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사강의(經史講義) 8
○ 논어(論語) 1 신축년(1781)에 이시수(李時秀), 홍이건(洪履健), 이익운(李益運), 이종섭(李宗燮), 이현묵(李顯默), 박종정(朴宗正), 서용보(徐龍輔), 김재찬(金載瓚), 이조승(李祖承), 이석하(李錫夏), 홍인호(洪仁浩), 조윤대(曺允大), 이노춘(李魯春) 등의 대답을 뽑았다
자한子罕
자절사(子絶四) 장에서 주자(朱子)가 필(必) 자를 풀이하기를, “필(必)은 기필(期必)이다.”라고 하였는데, 아래 장에서 “광(匡) 땅 사람들이 나를 어찌하겠는가? [匡人其如予何]”를 풀이할 때에는 “필시 하늘의 뜻을 어기고 자기를 해칠 수 없을 것임을 말한 것이다.”라고 하였으니, 대개 부자의 이 말은 위 장의 무필(毋必)의 뜻과는 같지 않다. 주자가 풀이한 기필(期必)의 필(必)과 필불능(必不能)의 필은 그 자리에서 차이가 있는 듯한데 어째서인가?
[이익운이 대답하였다.]
필(必)에는 불가필(不可必)이 있고 또한 가필(可必)이 있습니다. 성인(聖人)의 용사행장(用舍行藏)은 각기 그 이치가 타당한지 아닌지에 맞추는 것이니, 일을 해야 옳은지 하지 말아야 옳은지가 판가름 나기 이전에는 기필하지 않는 것입니다. 광(匡) 땅 사람이 하늘의 뜻을 어기고 자기를 해치는 것은 사문(斯文)의 흥망과 관계가 있는 것이니, 사문을 없애려는 것인지 아닌지에 대해서는 반드시 어느 쪽인지를 알 수가 있는 것입니다.
봉황(鳳凰)이 온 것은 순(舜)임금과 문왕(文王) 시대에 있었고 하도(河圖)가 나온 것은 복희 시대에 있었으니, 대개 성인의 정치가 이루어지고 제도가 정해져서 모든 일이 순조롭고 영험이 나타난 이후의 일이다. 돌아보건대, 어찌 도가 행해지기도 전에 사물이 먼저 감응을 함이 있겠는가. 그런데도 공자는 이에 봉황이 오고 하도가 나오는 것을 성인이 도를 시행할 조짐이라고 하여, 그것들이 오지 않고 나오지 않는 것을 탄식하여, “나는 끝났다.”고 하였으니, 참위(讖緯)ㆍ부서(符瑞)의 설에 가깝지 않겠는가?
[이노춘이 대답하였다.]
도가 시행되지 않을 것을 부자는 이미 알았습니다. 다만 복희와 순임금과 문왕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가지고 문명(文明)의 상서(祥瑞)에서 비유를 취하였기 때문에 하도와 봉황으로 말을 한 것이니, 하도와 봉황을 그리워한 것이 아니라 바로 성왕(聖王)을 그리워한 것입니다. 옛 성인이 이미 증험한 하도와 봉황을 빌려다가 오늘날 사도(斯道)가 행해지지 않음을 탄식한 것이니, 이는 시(詩)를 짓는 자가 저구(雎鳩)와 인지(麟趾) 등의 물건에서 흥(興)을 일으키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성현의 말씀을 귀하게 여기는 이유는, 평범하고 알기 쉬운 실제 생활의 일이어서, 신기(神奇)하고 현원(玄遠)하여 잡을 수 없는 것이 아니기 때문인데, 안자(顔子)가 도를 말한 것은 “높고, 단단하고, 앞에 있고, 뒤에 있으며, 우뚝 내 앞에 서 있는 것 같다.”고 하여, 황홀하여 형상하기 어렵다는 뜻이 있는 것은 어째서인가? 더욱 높고 더욱 단단하고 앞에 있고 뒤에 있으며 우뚝 내 앞에 서 있는 듯하나 따르기 어렵다는 뜻을 모두 하나하나 가리켜 말할 수 있겠는가?
