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가 절감을 위한 원가진단 분석 보고서"
소 속 원가 진단 팀
날 짜 20XX년 00월 00일(요일)
Ⅰ. 부문별 원가진단 인터뷰
1. 원가진단<부문별 원가진단 인터뷰<부문별 원가진단 종합 분석
전체부문 종합 평가
Implication
- 자재관리팀 총 분석
- 생산관리팀 총 분석
- 생산팀 총 분석
1. 원가진단<부문별 원가진단 인터뷰<자재 관리팀 원가진단 종합 분석
자재 관리 팀 평가
적정인력보유수준 →장.단기 계획 수립여부→구매처별 구매가격 평가여부→불량자재 검수여부→
수불부기록여부→재고일치여부→생산수율과 실제 소비량 일치여부→
적정 주문량,주문시기, 재고 유지 여부
Implication
| ||
구매.자재업무를 위한 현재 인력은 과잉된 상태임 | ||
| ||
자재 구매전 3개월 또는 6개월 이내의 장.단기 계획을 주로 세워 비교적 안정적인 구매 가격으로 구매하고 있음 | ||
| ||
구매처별 구매가격 평가를 전혀 하고 있지 않음 | ||
| ||
일부 주요자재에 대해서만 불량자재를 검수 함 | ||
| ||
매월 계속 기록법에 의한 수량과 평가방법을 적용한 단가를 기록하고 있음 | ||
| ||
매일 정하여진 날짜와 시간에 맞추어 재고실사를 하며 실사에 따른 부족한 스량의 원인을 정확이 체크하고 있음 | ||
| ||
전체 생산 제품에 대한 정확한 생산수율을 통하여 실제 소비량과이 차이분석을 매월하고 있음 | ||
| ||
회사규모에 맞는 적정 주문량.주문시기.적정재고 수준 위주로 정확히 파악한 후 주문함 |
1. 원가진단<부문별 원가진단 인터뷰<생산 관리 팀 원가진단 종합분석
생산 관리 팀 평가
생산.원가관리의 인원 적정성 여부 →생산관리의 계획 수립 여부→생산관리 전산화 시스템 여부→
생산관리 양식의 활용 정도 → 사전원가계산을 통한 예산설정→제품별 공정별 원가계산 여부
Implication
| ||
생산관리 및 원가관리에 필요한 전문인력들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음 | ||
| ||
체계적인 장.단기 계획수립을 세우고 있음 | ||
| ||
ERP의 구축이 잘되고 있어 적은 관리 인력만으로도 효율적인 생산관리 업무와 원가관리 업무가 가능함 | ||
| ||
생산관리에 필요한 각종 양식들을 체계적으로 철저하게 관리하며 사용하고 있음 | ||
| ||
제품 생산전 항상 사전원가계산을 통하여 예산을 집행하고 있음 | ||
| ||
제품별.공정별 작업원가표를 매월 정기적으로 작성하며, 적정판매가격의 산정 및 원가절감을 위하여 적용하고 있음 |
1. 원가진단<부문별 원가진단 인터뷰<생산 팀 원가진단 종합분석
생산 관리 팀 평가
품질.원가 납기준수 여부→충분한 인력의 확보 여부→작업지시서에 의한 생산시스템 보유 여부
→효율적인 공정관리 여부→ 공정상 문제 발생에 따른 해결능력 여부→생산작업일지 작성 여부
Implication
| ||
품질.원가절감.납기일 준수에 기반을 둔 관리를 항상 철저히 하고 있음 | ||
| ||
생산규모에 맞는 충분한 생산인력과 기능 인력이 보유되어져 있음 | ||
| ||
작업지시서에 의한 제품 생산시스템이 잘 갖추어져 있음 | ||
| ||
전반적인 공정관리가 전혀 되지 않아 생산효율성이 낮아짐 | ||
| ||
공정상 문제가 발생하여도 책임자의 업무미숙과 관리상의 허술로 인하여, 매번 반복적인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음 | ||
| ||
생산작업일지의 작성은 현재 전혀 하고 있지 않아 생산량.노무시간.원자재 투입량들을 전혀 파악할수 없음 |
Ⅱ. 손익계산서와 제조원가명세서를 통한 알고리즘 원가분석
2. 원가진단<손익계산서를 통한 알고리즘 원가분석(1)
손익계산서 노선 번호: 9
전기대비 매출액 하락 → 매출원가 상승 → 매출총이익 하락 → 영업이익 하락
