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내경(經)의 정의(義)
장기법시론(<藏氣法時論>)에 이르기를 "간병(肝病)은 양(兩) 협하(脇下)가 통(痛)하고 소복(少腹)을 인(引)하며 사람으로 하여금 잘 노(怒)하게 한다. 심병(心病)은 흉중(胸中)이 통(痛)하고 협(脇)이 지만(支滿)하며 협하(脇下)가 통(痛)한다." 하였다.
대기론(<大奇論>)에 이르기를 "간(肝)이 옹(壅)하면 양거(兩胠)가 만(滿)하고 와(臥)하면 경(驚)하며 소변(小便)을 보지 못한다." 하였다.
사객편(<邪客篇>)에 이르기를 "간(肝)에 사기(邪)가 있으면 그 기(氣)가 양협(兩脇)으로 유(流)한다." 하였다.
열론(<熱論>)에 이르기를 "상한(傷寒) 3일에는 소양(少陽)이 받는다. 소양(少陽)은 담(膽)을 주(主)하고 그 맥(脈)은 협(脇)을 순(循)하고 이(耳)에 락(絡)하므로 흉협(胸脇)이 통(痛)하면서 이롱(耳聾)한다." 하였다.
자열편(<刺熱篇>)에 이르기를 "간(肝)의 열병(熱病)은 열(熱)이 쟁(爭)하면 광언(狂言) 경(驚)하고 협(脇)이 만통(滿痛)하며 수족(手足)이 조(躁)하고 안와(安臥)하지 못하니, 족궐음(足厥陰) 족소양(足少陽)을 자(刺)한다. 열병(熱病)으로 먼저 흉협(胸脇)이 통(痛)하고 수족(手足)이 조(躁)하면 족소양(足少陽)을 자(刺)하고 족태음(足太陰)을 보(補)한다." 하였다.
거통론(<擧痛論>)에 이르기를 "한기(寒氣)가 궐음(厥陰)의 맥(脈)을 객(客)하면 혈삽(血泣) 맥급(脈急)하므로 협륵(脇肋)과 소복(少腹)이 서로 인(引)하면서 통(痛)한다." 하였다.
옥기진장론(<玉機眞藏論>)에 이르기를 "풍한(風寒)이 사람을 객(客)할 경우, 치(治)하지 않으면 병(病)이 폐(肺)로 들어가 사(舍)한다. 이를 치(治)하지 않으면 폐(肺)에서 바로 전(傳)하여 간(肝)으로 행(行)하니, 명(名)하여 간비(肝痺)라 하고, 협통(脇痛) 출식(出食)한다. 춘맥(春脈)이 불급(不及)하면 사람으로 하여금 흉통(胸痛) 인배(引背)하고 하(下)하면 양(兩) 협거(脇胠)가 만(滿)한다." 하였다.
오장생성편(<五藏生成篇>)에 이르기를 "청맥(靑脈)이 지(至)하여 장(長)하면서 좌우(左右)가 탄(彈)하면 적기(積氣)가 심하(心下)에 있고 지거(支胠)하니 명(名)하여 간비(肝痺)라 한다." 하였다.
맥요정미론(<脈要精微論>)에 이르기를 "간맥(肝脈)의 박(搏)이 견(堅)하면서 장(長)하고 색(色)이 청(靑)하지 않으면 당연히 병(病)으로 추(墜)하여 마치 박(搏)하는 것 같으니, 혈(血)이 협하(脇下)에 있으므로 인하여 사람으로 하여금 천역(喘逆)케 한다." 하였다.
오사편(<五邪篇>)에 이르기를 "사기(邪)가 간(肝)에 있으면 양(兩) 협중(脇中)이 통(痛)하고 한중(寒中)하며 악혈(惡血)이 내(內)에 있어 행(行)할 때 절(節)을 잘 체(掣)하고 시(時)로 각(脚)이 종(腫)한다. 행간(行間)에서 취하여 협하(脇下)를 인(引)하고 삼리(三里)를 보(補)하여 위중(胃中)을 보(補)하며 혈맥(血脈)을 취하여 악혈(惡血)을 산(散)하고 이간(耳間)의 청맥(靑脈)을 취하여 체(掣)를 거(去)한다." 하였다.
해론(<咳論>)에 이르기를 "간해(肝咳)의 상(狀)은 해(咳)하면 양(兩) 협하(脇下)가 통(痛)하고 심(甚)하면 전(轉)할 수 없으며 전(轉)하면 양(兩) 거하(胠下)가 만(滿)한다." 하였다.
