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간의 도리〔夫婦之道〕
아내는 남편과 동등한 사람이니, 한 번 동등해지면 죽을 때까지 바뀌지 않는다. 그러므로 남편이 죽으면 다른 사람에게 시집가지 않고 자식을 따른다. 남편이란 아내의 하늘이니, 아내는 벼슬이 따로 없고 남편의 벼슬을 따르며, 앉을 때도 남편의 나이순에 따라 앉는다.
《주역(周易)》 〈가인괘(家人卦)〉에서 말하였다. “아버지가 아버지 노릇 하고 아들이 아들 노릇 하며 형이 형 노릇 하고 동생이 동생 노릇 하며 남편이 남편 노릇 하고 아내가 아내 노릇 하면, 가도(家道)가 바르게 된다.”
〈소축괘(小畜卦)〉에서 말하였다. “부부가 반목하는 것은 집안을 바로잡지 못하기 때문이다.”
《중용(中庸)》에서 말하였다. “군자의 도는 부부에서 비롯되는데, 그 궁극에 이르러서는 천지에 드러난다.”
〈예운(禮運)〉에서 말하였다. “부부간에 화목하면 집안이 풍요로워진다.”
서로 손님처럼 공경하다〔相敬如賓〕
진(晉)나라 구계(臼季)가 사신을 가다가 기주(冀州)를 지나는데, 기결(冀缺)이 김을 맬 때 그의 아내가 새참을 가지고 나와서 서로 공경하기를 마치 손님을 대하듯이 하였다. 돌아가서 문공(文公)에게 말하기를 “공경이란 덕이 모인 것이므로 공경을 잘 한다면 반드시 덕이 있을 것입니다. 덕으로써 백성들을 다스리고자 하신다면 임금께서 그를 등용하소서. 운운”이라고 하였다.
조강지처를 버리지 않다〔不棄糟糠妻〕
한(漢)나라 광무제(光武帝)의 누이동생인 호양공주(湖陽公主)가 갓 과부가 되어 태위(太衛) 송홍(宋弘)의 늠름한 모습을 사모하였다. 광무제가 누이동생을 시집보내려고 송홍을 불러 묻기를 “귀하게 되어 친구를 바꾸고, 부유해져서 아내를 바꾸는 것이 인지상정이지.”라고 하자, 송홍이 대답하기를 “빈천할 때 사귄 친구는 잊어서는 안 되고, 빈곤할 때 함께 살았던 아내는 내보내서는 안 됩니다.”라고 하였다.
당나라 태종이 울지경덕(尉遲敬德)에게 말하기를 “내가 내 딸을 경에게 시집보내려고 하는데, 어찌 생각하는가?”라고 하니, 경덕이 머리를 땅에 조아리며 사절하기를 “신의 아내가 비록 비루하나 서로 빈천(貧賤)을 함께 했습니다. 신이 비록 배우지는 못했으나, ‘고인들은 가난하다고하여 아내를 바꾸지 않았다’고 들었습니다. 운운”이라고 하였다.
○ 아내를 대하는 도리는 마땅히 송홍(宋弘)과 울지경덕(尉遲敬德)을 본받아야 한다.
아내를 잃었다가 다시 부부가 되다〔失妻還爲夫婦〕
후한 때 황창(黃昌)이 촉군(蜀郡)의 태수(太守)가 되었다. 처음에 그의 아내가 근친을 가다가 도적을 만나 유랑하다가 촉 땅에 들어가 다른 사람의 아내가 되었는데, 그녀의 아들이 죄를 저질러서 황창에게 나아가 심문을 받게 되었다. 황창은 그녀가 촉 땅 사람이 아닌 듯하여 그녀에게 물으니, 대답하기를 “저는 고을의 서좌(書佐) 황창의 아내였으나 도적들을 만나서 이렇게 되었습니다.”라고 하였다.
황창이 놀라서 “무엇으로 알 수 있겠느냐?”라고 하니, 황창의 처가 말하기를 “황창의 왼쪽 발바닥 한가운데에 검은 반점이 있는데, 일찍이 ‘2천 섬의 녹봉을 받는 관리가 될 것이다.’라 하였습니다.”라고 하였다.