[서용보가 대답하였다.]
성인(聖人)의 도(道)가 어찌 신기하고 황홀한 사이에 있겠습니까마는, 배우는 사람 쪽에서 보자면, 고명(高明)하기가 하늘 같고 박후(博厚)하기가 땅 같으며 한량(限量)이 없고 방체(方體)가 없으니 참으로 형용(形容)할 수 없는 것이 있습니다. 박약(博約)으로부터 공부를 해 나가서 ‘그만두고자 해도 그만둘 수 없고 마치 내 앞에 서 있는 듯한[欲罷不能 如有所立]’ 경지에 이르게 되면 저번의 형용할 수 없던 것이 절로 그 안에 있게 되는데, 다만 따르고자 해도 길이 없다는 한 가지는 바로 안자가 도달 못한 한 칸으로서, 단지 한 겹을 뚫고 들어가면 다시 한 겹이 있고 한 등급을 나아가면 또 한 등급이 있는 것이니 바로 안자가 차츰 알아 나감을 아주 잘 징험할 수 있는 곳입니다.
찬앙(鑽仰)은 박약(博約) 이전의 일이다. 어떻게 공부를 해야 찬(鑽)하고 앙(仰)하는 것인가? 탁립(卓立)을 알게 된 뒤를 정자는 말하기를, “여기에 이르면 또한 크게 힘을 쓸 수가 없다.”고 하였다. 이미 힘을 쓸 수가 없다면 또 마땅히 어떻게 공부를 해서 따라가야 하는가? 양자(揚子)는 이르기를, ‘안고공탁(顔苦孔卓)’이라고 하였는데, 여기의 고(苦) 자는 글자를 놓은 것이 아주 알맞은 것이라고 할 수 있는가? 고(苦)의 뜻이 있다면 그 낙(樂)한 곳은 결국 어디에 있는가?
[이노춘이 대답하였다.]
부자의 탁이(卓爾)는 바로 ‘중용(中庸)은 잘 할 수가 없다’는 것이고, 안자(顔子)의 박약(博約)은 바로 ‘덕성(德性)을 높이고 문학(問學)을 말미암는다’는 것입니다. 박약의 공부는 처음부터 끝까지 이어지는 것인데, 그 가운데에 다만 차례와 깊고 얕음이 있는 것입니다. 찬앙도 단지 박약일 뿐이고 탁이도 또한 단지 박약일 뿐입니다. 비록 ‘따르고자 해도 길이 없다’는 경계에 이르더라도, 따르고자 하기만 하면 이것은 바로 힘을 쓰는 것이고 힘을 쓰기만 하면 이것은 바로 생각하고 노력하는 것이니, 박약의 공부로써 쉬지 않고 힘쓰고 오래오래 그렇게 해서 성숙시켜 가는 것에 불과할 따름입니다. 이른바 ‘공자의 우뚝함을 따라가려고 괴로워하였다’는 것이 이것입니다. 찬(鑽), 앙(仰), 첨(瞻), 홀(忽)은 그가 괴로워한 게 아닌 것이 없는데, 이 괴로워함이 바로 낙(樂)이 되는 까닭이었습니다. 그 고(苦)와 그 낙(樂)을 또 말로 형용할 수가 있겠습니까.
여기 “나는 좋은 값을 기다리는 사람이다.”라고 하였다. 그러나 부자는 도를 행하기에 급급하여 석 달을 벼슬을 못하면 안절부절못했으니, 그때로는 행하고 때로는 그친 것을 참으로 후학이 쉽게 엿보아 헤아릴 수 있는 바는 아니지만, 이 ‘좋은 값을 기다린다[待賈]’의 대(待) 자와 견주어 보면 전혀 같지 않은 것은 어째서인가? 선유는 혹 말하기를 “자공이 부자가 숨기지도 않고 또 드러내지도 않음에 의문이 생겼기 때문에 온(韞)과 구(求)로 물었는데, 부자는 고(沽) 자로 그 온(韞) 자를 깨고 대(待) 자로 그 구(求) 자를 깼다. 두 가지 뜻이 모두 중요하다.”고 하였다. 이 학설이 어떠한가?