무자론(<繆刺論>)에 이르기를 "사기(邪)가 족소음(足少陰)의 락(絡)을 객(客)하면 사람으로 하여금 갑자기 심통(心痛)하고 갑자기 창(脹)하며 흉협(胸脇)이 지만(支滿)한다. 적(積)이 없으면 연골(然骨)의 전(前)을 자(刺)하여 출혈(出血)케 하니 식경(食頃)이면 낫는다.
사기(邪)가 족소양(足少陽)의 락(絡)을 객(客)하면 사람으로 하여금 협통(脇痛) 부득식(不得息)하고 해(咳)하면서 한출(汗出)한다. 네 번째 발가락(:足小指次指)의 조갑(爪甲)의 위에서 육(肉)과 교(交)하는 각 일유(一痏)를 자(刺)한다.
사기(邪)가 족태양(足太陽)의 락(絡)을 객(客)하면 사람으로 하여금 구련(拘攣) 배급(背急)하고 협(脇)을 인(引)하면서 통(痛)한다. 항(項)에서 시(始)하여 여러 척추(脊椎)의 협척(俠脊)을 자(刺)하고 질(疾)하게 안(按)하며, 응수(應手)하여 통(痛)하는 것 같으면 방(傍)의 삼유(三痏)에 자(刺)하니 바로 이(已)한다." 하였다.
골공론(<骨空論>)에 이르기를 "묘락 계협(䏚絡 季脇)에서 소복(小腹)을 인(引)하며 통창(痛脹)하면 의희(譩譆)를 자(刺)한다." 하였다.
사기장부병형편(<邪氣藏府病形篇>)에 이르기를 "간맥(肝脈)이 미급(微急)하면 비기(肥氣)이니, 협하(脇下)가 마치 엎은 그릇(:杯)과 같다. 위병(胃病)이면 복(腹)이 진창(䐜脹)하고 위완(胃脘)에서 당심(當心)까지 통(痛)하며 양협(兩脇)을 상지(上支)하고 격인(膈咽)이 불통(不通)하며 식음(食飮)이 불하(不下)한다. 삼리(三里)를 취(取)한다." 하였다.
기병론(<奇病論>)에 이르기를 "병(病)으로 협하(脇下)가 만(滿)하고 기역(氣逆)하며 2~3년에도 불이(不已)하면 병명(病名)은 식적(息積)이라 한다. 이는 식(食)과 무방(:不妨)하니, 구(灸)나 자(刺)를 할 수 없다. 적(積)은 도인(導引)이나 복약(服藥)하여야 하니, 약(藥)만으로는 치(治)할 수 없다." 하였다.
사시자역종론(<四時刺逆從論>)에 이르기를 "소양(少陽)이 유여(有餘)하면 병(病)으로 근비(筋痺) 협만(脇滿)한다." 하였다.
궐론(<厥論>)에 이르기를 "소양(少陽)이 궐(厥)하면 갑자기 농(聾)하고 협종(頰腫)하면서 열(熱)하며 협통(脇痛)하고 행(胻)이 불운(不運)한다." 하였다.
복중론(<腹中論>)에 이르기를 "병(病)으로 흉협(胸脇)이 지만(支滿)하면 식(食)에 방(妨: 거리끼다)하다가 병(病)이 지(至)할 때는 먼저 성조(腥臊)한 취(臭)를 맡고 청액(淸液)이 출(出)한다. 먼저 타혈(唾血)하고 사지(四支)가 청(淸)하며 목현(目眩)하고 시시(時時)로 전후(前後)로 출혈(:血)하니, 그 병명(病名)은 혈고(血枯)라 한다. 이를 얻은 나이가 소시(少時)일 때 크게 탈혈(脫血)하였거나 취(醉)하여 입방(入房)하여 기갈(氣竭) 간상(肝傷)하였으므로 월사(月事)가 쇠소(衰少)하고 불래(不來)하는 것이다. 그 치(治)는 오적어골환(烏賊魚骨丸)으로 한다." 하였다.
맥해편(<脈解篇>)에 이르기를 "소양(少陽)에서 말하는 심협통(心脇痛)은 소양(少陽)이 성(盛->戊)하다는 것을 말한다. 성(盛->戊)이란 심(心)의 드러남(:表)이다. 음력 9월은 양기(陽氣)가 다하고 음기(陰氣)가 성(盛)하므로 심협(心脇)이 통(痛)한다." 하였다.
오장생성편(<五藏生成篇>)에 이르기를 "복만(腹滿)하고 진창(䐜脹)하며 지격거협(支膈胠脇)하며 하궐(下厥) 상모(上冒)하면 그 과(過)가 족태음(足太陰) 족양명(足陽明)에 있다." 하였다.
