molit.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정보마당 → 법령정보 → 훈령, 예규, 고시)
|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국토교통부 용산공원조성추진기획단 정송이 사무관(☎ 02-2125-2511)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참 고 | 용산공원정비구역의 범위 |
구 역 별 | 구성비(%) | 비고 | |||
면 적(㎡) | 만평 | ||||
용산공원정비구역 | 11,553,827.2 | 350.0 | 100 | ||
용산공원조성지구 | 2,426,748.5 | 73.5 | 21 | 본체부지 | |
복합시설조성지구 | 179,070.3 | 5.4 | 2 | 주변산재부지 | |
공원주변지역 | 8,948,008.4 | 271.1 | 7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