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탈락
- 자음군 단순화: 음절 구조 제약, ㄹㄱ(용언 어간 말 ㄱ 앞에서 [ㄹ] - 규칙순), ㄹㅂ(밟다, 넓죽하다, 넓둥글다 [ㅂ]), ㄹ로 끝나는 용언 어간 뒤 - 은/을/음 등의 어미가 올 때
- ㄹ 탈락: 용언 어간말 ㄹ + ㄴ/ㅅ과 같은 [+설정성] 자음, 복합어 형성 과정 ㄹ + ㄴ/ㄷ/ㅅ/ㅈ
- ㅎ탈락: 어간의 종성 ㅎ +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 음소 배열 제약(ㅎ은 모음/공명음과 모음 사이에 올 수 X), 닳아[다라] vs 않는[안는] => 후자는 자음군 단순화
- ㄷ 탈락: ㄷ + ㅆ, 음소 배열 제약, 표준 발음 인정 X, <예외> 낯썰다[낟썰다], <중세 국어> 비싸다 - 빋(값) + 싸다(고가) -> <현대 국어> 비싸다 - 고가, 싸다 - 저가(의미 이동)
- y 탈락: ㅈ/ㅊ/ㅉ + y, 조음 위치 중복 회피, 음소 배열 제약
- ㅡ 탈락: 유음이나 다른 모음에 인접 시, ㅡ 첨가가 아닌 이유(첨가되는 어미 부류를 일반화 불가 X)
- 어미 첫 모음 ㅏ/ㅓ 탈락: 동일 모음 탈락, 장모음화 X(모음 완전 순행 동화는 장음화 O - ex. 채 + 어서[채:서]), 어간 탈락으로 보는 것이 자연스러움(형태소의 형태 보존 원리)
- 모음 ㅣ 탈락: 모음으로 끝난 체언 뒤 조사 첫 모음 ㅣ 탈락, 수의적 탈락
- w 탈락: 양순음/전설음 + ㅘ/ㅝ -> ㅏ/ㅓ, 수의적 현상, 반모음화 이후 원순성 동화 과정 포함(wə - wo -o) ex. 두어 -> 둬 -> 도
2. 축약
- 거센소리되기(유기음화): 파열음/파찰음 예사소리와 ㅎ의 결합, <어문 규정> 어근 말음 장애음(하 X)/공명음(하 O) + 하다 - ex. 넉넉지/편안치, 용언 어간 뒤 접미사 결합, 규칙순
- 모음 축약: 단모음 연쇄의 축약(두 개의 단모음이 제3의 단모음으로 축약 - ex. 사이>새 [새:], 보이다>뵈다 [뵈:다])
3. 첨가
- ㄴ 첨가: 합성어/파생어/구, 자음 + ㅣ/y 시작 실질형태소(<예외> 높임 보조사 요, 한자 접미사),
나뭇잎[나문닙] *문제 제기 - 원래 나무 + 닢, 치아 이(원형) 니(ㄴ 첨가 반영 표기 -> 주격조사와 구분)
* 두음법칙: 한자어 첫머리(두음) 특정 소리가 발음되지 않고 다른 소리로 바뀌거나 탈락, 단어 구조 제약, 열(ㄴ/모음 뒤)/률(자음 뒤)
* ㅅ 첨가: 합성의 과정, 앞말이 모음이나 유성 자음으로 끝날 때, 된소리 되기/비음동화, 사이시옷 표기 규정(고유어 적어도 하나 <예외> 곳간/셋방/숫자/찻간/툇간/횟수)
* 사잇소리 현상: 합성어, 발음상 사잇소리 O, 의미 분화 O, 앞뒤 음운 중 최소 하나가 유성음(된소리 되기와 구분), 사이시옷으로 표기(형태소 X - 중세에는 관형격 조사)
ㅅ 첨가 - 된소리 / ㄴ 덧남, ㄴ 첨가 - ㄴ / ㄴㄴ(*문제 제기) 덧남, 수의성(인사말, 머리말, 김밥 - 적용 X), 의미에 따른(시간·장소·용도·기원/소유주 O)
- y 첨가: 모음으로 끝나는 용언 어간 + ㅏ/ㅓ 시작 어미, 모음으로 끝나는 체언 + 조사 에, 호격조사 아, 표준 발음 인정 X
4. 교체와 규칙순
- 교체: 자동적/비자동적(강력한 음운론적 제약), 규칙적/불규칙적(동일한 조건에서 늘), 음운론적/비음운론적(교체 환경 정보)
- 기저형: 한 형태소를 음운론적 측면에서 대표하는 형태, 음운규칙 적용으로 표면형(실제 발음)으로 실현됨, 이형태 간 상보적 분포
- 규칙순(음운론적 도출): 음운변동 도출 순서, 외재적(인위)/ 내재적(자동) 규칙순, 출혈순(선행 O 후행 X) / 급여순(선행 O 후행 O), 일관된 순서로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