경맥편(<經脈篇>)에 이르기를 "심(心)의 소생병(所生病)은 목황(目黃) 협통(脇痛)한다.
심주(心主)는 수궐음(手厥陰) 심포락(心包絡)이니 시동병(是動病)은 수심(手心)이 열(熱)하고 심(甚)하면 흉협(胸脇)이 지만(支滿)하고 심중(心中)이 탕탕(憺憺: dandan)거리며 크게 동(動)한다.
담(膽)은 족소양(足少陽)이니, 시동병(是動病)은 구고(口苦)하고 잘 태식(太息)하며 심협통(心脇痛)하여 전측(轉側)하지 못한다." 하였다.
본장편(<本藏篇>)에 이르기를 "간(肝)이 소(小)하면 장(臟)이 안(安)하니, 협하(脇下)의 병(病)이 없다. 간(肝)이 대(大)하면 위(胃)를 핍(逼)하고 인(咽)을 박(迫)하고 인(咽)을 박(迫)하면 격중(隔中)으로 고(苦)하고 협하(脇下)가 통(痛)하다.
간(肝)이 고(高)하면 상지(上支)를 분절(賁切)하고 협(脇)이 만(悗)하여 식분(息賁)이 된다. 간(肝)이 하(下)하면 위(胃)를 핍(逼)하여 협하(脇下)가 공(空)하고 협하(脇下)가 공(空)하면 쉽게 사기(邪)를 받는다.
간(肝)이 견(堅)하면 장(臟)이 안(安)하니 상(傷)하기 어렵다. 간(肝)이 취(脆)하면 소단(消癉)을 잘 병(病)하고 쉽게 상(傷)한다.
간(肝)이 단정(端正)하면 화리(和利)하니 상(傷)하기가 어렵다. 간(肝)이 치우쳐 기울면 협하(脇下)가 통(痛)한다.
비(脾)가 소(小)하면 장(臟)이 안(安)한다. 비(脾)가 대(大)하면 묘(䏚)로 주(湊)하여 고(苦)하면서 통(痛)하고 질행(疾行)하지 못한다.
비(脾)가 고(高)하면 묘(䏚)가 계협(季脇)을 인(引)하면서 통(痛)한다.
흉협(胸脇)이 좋으면 간(肝)이 견(堅)하고, 협골(脇骨)이 약(弱)하면 간(肝)이 취(脆)하며, 협골(脇骨)이 치우쳐 거(擧)하면 간(肝)이 치우쳐 기운다." 하였다.
표본병전론(<標本病傳論>)에 이르기를 "병(病)의 전(傳)에서 심병(心病)은 선(先)으로 심통(心痛)하고 일일(一日)에 해(咳)하고 삼일(三日)에 협(脇)이 지통(支痛)하며 오일(五日)에 폐색(閉塞) 불통(不通)하고 신통(身痛) 체중(體重)하니, 삼일(三日)에 불이(不已)하면 사(死)한다.
폐병(肺病)은 천해(喘咳)하고 삼일(三日)에 협(脇)이 지(支)하고 만통(滿痛)하며 일일(一日)에 신중(身重) 체통(體痛)하고 오일(五日)에 창(脹)하니, 십일(十日)에 불이(不已)하면 사(死)한다.
간병(肝病)은 두목(頭目)이 현(眩)하고 협(脇)이 지만(支滿)하니 삼일(三日)에 체중(體重) 신통(身痛)하고 오일(五日)에 창(脹)하며 삼일(三日)에 요척(腰脊) 소복(少腹)이 통(痛)하고 경산(脛痠)하고, 삼일(三日) 불이(不已)하면 사(死)한다.
신병(腎病)은 소복(少腹) 요척(腰脊)이 통(痛)하고 행산(胻痠)하니, 삼일(三日)에 배려(背膂)의 근(筋)이 통(痛)하고 소변(小便)이 폐(閉)하며 삼일(三日)에 복창(腹脹)하고 삼일(三日)에 양협(兩脇)이 지통(支痛)하며, 삼일(三日)에 불이(不已)하면 사(死)한다.
제병(諸病)은 이러한 차례(:次)로 서로 전(傳)한다.
이와 같으면 모두 사기(死期)가 있으니 자(刺)하면 안 된다." 하였다.
기교변대론(<氣交變大論>)에 이르기를 "세목(歲木)이 태과(太過)하면 풍기(風氣)가 유행(流行)하여 민병(民病)으로 도리어 협통(脇痛)하고 토(吐)가 심(甚)하다.