이에 황창이 발을 내보이고서 서로 껴안고 슬피 울며 다시 부부가 되었다.
예전 아내를 수레에 태우다〔車載故妻〕
주매신(朱買臣)이 일찍이 땔감을 팔아 그 돈으로 책을 사서 읽자, 그의 아내가 떠나기를 요구하였다. 뒤에 주매신이 길을 가면서 노래를 부르고 있는데, 옛 아내와 아내의 남편 집에서 성묘(省墓)를 하다가 주매신을 보고는 불러서 음식을 주었다. 뒤에 주매신이 회계 태수(會稽太守)가 되어 그의 옛 아내의 부부가 길을 치우고 있는 것을 보았다. 이에 주매신이 수레를 멈추고서 이들을 불러 뒤 수레에 타게 하고는 태수의 집에 도착해서 이들에게 양식을 대 주었다. 이렇게 한 달 남짓 살자 아내가 스스로 목을 매어 죽었다.
황창과 주매신은 이처럼 은혜와 의리를 잊지 않았으니 어진 군자라고 할만하다.
아내가 남편의 학업을 타이르다〔妻戒夫學〕
악양자(樂羊子)가 멀리 유학하러 간 지 1년 만에 되돌아오자, 아내가 짜고 있던 베를 칼로 자르면서 “당신은 마땅히 학업을 쌓아야 할 때인데도 중도에 되돌아왔으니 이 베를 잘라 지금까지 이룬 것을 버리는 것과 무엇이 다르겠습니까?”라고 하니, 악양자가 그 말에 감동되어 되돌아가서 학업을 마쳤다.
뒷날 길을 가다가 버려진 황금을 주워서 아내에게 주자, 아내가 말하기를 “제가 듣기로, ‘뜻 있는 선비는 도천(盜泉)의 물을 마시지 않고, 청렴한 사람은 차래식(嗟來食)을 받지 않는다.’라고 하였는데, 하물며 버려진 것을 주워 이익을 추구하여 행실을 더럽히려 하십니까?”라고 하자, 악양자가 몹시 부끄러워하며 그 황금을 들에 버렸다.
밥상을 들어 눈썹과 나란히 하다〔擧案齊眉〕
한(漢)나라 고사(高士) 양홍(梁鴻)의 아내 맹광(孟光)이 가시나무 비녀에 베로 만든 치마를 입고 매우 삼가며 양홍을 섬겼는데, 항상 밥상을 들어 눈썹과 나란히 하였다.
그녀가 공경하는 예의의 모습을 아내 된 자가 본받지 않아서야 되겠는가?
[주1] 부부가 …… 때문이다 : 《주역(周易)》 〈소축괘(小畜卦) 구삼(九三)〉에 “수레 바퀴살이 벗겨지고, 부부가 서로 반목한다.〔輿說輻, 夫妻反目.〕”라고 하였는데, 그 상전(象傳)에 “부부간에 반목하는 것은 집안을 바로잡지 못하기 때문이다.〔夫妻反目, 不能正室也.〕”라고 한 데서 나온 말이다.
[주2] 군자의 …… 드러난다 : 《중용장구》 12장 4절에서 나온 말이다.
[주3] 부부간에 …… 풍요로워진다 : “부자간에 돈독하고 형제간에 우애가 있고, 부부간에 화목하면 집안이 풍요로워진다.〔父子篤, 兄弟睦, 夫婦和, 家之肥也.〕”에서 나온 말이다.
[주4] 구계(臼季) : 춘추 시대 진(晉)나라 대부(大夫)이다. 진 문공(晉文公)을 따라 망명 생활을 하였다.