전기대비 매출액 증가 비율의 하락
▼
전기대비 매출원가 비율의 상승
▼
전기대비 매출총이익 비율의 하락
▼
전기대비 영업이익 비율의 하락
< 손익계산서 >
(단위 : 천원)
구 분 | 2016 | 2017 | 2018 |
Ⅰ. 제품 매출액 | 97,172 | 108,233 | 112,197 |
Ⅱ. 매출원가 | 80,913 | 77,622 | 94,871 |
1. 기초제품재고액 | 0 | 1,965 | 12,321 |
2. 당기제품제조원가 | 83,230 | 89,320 | 95,320 |
(타계정 대체액) | 442 | 1,342 | 1,510 |
3. 기말제품재고액 | 1,965 | 12,321 | 11,260 |
Ⅲ. 매출총이익 | 16,259 | 30,611 | 17,326 |
Ⅳ. 판매비와일반관리비 | 3,050 | 4,830 | 5,427 |
Ⅴ. 영업이익 | 13,209 | 25,781 | 11,899 |
2. 원가진단<손익계산서를 통한 알고리즘 원가분석(2)
Implication
손익계산서 분석에 대한 사항
1) 전기대비 매출원가 비율의 상승 이유 분석
① 전기대비 기초제품재고액 비율의 상승 원인 확인 (전기기말 제품 재고액의 상승원인 확인) 확인
② 전기대비 당기제품제조원가비율의 상승 원인 확인 미확인
③ 전기대비 기말제품재고액 비율의 하락 원인 확인 확인
☞ 기말제품재고액 하락의 원인분석
» 低價정책에 따른 판매량 증가여부 확인 확인
» 탈세를 목적으로 임의적 기말재고액 축소 여부 확인 확인
» 선입선출법 평가 시 디플레이션 현상에 따른 가격 반영 여부 확인 확인
» 후입선출법 평가 시 인플레이션 현상에 따른 가격 반영 여부 확인 확인
(후입선출법의 경우 K-IFRS의 적용을 받는 기업의 경우 확인 생략)
2) 전기대비 매출총이익 하락 이유 분석
» 전기대비 비교적 대량생산을 통한 低마진 제품 위주의 판매가 이루어 지고 있는지 확인 확인
3) 전기대비 영업이익 비율의 하락 이유 분석
① 低價 제품의 판매촉진을 위한 변동 판매비의 증가여부 확인 확인
② 고정경비에 해당하는 인건비 및 각종 관리비의 증가 여부 확인
2. 원가진단<제조원가명세서를 통한 알고리즘 원가분석(1)
제조원가명세서 노선 번호 : 2
전기대비 재료비 증가 →노무비 증가 → 경비증가 → 기초재공품 감소
기말재공품 증가
▼
전기대비 재료비 비율의 증가
▼
전기대비 노무비 비율의 증가
▼
전기대비 경비 비율의 증가
▼
전기대비 기초재공품 비율의 감소
▼
전기대비 기말재공품 비율의 증가
< 제조원가 명세서 >
(단위 : 천원)
구 분 | 2016 | 2017 | 2018 |
Ⅰ. 재료비 | 82,210 | 85,430 | 94,640 |
1. 기초재료재고액 | 0 | 2,350 | 3,850 |
2. 당기재료매입액 | 84,560 | 86,930 | 95,350 |
3. 기말재료재고액 | 2,350 | 3,850 | 4,560 |
Ⅱ. 노무비 | 6,598 | 7,340 | 8,650 |
Ⅲ. 경 비 | 682 | 729 | 816 |
Ⅳ. 당기총제조비용 | 89,490 | 93,499 | 104,106 |
Ⅴ. 기초재공품재고액 | 0 | 4,013 | 4,123 |
Ⅵ. 기말재공품재고액 | 4,013 | 4,123 | 4,255 |
Ⅶ. 당기제품제조원가 | 83,320 | 89,320 | 95,320 |
2. 원가진단<제조원가명세서를 통한 알고리즘 원가분석(2)
Implication
1) 전기대비 재료비 증가 원인 분석
① 이월되는 재료재고액의 과다 평가 계상 여부 확인
② 당기 생산량 증가로 인한 재료비 증가 여부 확인
③ 재료비 소비 비중이 높은 제품위주의 생산 형태인지 여부 확인
④ 고품질 · 고가의 재료 매입에 따른 재료비 증가 인지 여부 확인
⑤ 인플레이션 현상에 의한 재료비 증가인지 여부 확인
⑥ 기말재료재고액의 평가방법에 따른 영향인지 여부 확인
⑦ 세금을 줄이기 위한 기말재료재고액의 과소 계상인지 여부 확인
