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저항의 종류
저항은 크게 고정 저항과 가변저항으로 나누어진다.
1.3.1 탄소 피막 저항
보통 카본 피막 저항이라고 하며 저가이며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저항으로서 세라믹 또는 유리에 탄소입자의 피막을 붙인 것이다. 저항의 정격전력으로는 1/8W, 1/4W, 1/2W 등이 많이 사용된다. 탄소 피막 저항은 고주파 특성은 뛰어나지만 잡음이 많다(오차가 크다)는 결점 때문에 아날로그 회로 특히 고급 오디오 기기와 같이 신호에 민감한 곳에서는 사용되지 않고 금속계의 저항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일반 디지털 회로에서는 저렴한 탄소계의 저항을 사용하여도 거의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림 5. 탄소 피막 저항
1.3.2 금속 피막 저항
금속 피막 저항은 세라믹, 유리 몸체에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을 나사선 모양으로 붙인 것으로 정밀도가 뛰어나고 잡음, 내구성 등의 물리적 특성이 좋다. 금속 피막 저항의 재료는 Ni-Cr(니크롬) 등이 사용 되고 있고 이 저항의 용도는 브리지회로, 필터회로 등과 같이 저항의 정밀도가 회로의 성능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경우와 고급 오디오 같은 아날로그의 잡음이 걱정 되는 회로 등에 주로 사용한다. 그리고 온도에 대한 특성이 좋다.
그림 6. 금속 피막 저항
1.3.3 산화 금속 피막 저항
산화 금속 피막 저항은 사기 또는 유리 몸체에 금속류를 산화시킨 산화금속을 입힌 것으로 메탈저항과 비슷하지만 잡음 특성이 금속 피막 저항에 비해 좋지 않아서 금속 피막 저항의 저급용으로 사용 된다. 일반형 오디오 기기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열에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전원회로와 같이 전류가 많이 흐르는 전원부에 많이 사용된다.
그림 7. 산화 금속 피막 저항
1.3.4 카본 솔리드 저항 (카본 콤포지션 저항)
카본 솔리드 저항은 탄소와 수지, 무기물을 혼합한 분말을 덩어리로 소성시킨 것으로 전원부 또는 고주파 계측기와 통신기기에 많이 사용된다. 몸체 전체가 저항체이므로 유도성분이 전혀 없으며 전류의 흐름이 매우 좋다. 주로 고주파 기기나 캐소드 저항에 많이 사용된다.
그림 8. 카본 솔리드 저항
1.3.5 권선형 저항
권선형 저항기는 구리나 니켈의 저항선을 세라믹 몸체에 코일 모양으로 감은 것으로 선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정밀한 저항값을 얻을 수 있다. 전력용과 정밀용이 있는데 주로 굵은 선을 사용하여 대전력용의 저항으로 사용되며 내구성 및 신뢰도가 뛰어난 저항이다.
그러나 높은 저항값을 제조하기 어렵고 선을 절연체에 코일 형태로 감아 붙이기 때문에 유도성분이 있어서 주파수가 높은 회로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흔히 볼 수 있는 것으로는 저항을 법랑으로 덮은 법랑 저항과 특수한 시멘트로 굳힌 시멘트 저항 등이 있다.
그림 9. 권선형 저항
1.3.6 어레이 저항
어레이 저항은 같은 저항 값을 가진 여러 개의 저항을 묶어 일체형으로 만든 것이다. 디지털 회로에서 주로 사용되며 LED의 전류를 제어하는 경우에도 사용되며 회로의 실장공간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저항의 인쇄면에서 보았을 때 맨 좌측의 리드가 공통(COMMON)단자이다. 그리고 같은 모양이면서 4S 라고 표시된 것도 있는데 이것은 같은 값의 독립된 저항 4개가 내장된 것이다. 주로 디지탈 회로처럼 동일한 회로에 많은 저항기가 필요한 경우 사용 된다.
그림 10은 어레이 저항의의 실 모습과 내부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림 10. 어레이 저항
1.3.7 칩 저항
칩 저항은 다리가 달려있지 않고 기판위에 바로 납땜 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고 수 mm의 아주 소형이다. 회로 보드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주로 사용하는 곳은 핸드론, MP3 등에 많이 사용된다. 하지만 정격 전력이 작아서 신호를 전달하는 디지털 회로에서만 사용된다.

그림 11. 칩 저항
1.3.8 가변 저항
가변저항은 (볼륨, Variable ohm)란 문자 그대로 저항을 가변할 수 있도록 되어있는 부품이다.구조적으로는 저항체의 위를 가동편이 슬라이드하게 되어 있고 가동편이 있는 위치에 따라 저항이 변한다. 가변저항은 라디오의 음량 조정과 같이 용이하게 저항값을 바꿀 수 있는 볼륨타입과 전자회로에서 부품의 오차에 의한 동작 상태를 조정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반고정 타입이 있다. 주로 가변저항은 회전할 수 있는 각도가 300도 정도이지만 저항을 세밀하게 조정하기 위해 기어를 조합하여 다회전(10~25회 정도)시킬 수 있는 퍼텐션미터(Potentionmeter)라는 것도 있다.
이 저항체에는 다음3 종류가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탄소 피막계 : 가격이 싸며 특성도 어느 정도 좋기 때문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피막이 점차 적어지고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내구성이 떨어진다.
금속 피막계 : 내구성과 잡음 특성이 우수하여 고급 스테레오나 측정기 등에 사용되고 있다.
코일 : 코일 저항을 사용한 것으로 대전류에 사용할 수 있으나 비교적 작은 저항치만 있다.
그림 12. 가변저항기호와 각종 가변저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