[주5] 진(晉)나라 …… 하였다 : 기결(冀缺)은 극결(郤缺)의 별명으로, 그의 아버지 극예(郤芮)가 기(冀)에 봉해졌으므로 ‘기결’이라고도 부른다. 《春秋左氏傳 僖公33年 8月》
[주6] 송홍(宋弘) : 한(漢)나라 장안(長安) 사람으로, 자는 중자(仲子)이다. 광무(光武) 때 대사공(大司公)을 지내고 선평후(宣平侯)에 봉해졌다. 《後漢書 卷26 宋弘列傳》
[주7] 울지경덕(尉遲敬德) : 당 태종(唐太宗)이 잠저(潛邸)에 있을 때부터 수행하며, 두건덕(竇建德)ㆍ왕세충(王世充)ㆍ유흑달(劉黑闥) 등을 정벌한 맹장(猛將)이다. 부하를 지극히 사랑하였으나 자부심이 너무 강해 재상과 대신들을 깔보며 모욕을 가하다가 태종의 준열한 꾸지람을 듣고는 돈수(頓首) 사죄한 뒤 기질을 고쳤다 한다. 많은 전공(戰功)을 세워 악국공(鄂國公)에 봉해졌다.
[주8] 황창(黃昌) : ?~142. 회계(會稽) 여조인(余姚人)으로, 자는 성진(聖眞)이다. 어려서부터 학관(學官) 가까이 살았기 때문에 학문을 좋아하게 되었다. 경학(經學)과 문법(文法)에 밝았다. 처음 벼슬하여 군의 결조(決曹)가 되었다가, 뒤에 완령(宛令)ㆍ태수(太守) 등을 역임하였으며, 정사는 매우 엄정하였다. 순제(順帝) 한안(漢安) 원년에 대사농(大司農)에 이르렀다가 좌천되어 태중대부(太中大夫)로 죽었다. 《後漢書 黃昌傳》
[주9] 주매신(朱買臣) : ?~B.C.115. 회계(會稽) 오인(吳人)으로, 자는 옹자(翁子)이다. 집안이 가난하여 땔나무를 해다 팔아 생계를 꾸려 나갔다. 독서에만 몰두하고 집안을 돌보지 않자 아내가 집을 나갔다. 회계 태수(會稽太守)가 되어서는 횡해 장군(橫海將軍) 한열(韓說) 등과 함께 월나라를 물리친 공으로 주작 도위(主爵都尉)가 되었다가 나중에 승상 장사(丞相長史)가 되었다. 장탕(張湯)과 평소 사이가 좋지 않았기 때문에 장탕이 승상이 되었을 때 주매신을 능멸하고 절교하자, 주매신이 장탕의 음란한 일을 무제에게 고하게 되었다. 이에 장탕은 자결하고 무제는 주매신을 죽였다. 《漢書ㆍ朱買臣傳》
[주10] 뜻 …… 않고 : 도천(盜泉)은 산동성(山東省) 사수현(泗水縣)에 있는 샘 이름이다. 《회남자(淮南子)》 〈설림훈(說林訓)〉에 이르기를 “공자가 도천을 지나가면서 목이 말라도 마시지 않았으니, 그 이름을 싫어했기 때문이다.〔孔子過於盜泉, 渴矣而不,飮 惡其名也.〕”라고 하였다.