2) 전기대비 노무비 증가 원인 분석 확인
① 노동력 증가에 따른 노무비 증가 여부 확인
② 당기 생산량 증가로 인한 변동 노무비 증가 여부 확인
③ 정기적인 임금 인상 또는 노동자 파업에 따른 노무비 증가 여부 확인
④ 고임금 경력사원의 증가로 인한 노무비 증가 여부 확인
⑤ 산업특성상 노동집약도가 높은 특성에 따른 노무비 증가 여부 확인
3) 전기대비 제조경비 증가 원인 분석 확인
① 당기 생산량 증가에 따른 변동경비 증가에 의한 여부 확인
② 당기 노동력 증가에 따른 복리후생비·보험료·교육훈련비 등의 증가에 의한 여부 확인
③ 건물·생산설비등의 증가에 따른 감가상각비 증가에 의한 원인인지 여부 확인
④ 판매비와 일반관리비 경비를 기장 오류로 인한 제조경비 기록 여부 확인
⑤ 가공경비 계상 여부 확인
4) 전기대비 기초재공품 원가 증가 원인 분석 확인
① 전기말 재공품의 과대평가로 인한 기초재공품의 증가 여부 확인
② 전기말 완성제품의 생산진척율 하락에 따른 이월재공품의 증가 여부 확인
③ 전기말 생산 주문 증가에 따른 이월재공품 증가 여부 확인
5) 전기대비 기말재공품 원가 감소 원인 분석 확인
① 당기 주문량 감소에 따른 기말 재공품의 감소 여부 확인
② 당기 생산 진척율이 높아짐에 따라 기말재공품의 감소 여부 확인
③ 당기말 주문량 감소에 따른 생산 축소에 의한 기말재공품 감소 여부 확인
④ 기말재공품 평가방법에 의한 기말재공품 감소 여부 확인
⑤ 세금을 줄이기 위한 기말재공품의 과소 계상인지 여부 확인
Ⅲ. CVP & MATRIX ANALYSIS
3. 원가진단<부문별 원가진단 분석<ooo제품 CVP 및 MATRIX 분석
항목 | 금액 | 냉장고 BEP 분석 차트 |
출고가액 | 14,107,240,000 | 비 (단위: 백만원) 용 및 매 출 매출액 매출액선 총비용선 손익분기점 |
변동비 | 6,282,021,700 | |
공헌이익 | 7,825,218,300 | |
고정비 | 2,929,599,200 | |
매출총이익 | 4,895,619,100 | |
손익분기점매출 | 5,281,457,645 | |
손일분기점비율 | 37.4% | |
경영안전율 | 62.6% | |
공헌이익율 | 55.47% |
Ⅳ. 고. 저점법 분석
3. 원가진단<부문별 고. 저점법 분석<OOO제품 변동 직접재료비 분석(1)
2018년 냉장고의 실제 생산량에 따른 변동 직접재료비 발생 현황
연도 | 2018 | |||
제품명 | 냉장고 | |||
월평균생산량 | 643 | |||
대상항목 | 2018년 냉장고의 실제 생산량 기준 변동 직접재료비의 고.저점법 분석 | |||
월 | 실제 생산량 | 실제 발생액 | MAX or MIN | |
1월 | 430 | 423,500,000 | MIN | |
2월 | 550 | 412,300,000 | | |
3월 | 500 | 421,200,000 | | |
4월 | 712 | 489,100,000 | MIN | |
5월 | 620 | 405,300,000 | | |
6월 | 644 | 428,320,000 | | |
월 | 실제 생산량 | 실제 발생액 | 표준 직접재료비 | 차이발생 |
7월 | 640 | 378,200,000 | 472,351,064 | 94,151,064 |
8월 | 800 | 368,900,000 | 509,570,922 | 140,670,922 |
9월 | 958 | 420,310,000 | 546,325,532 | 126,015,532 |
10월 | 702 | 418,320,000 | 486,773,759 | 68,453,759 |
11월 | 656 | 417,325,000 | 476,073,050 | 58,748,050 |
12월 | 508 | 308,920,000 | 441,644,681 | 132,724,681 |
| - | - | - | |
합 계 | 7,720 | 4,891,695,000 | 이 익 | 620,764,007 |
