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버섯의 분류체계
분류학상 크게 생물(生物 animate)과 무생물(無生物 inanimate)로 나누어 지고, 생물은 식물(植物 plant)과 동물(動物 animal)로 대별된다. 18세기경 스웨덴의 Linne는 식물계(植物界)를 24강(綱)으로 나누어, 현화식물 (現化植物)과 은화식물(隱化植物)로 크게 대별하여, 양치류(羊齒類), 지의류(地衣類), 조류(藻類), 균류(菌類)를 은화식물에 포함하고, 그 중에서 조류와 균류는 근(根)·경(莖)·엽(葉)의 구별이 없기 때문에 하등식물(下等植物) 인 엽상식물(葉狀植物)로 분류하였다. 이것이 "균류는 곰팡이와 유사한 조류(alge)에서 엽록소가 퇴화하여 생겨 났다"는 조류기원설(藻類起源說)이다 19세기에 이르러 은화식물을 양치식물, 지의식물, 엽상식물(조류와 균류)로 나누었고, 균류를 분열균류와 진균류 (조균류, 깜부기균류, 녹균류, 자낭균류, 담자균류) 그리고 지의류를 포함하는 분류체계가 나왔다. 20세기초에 엽상식물문(葉狀植物門)에 분열균류, 점균류, 조균류, 자낭균류, 담자균류, 불완전균류를 포함하는 분류체계가 제안되었다. 1924년 Engler 등은 식물을 17문(門)으로 대별하고, 제1문은 세균식물문, 제4문은 점액식물문, 제12문은 균류 (고생균류, 조균류, 자안균류, 담자균류) 및 불완전균류, 제13문에 지의류를 포함시켰다. 1964년 Gёumann은 진균을 고생균, 조균, 자낭균, 담자균, 불완전균으로 분류하였으며, 1973년 Ainsworth & Bisby은 이를 보완하여 진균을 유주자균(遊走子菌), 접합균(接合菌), 자낭균(子囊菌), 담자균(擔子菌), 불완전균 (不完全菌)으로 분류하여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1978년 寺川의 생물삼원론(生物三元論)에 의해 식물계(植物界), 동물계(動物界) 그리고 균계(菌界)로 나누게 되어 버섯은 균계에 속하게 되었다. 균계는 원핵균류(마이코플라스마, 세균, 방선균 등)와 진핵균류(眞菌)로 나누어 지는데, 버섯은 진핵균류 중 담자균과 자낭균에 속하는 사물기생균(死物寄生菌), 활물기생균(活物寄生菌) 또는 활물공생균(活物共生菌)이다. 寺川의 분류에 의하면 균계는 크게 원핵균류와 진핵균류로 대별된다. 원핵균류는 세포의 길이와 체적이 극히 작고 막에 싸여 있는 핵이나 미토콘드리아를 갖고 있지 않는 것이고, 진핵균류에는 여러가지 세포내 미세구조를 가지고 있다. 진균에 있어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어떠한 분류체계도 확정, 공인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여기서는 1973년 Ainsworth & Bisby가 제안한 분류체계에 따라 분류하였다. |
버섯의 분류계급
분류학적 분류계급 |
생물의 특성은 유전자(遺傳子)의 구성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특성이 형태적 또는 생리적 성질로 표면에 나타나는데 이것을 표현형이라 한다. 표현형에 의해 유연관계를 판단하고 유사한 특성을 가진 개체가 다른 개체와 명확히 구별될 때 이 개체를 종(種)이라고 한다. 다음에 유사한 종의 집단이 타종의 집단과 구별되는 종의 집단을 속(屬)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속의 집단이 과(科)가 되고, 순차로 목(目), 강(綱), 부(部), 계(界)가 된다. 더욱 세분하기 위해 중간단계로 아목(亞目), 아강(亞綱), 아부(亞部) 등을 쓰는 경우도 있다. 종은 분류의 기본단위 이므로 속명(屬名)과 함께 종명(種名)을 학명(學名)으로 사용한다. 학명은 특정 종의 특징이나 소속을 표시하기 위해 이명법(二名法)에 의해 명명되고, 라틴어로 표기하되 반드시 속명의 첫자는 대문자로 쓰고, 일반적인 표기시 이태릭체 또는 밑줄을 그어 다른 단어와 구별되게 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분류학적 분류체계