[주11] 청렴한 …… 않는다 : 원문의 차래식(嗟來食)은 굶주린 사람을 불쌍히 여겨 예의를 갖추지 않고 주는 음식을 말하는데, 전하여 사람을 업신여겨 무례한 태도로 주는 음식의 뜻으로도 쓰인다. 춘추 시대 제(齊)나라에 큰 흉년이 들었을 때 검오(黔敖)란 사람이 길에서 밥을 지어 굶주린 사람들을 먹이는데, 그때 검오가 왼손에는 밥을 들고 오른손에는 마실 것을 들고 한 굶주린 사람을 불러서 “가엾어라, 와서 먹어라.〔嗟來食〕”라고 하자, 그는 눈을 부릅뜨고 검오를 보면서 말하기를 “나는 오직 가엾게 여겨 와서 먹으라는 음식을 먹지 않았기 때문에 이 지경에 이르렀다.〔予唯不食嗟來之食, 以至於斯也.〕”라고 했다는 데서 온 말이다. 《禮記 檀弓下》
[주12] 양홍(梁鴻) : 동한(東漢)의 부풍(扶風) 평릉(平陵) 사람으로, 자(字)가 백란(伯鸞)이다. 집은 가난하나 절의를 숭상하고 모든 책을 두루 읽어 정통하였다. 같은 고을 맹씨(孟氏)의 딸 맹광(孟光)은 살찌고 못생겼으며 피부가 검었는데, 돌로 만든 절구를 들 정도로 힘이 세었다. 30세가 되어도 결혼하려 들지 않자 부모가 연유를 물으니 “양홍같이 훌륭해야 합니다.”라고 하였다. 양홍이 이 말을 듣고 그녀에게 장가들었는데, 장식이 너무 화려하여 7일이 지나도 말을 하지 않았다. 맹광이 이에 가시나무 비녀를 꽂고 베로 만든 치마를 입으니, 양홍이 기뻐하며 “참으로 양홍의 아내로다.”라고 하였다. 뒤에 부부가 함께 패릉(覇陵) 산중으로 들어가 손수 농사짓고 길쌈하였다. 그러다가 황제의 부름을 피하여 오(吳)로 가서 고백통(皐伯通)의 행랑에서 삯을 받아 방아를 찧으며 살았는데, 아내가 밥상을 들고 올 때는 눈썹 높이와 가지런하게 들어 공손한 예를 다하였다. 남편에게 공순하게 예를 다하고 남편과 해로한 여인을 양홍의 아내〔梁鴻妻〕라 한다. 《後漢書 卷83 逸民列傳 梁鴻》
夫婦之道
妻。齊也。一與之齊。終身不改。故夫死不嫁。而從子。夫者。婦之天也。婦人無爵。從夫之爵。坐以夫齒。易家人卦曰。父父,子子,兄兄,弟弟,夫夫,婦婦。而家道正矣。小畜卦曰。夫妻反目。不能正室也。中庸曰。君子造端乎夫婦。及其至也。察乎天地。禮運曰。夫婦和家之肥也。相敬如賓 晉臼季使過冀。冀缺耨。其妻饁之敬。相待如賓。歸謂文公曰。敬。德之聚也。能敬必有德。德以治民。君請用之云云。不棄糟糠妻漢光武妹湖陽公主新寡。慕太尉宋弘威容。帝欲圖之。召弘問曰。貴易交。富易妻。人情乎。弘曰。貧賤之交。不可忘。糟糠之妻。不下堂云云。唐太宗謂尉遲敬德曰。朕欲以女妻卿。何如。敬德叩頭謝曰。臣妻雖鄙陋。相與共貧賤。臣雖不學。聞古人貧不易妻云云。○待妻之道。當法宋弘及敬德也。失妻還爲夫婦 後漢黃昌爲蜀郡太守。初。其妻歸寧。遇賊流移。入蜀爲人妻。其子犯事。詣昌自訟。昌疑不類蜀人。問之。答曰。州佐黃昌妻。賊掠至此。昌驚曰。何以識之。妻曰。昌左足心。有黑子。嘗言當爲二千石。昌出示之。相持悲泣。還爲夫婦。車載故妻 朱買臣嘗賣薪讀書。其妻求去。後買臣行歌道中。故妻與夫家上墳。見買臣呼食之。及買臣爲會稽太守。見其故妻夫婦治道。買臣駐車。呼令載後車。到太守舍給食。居一月。妻自經死。○黃昌與買臣。不忘恩義如此。可謂賢君子也。妻戒夫學樂羊子遠學一年。歸來。妻引刀斷織曰。夫子積學當日。半道而歸。何異斷斯織。捐失成功。羊子感言。往復終業。他日行路。得遺金以與妻。妻曰。妾聞志士不飮盜泉水。廉者不受嗟來食。況拾遺求利。以汚其行。羊子大慙。捐金於野。擧案齊眉 漢高士梁鴻妻孟光。荊釵布裙。事鴻至謹。常擧案齊眉。○其相敬禮貌。爲人婦者。可不鑑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