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덕(萬德)의 성은 김씨로 제주도 양가(良家)의 딸이다.
어려서 부모를 잃고 돌아가 의의할 곳이 없어 기녀에게 의탁해 생활하였다.…
그의 재화를 늘리는 재주가 있어서 능히 물건 값이 귀하고 천한 때를 맞추어 내다 팔고 사다 두니 수십 년에 이르러 자못 (돈을) 모은 것으로써 이름이 났다.
1795년(정조 19)에 제주도에 큰 기근이 들어 백성들이 서로 베고 죽었다(중략)
이에 만덕이 천금(千金)을 내어 육지와 쌀을 무역하니 여러 고을의 사공들이 때맞추어 이르렀다.
만덕이 십분의 일을 가지고서 친족들을 살리고, 그 나머지는 모두 관아에 실어 보냈다.
부황(浮黃)에 걸린 사람들이 그것을 듣고, 관아의 뜰에 구름같이 모여들었다. 관아에서 그 완급을 조절하여 나누어 주는 것이 차등이 있었다.
남자들과 여자들이 나와 만덕의 은혜를 칭송하며 모두 나를 살려 준 사람이 만덕이라고 여겼다.
萬德者, 姓金, 耽羅良家女也. 幼失母無所歸依. 托妓女爲生.…其才長於殖貨, 能時物之貴賤, 以廢以居, 至數十年, 頗以積著名, 聖上十九年乙卯 耽羅大饑, 民相枕死.…於是, 萬德, 捐千金, 貿米陸地, 諸郡縣棹夫以時至. 萬德取十之一, 以活親族, 其餘盡輸之官. 浮黃者聞之, 集官庭如雲 . 官劑其緩急, 分與之有差, 男若女出而頌萬德之恩, 咸以爲活我者萬德.
출처 : ≪번암집(樊巖集)≫ : 채제공(蔡濟恭, 1720-1799)
제주도 사람 김만덕(金萬德, 1739-1812) 일화이다.
어려서 부모를 잃고 친척 집에서 겨우 목숨을 이어 가다 기녀의 수 양딸이 된다.
하지만 본래 양인이었던 그녀는 관가에 자신의 신분을 회복시켜 줄 것을 꾸준하게 요청해서 다시 양인으로 풀려난다.
양인이 된 만덕은 장사를 시작해 큰 재산을 모으게 된다.
그런데 1793년 제주도에 큰 가뭄이 들어 백성이 굶어 죽게 되자, 그녀는 망설이지 않고 자신의 전 재산을 내놓아 제주도 백성의 목 숨을 구한다.
이 소식은 당시 임금이었던 정조에게까지 알려지게 되었고, 선행을 가상히 여긴 정조가 만덕의 소원을 들어 주라고 명하자 그녀는 임 금님을 뵙고 금강산을 유람하고 싶다고 한다.
정조는 제주도민은 섬을 벗어날 수 없다는 금기를 깨고 만덕의 소 원을 들어 주었으며, 아울러 그녀에게 내의원에 속한 의녀 가운데 최고의 벼슬을 내렸다.
만덕은 죽기 직전에도 가난한 사람들에게 남은 재산을 골고루 나누 어 주는 등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평생 헌신하였다.
그녀는 장사하는 재능이 뛰어났고, 시기에 따라 물건의 귀하고 천 한 것을 잘 알아, 수십 년 동안 장사에 힘을 쏟아 유명한 재산가가 되었다
좌의정 채제공은 당시 남성도 하기 어려운 일을 해낸 그녀의 선행 을 아름답게 여겨, 전(傳)을 짓고 후세의 본보기가 되도록 하였다.
김만덕(金萬德 : 1739-1812)
본관은 김해이며 아버지 김응열과 어머니 고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양인이었던 아버지와 어머니를 일찍 여의고 외삼촌 집에서 유년 시절을 보내다가 퇴기에게 맡겨져 기생 수업을 시작하였다. 제주도 관부의 기생(관기)이었으나 양인으로 풀려난 후 객주를 꾸려 큰 재산을 모았다. 1795년 제주도에 몰아친 폭풍과 폭우로 인해 굶어죽는 사람들이 늘어나자 재산의 대부분을 구휼미로 내놓아 제주도 백성들을 기아에서 구하였다. 구휼 선행이 중앙에 알려져 당시 임금이었던 정조를 가까이 에서 알현하였으며 왕에게 청한 소원대로 제주도를 벗어나 금강산을 유람하기도 하였다. 채제공, 정약용, 조수삼, 김정희 등의 명사와 시인들이 만덕의 선행을 기리는 많은 글과 시를 남겼다. 평생 결혼하지 않고 독신으로 살았으며 죽기 직전 가난한 이들에게 남은 재산을 골고루 나누어 주고 양아들에게는 살아갈 정도의 적은 재산만을 남겼다고 전한다. 1812년 10월 22일 74세를 일기로 제주도에서 사망하였다. 현재 '만덕 기념사업회'와 '만덕상'이 제정되어 그녀의 자선을 기리고 있다.
≪번암집(樊巖集)≫
조선 정조 때의 문신인 채제공(蔡濟恭)의 시문집으로 목판본이다. 61권 27책, 규장각 도서이다. 1824년(순조 24)에 아들 홍원(弘遠)이 이정운(李鼎運)·최헌중(崔獻重) 등의 협력을 얻어 편집·간행하였다. 내용은 시(詩)·소(疏)·차(箚)·서계(書啓)·헌의(獻議)·계사(啓辭)·서(序)·기(記)·서(書)·제문(祭文)·애책(哀冊)·애사(哀辭)·지장(誌狀)·전(傳)·발(跋)·비탑문(碑塔文)·명(銘)·찬(贊)·교문(敎文)·전(箋)·장문(狀文)·상량문(上樑文)·설(說)·잡저(雜著) 등이 수록되었다. 책머리에 정조의 어제어필제영(御製御筆題詠)·어정범례(御定凡例) 등이 실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