세화(歲火)가 태과(太過)하면 염서(炎暑)가 유행(流行)하니 심(甚)하면 흉중(胸中)이 통(痛)하고 협(脇)이 지만(支滿)하며 협(脇)이 통(痛)하다.
세금(歲金)이 태과(太過)하면 조기(燥氣)가 유행(流行)하니 간목(肝木)이 사기(邪)를 받아 민병(民病)으로 양(兩) 협하(脇下) 소복(少腹)이 통(痛)하고 거협(胠脇)이 전측(轉側)하지 못한다.
세목(歲木)이 불급(不及)하면 조(燥)가 대행(大行)하니 민병(民病)으로 중(中)이 청(淸)하고 거협(胠脇)이 통(痛)한다.
세화(歲火)가 불급(不及)하면 한(寒)이 대행(大行)하니 민병(民病)으로 흉중(胸中)이 통(痛)하고 협(脇)이 지만(支滿)하며 양협(兩脇)이 통(痛)한다.
세토(歲土)가 불급(不及)하여 복(復)하면 수정(收政)이 엄준(嚴峻)하여 명목(名木)이 창조(蒼凋)하니 흉협(胸脇)이 폭통(暴痛)하고 하(下)로 소복(少腹)을 인(引)한다.
목(木)이 불급(不及)하면 그 생(眚)이 동(東)이고 그 장(臟)은 간(肝)이며 그 병(病)은 내(內)로 거협(胠脇)으로 사(舍)하고 외(外)로 관절(關節)에 있다.
화(火)가 불급(不及)하면 그 생(眚)이 남(南)이고 그 장(臟)은 심(心)이며 그 병(病)은 내(內)로 응협(膺脇)에 사(舍)하고 외(外)로 경락(經絡)에 있다.
금(金)이 불급(不及)하면 그 생(眚)은 서(西)이고 그 장(臟)은 폐(肺)이며 그 병(病)은 내(內)로 응협(膺脇) 견배(肩背)에 사(舍)하고 외(外)로 피모(皮毛)에 있다." 하였다.
육원정기대론(<六元正紀大論>)에 이르기를 "궐음(厥陰)이 지(至)하면 협통(脇痛) 구설(嘔泄)한다.
금울(金鬱)이 발(發)하면 민병(民病)으로 해역(咳逆)하고 심협(心脇)이 만(滿)하며 소복(少腹)을 인(引)하고 잘 통(痛)하며 반측(反側)하지 못한다.
목울(木鬱)이 발(發)하면 민병(民病)으로 위완(胃脘)에서 당심(當心)까지 통(痛)하고 양협(兩脇)을 상지(上支)한다." 하였다.
지진요대론(<至眞要大論>)에 이르기를 "세(歲)에서 궐음(厥陰)이 재천(在泉)하여 풍음(風淫)이 승(勝)하면 민병(民病)으로 심통(心痛) 지만(支滿)하고 양협(兩脇)이 이급(裏急)하며 음식(飮食)이 불하(不下)한다.
세(歲)에서 양명(陽明)이 재천(在泉)하여 조음(燥淫)이 승(勝)하면 민병(民病)으로 심협(心脇)이 통(痛)하고 반측(反側)할 수 없다.
궐음(厥陰)이 사천(司天)하면 민병(民病)으로 위완(胃脘)에서 당심(當心)까지 통(痛)하고 양협(兩脇)을 상지(上支)하며 격인(膈咽)이 불통(不通)하고 음식(飮食)이 불하(不下)한다.
소음(少陰)이 사천(司天)하여 열음(熱淫)이 승(勝)하면 민병(民病)으로 흉중(胸中)이 번열(煩熱)하고 우거(右胠)가 만(滿)한다.
양명(陽明)이 사천(司天)하면 민병(民病)으로 좌(左)의 거협(胠脇)이 통(痛)하고 심협(心脇)이 폭통(暴痛)하며 반측(反側)할 수 없다.
궐음(厥陰)이 승(勝)하면 위완(胃脘)에서 당심(當心)까지 통(痛)하고 양협(兩脇)을 상지(上支)한다.
태음(太陰)이 승(勝)하면 병(病)이 거협(胠脇)에 있다.
양명(陽明)이 승(勝)하면 청(淸)이 중(中)에서 발(發)하고 좌(左)의 거협(胠脇)이 통(痛)한다.
양명(陽明)이 복(復)하면 청기(淸氣)가 대래(大來)하니 병(病)이 거협(胠脇)에 생(生)하고 기(氣)는 좌(左)로 귀(歸)한다."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