3. 원가진단<부문별 고. 저점법 분석<OOO제품 변동 직접재료비 분석(2)
3. 원가진단<부문별 고. 저점법 분석<OOO제품 변동 직접노무비 분석(1)
2018년 냉장고의 실제 생산량에 따른 변동 직접노무비 발행 현황
연도 | 2018 | |||
제품명 | 냉장고 | |||
월평균생산량 | 643 | |||
대상항목 | 2018년 냉장고의 실제 생산량 기준 변동 직접노무비의 고.저점법 분석 | |||
월 | 실제 생산량 | 실제 발생액 | MAX or MIN | |
1월 | 430 | 16.345.000 | MIN | |
2월 | 550 | 11,321,500 | | |
3월 | 500 | 16,354,200 | | |
4월 | 712 | 18,325,300 | MIN | |
5월 | 620 | 17,325,300 | | |
6월 | 644 | 18,310,000 | | |
월 | 실제 생산량 | 실제 발생액 | 표준 직접노무비 | 차이발생 |
7월 | 640 | 22,325,000 | 17,819,691 | 4,505,309 |
8월 | 800 | 19,421,500 | 18,943,266 | 478,234 |
9월 | 958 | 20,100,000 | 20,052,796 | 47,204 |
10월 | 702 | 22,325,000 | 18,255,077 | 4,069,923 |
11월 | 656 | 21,310,000 | 17,932,049 | 3,377,951 |
12월 | 508 | 19,090,000 | 16,892,743 | 2,197,257 |
| - | - | - | |
합 계 | 7,720 | 222,552,800 | 손 실 | 14,675,879 |
3. 원가진단<부문별 고. 저점법 분석<OOO제품 변동 직접노무비 분석(2)
3. 원가진단<부문별 고. 저점법 분석<OOO제품 변동 직접경비 분석(1)
2018년 냉장고의 실제 생산량에 따른 변동 직접경비 발생 현황
연도 | 2018 | |||
제품명 | 냉장고 | |||
월평균생산량 | 643 | |||
대상항목 | 2018년 냉장고의 실제 생산량 기준 변동 직접경비의 고.저점법 분석 | |||
월 | 실제 생산량 | 실제 발생액 | MAX or MIN | |
1월 | 430 | 88,321,300 | MIN | |
2월 | 550 | 19,521,300 | | |
3월 | 500 | 56,321,500 | | |
4월 | 712 | 36,321,000 | MIN | |
5월 | 620 | 58,645,000 | | |
6월 | 644 | 78,980,200 | | |
월 | 실제 생산량 | 실제 발생액 | 표준 직접경비 | 차이발생 |
7월 | 640 | 71,321,500 | 49,597,672 | 21,723,828 |
8월 | 800 | 86,321,000 | 20,093,956 | 66,227,044 |
9월 | 958 | 88,632,100 | -9,040,964 | 97,673,064 |
10월 | 702 | 91,521,000 | 38,164,982 | 53,356,018 |
11월 | 656 | 85,620,000 | 46,647,301 | 38,972,699 |
12월 | 508 | 76,921,000 | 73,938,238 | 2,982,762 |
| - | - | - | |
합 계 | 7,720 | 838,446,900 | 손 실 | 280,935,414 |
3. 원가진단<부문별 고. 저점법 분석<OOO제품 변동 직접경비 분석(2)
3. 원가진단<부문별 고. 저점법 분석<OOO제품 변동 간접노무비 분석(1)
2018년 냉장고의 실제 생산량에 따른 변동 간접노무비 발생 현황
연도 | 2018 | |||
제품명 | 냉장고 | |||
월평균생산량 | 643 | |||
대상항목 | 2018년 냉장고의 실제 생산량 기준 변동 간접노무비의 고.저점법 분석 | |||
월 | 실제 생산량 | 실제 발생액 | MAX or MIN | |