[이조승(李祖承)이 대답하였다.]
공경과 예우가 극진하면 성인(聖人)이 가지 않은 적이 없고 공경과 예우가 식으면 성인이 떠나지 않은 적이 없으니, 이것이 바로 ‘좋은 값을 기다린다’는 말입니다. 두 가지 뜻이 모두 중요하다고 한 말은 비록 맛이 있는 듯하긴 하나, 하나의 학설로 인정할 수는 있지만 이것을 바른 풀이로 삼는 것은 아마도 옳지 않을 듯합니다.
위는 자한편(子罕篇)이다.
[주1] 안고공탁(顔苦孔卓) : 한(漢) 나라 양웅(揚雄)이 쓴 《양자법언(揚子法言)》 학행(學行)에 “안자는 공자의 우뚝함을 따라가려고 괴로워하였다.”고 하였다.
子罕
子絶四章。朱子釋必字曰。必期必也。而下章。釋匡人其如予何。則曰言必不能違天害己也。蓋夫子此言。固與上章毋必之意不同。朱子所釋期必之必與必不能之必。似若卽地差殊。何也。益運對。必有不可必者。亦有可必者。聖人之用舍行藏。各適其理之當否。則未嘗必之於要做不要做之前也。匡人之違天害己。有關斯文之興廢。則可以必之於欲喪未欲喪之間也。鳳至。在舜文之世。圖出。在伏羲之時。蓋聖人治成制定。百順效靈以後事也。顧安有道未行而物先感者。孔子乃以鳳至圖出。爲聖人行道之兆。而歎其不至不出曰。吾已矣。得不近於讖緯符瑞之說耶。魯春對。道之不行。夫子已知之矣。特寓慕於伏羲 舜文。而取喩於文明之祥。故以圖鳳爲言。非思圖鳳也。乃思聖王也。借古聖已驗之圖鳳。歎今日斯道之不行。是猶作詩者起興於雎鳩麟趾之物也。所貴乎聖賢之言者。以其平常易曉脚踏實地。無神奇玄遠不可摸捉之端。而顔子之語道。則曰高堅前後。卓爾如立。有恍惚難狀之意。何也。其彌高彌堅。在前在後。卓立難從之義。皆可一一指言歟。龍輔對。聖人之道。豈在於神奇恍惚之間。而自學者觀之。高明如天。博厚如地。無限量無方體。誠有形容不得者。及從博約上做工夫。以至於欲罷不能。如有所立之境。則昔之形容不得者。自在這裏。而但其欲從末由之一關。正屬顔子未達之一間。只是透一重更有一重。進一級又有一級。便驗顔子漸見得親切處。鑽仰。博約以前事也。用何工夫。鑽之仰之耶。見得卓立之後。程子以爲到此。亦大段著力不得。旣不得著力。則又當用何工夫以從之耶。揚子曰。顔苦孔卓。此苦字。可謂下得襯切耶。旣有苦底意。則其樂處竟在何地耶。魯春對。夫子之卓爾。卽中庸不可能也。顔子之博 約。卽尊德性道問學也。博約之工。徹始徹終。而其中特有次第淺深。鑽仰只是博約。卓爾亦只是博約。雖至欲從末由之境界。纔欲從便爲著力。纔著力便爲思勉。則不過以博約之工。勉勉不已。久久成熟而已。所謂苦孔之卓是也。鑽仰瞻忽。無非他苦切處。而玆苦也。乃所以爲樂也。其苦其樂。又可以言語形容耶。此曰。我待賈者也。然夫子之急於行道。三月皇皇者。其時行時止。固非後學所易窺測。而視此待賈之待字。煞有不同。何也。先儒或云。子貢疑夫子之旣不隱又不見。故以韞與求爲問。而夫子以沽字破他韞字。以待字破他求字。兩意竝重。此說何如。祖承對。致敬盡禮。則聖人未嘗不往。敬禮衰則聖人未嘗不去。此正待賈之說。而至於兩意竝重之云。雖似有味。備一說可也。而作正解。恐不可。以上子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