1월 | 430 | 6,400,000 | MIN | |
2월 | 550 | 3,100,000 | | |
3월 | 500 | 4,500,000 | | |
4월 | 712 | 4,650,000 | MIN | |
5월 | 620 | 5,200,000 | | |
6월 | 644 | 4,600,000 | | |
월 | 실제 생산량 | 실제 발생액 | 표준 간접노무비 | 차이발생 |
7월 | 640 | 4,900,000 | 5,096,809 | 196,809 |
8월 | 800 | 5,010,000 | 4,103,901 | 906,099 |
9월 | 958 | 5,200,000 | 3,123,404 | 2,076,596 |
10월 | 702 | 7,200,000 | 4,712,057 | 2,487,943 |
11월 | 656 | 5,600,000 | 4,997,518 | 602,482 |
12월 | 508 | 7,600,000 | 5,915,957 | 1,684,043 |
| - | - | - | |
합 계 | 7,720 | 63,960,000 | 손 실 | 7,560,355 |
3. 원가진단<부문별 고. 저점법 분석<OOO제품 변동 간접노무비 분석(2)
3. 원가진단<부문별 고. 저점법 분석<OOO제품 변동 간접경비 분석(1)
2018년 냉장고의 실제 생산량에 다른 변동 간접경비 발생 현황
연도 | 2018 | |||
제품명 | 냉장고 | |||
월평균생산량 | 643 | |||
대상항목 | 2018년 냉장고의 실제 생산량 기준 변동 간접경비의 고.저점법 분석 | |||
월 | 실제 생산량 | 실제 발생액 | MAX or MIN | |
1월 | 430 | 19,321,000 | MIN | |
2월 | 550 | 18,350,000 | | |
3월 | 500 | 29,420,000 | | |
4월 | 712 | 19,321,000 | MIN | |
5월 | 620 | 20,520,000 | | |
6월 | 644 | 22,300,000 | | |
월 | 실제 생산량 | 실제 발생액 | 표준 간접경비 | 차이발생 |
7월 | 640 | 18,385,000 | 19,321,000 | 936,000 |
8월 | 800 | 17,420,000 | 19,321,000 | 1,901,000 |
9월 | 958 | 26,560,000 | 19,321,000 | 7,239,000 |
10월 | 702 | 24,320,000 | 19,321,000 | 4,999,000 |
11월 | 656 | 20,100,000 | 19,321,000 | 779,000 |
12월 | 508 | 29,350,000 | 19,321,000 | 10,029,000 |
| - | - | - | |
합 계 | 7,720 | 265,367,000 | 손 실 | 20,209,000 |
3. 원가진단<부문별 고. 저점법 분석<OOO제품 변동 간접경비 분석(2)
5. 원가진단<Z 유형 분석<OOO제품 변동직접재료비 기준 분석
5. 원가진단<Z 유형분석<OOO제품 생산량 기준 분석
5. 원가진단<Z 유형 분석<OOO제품 출고 액 기준 분석
4. 원가진단<생산량 대비 변동원가 선형 분석<OOO제품 분석
"감사합니다"
20XX년 OO월 OO일 (요일)
문의처 : (주)한국경영회계연구원
(공공기관 원가관리 진단 및 지도 / 제조기업 원가관리 진단 및 지도 / 종합병원 원가관리 진단 및 지도)
☎ 032-240-6335
대표원장 조현석 ☎ 010-2246-3953
#원가관리, #제조기업, #재고자산, #조현석, #원가회계, #제조원가명세서, #원가계산, #원가분석, #원가진단, #원가진단사,
#제품별 원가계산, #공정별 원가계산, #표준원가, #원가컨설팅, #CAMS, #원가관리사, #전산원가사, #공공기관 원가계산,
#제조기업 원가계산, #종합병원 원가계산, #제품별 손익분기점 분석, #안산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