분류학적 분류체계('73, Ainsworth & Bisby) |
균계(菌界 Fungi)
점균부(粘菌部 Myxomycota) : 균사가 없고, 아메바상(狀)이며, 다핵 (多核)의 나원형질체(裸原形質
|
균계의 분류('77, 寺川)
|
특수한 분류(Specific Taxonomy) |
자실층(子實層)에 의한 분류(Taxonomy by hymenium)
담자기과의 형성유무에 따른 분류(Taxonomy by basidiocarp)
|
Morels |
자낭균아부(子囊菌亞部 Ascomycotina), 반균강(盤菌綱 Discomycetes), 찻잔버섯목(Pezizales)에 속하는 균의 일반명(一般名)으로서, 생활사(生活史)에 대해서는 연구된 것이 별로 없으나, 자낭포자가 분산(分散)되어 발아(發芽)해서 자실체를 형성한다. 자실체는 매우 두꺼운 자루와 굉장히 큰 자낭반(子囊盤 apothecium)을 형성하는데, 이것이 바로 갓이다. 이 갓은 다른 버섯류와는 달리 매우 특징적인 것이어서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자낭반이 자실체의 갓 표면 전체에 형성되어 있으며, 마치 이랑모양을 이루고 있어 스폰지(sponge)와 유사하다고 하여 Sponge Mushroom 또는 솔방울(pine-cone)을 닮았다고 하여 Morel이라고 불린다. 버섯의 크기는 매우 큰 편이며, 10∼14㎝에 달하는 것도 있고, 현재의 기술로서는 인공배양(人工培養)시 균사생장은 가능하나 자실체의 형성이 불가능한 형편이다. True morel
False morel
|
Truffles |
자낭균아부(子囊菌亞部 Ascomycotina), 반균강(盤菌綱 Discomycetes), 괴균목(塊菌目 Tuberales)에 속하는 균의 일반명으로서 보통 송로(松露)라고 부른다. 지하에 자실체를 형성하며 자실층(子實層)이 폐쇄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균 자체가 스스로 포자를 방출(放出)시키지 못하므로, 자낭포자는 자실체가 썩거나 자실체에서 풍기는 냄새 또는 향기를 맡고 유인(誘引)된 동물(動物)에 의해 분산(分散)된다. 자낭은 반균강에 속하는 기타 미생물과는 달리 원형(圓形) 또는 난형(卵形)이며, 자낭포자는 구형(求刑)으로서 돌기(突起)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속하는 대표적인 균은 괴균과(塊菌科 Tuberaceae)에 속하는 괴균버섯(Tuber indicum)이며, 괴경균과 (塊莖菌科 Terfeziaceae)에 속하는 괴경버섯(Terfezia gigantea) 등이 이에 포함된다. 괴균목에 속하는 대부분은 실내에서 배양하여 자실체를 얻는데 실패하였으며, 괴균버섯속에 속하는 송로(松露)에 있어 야생(野生)상태의 원산지(原産地)는 프랑스와 이태리이며, 참나무속(Quercus spp.)의 뿌리에 균근(菌根 mycorrhiza)으로 생활하고 있기 때문에 참나무의 적절한 종을 이용한 재배는 어느정도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송로에 대한 인공재배는 반야생(半野生)상태에서 주로 이루어 지고 있는데, 접종 후 약 7년만에 자실체가 발달하며, 자실체가 지하에 있으므로 잘 훈련된 돼지나 개, Truffle Flies 등을 이용해서 채취한다. |
False Truffles |
담자균아부(擔子菌亞部 Basidiomycotina), 진정담자균강(眞正擔子菌綱 Eu- basidiomycetes), 복균아강(腹菌亞綱 Gasteromycetidae), 알버섯目(Hymeno- gastrales)에 속하는 균으로서, 일반적으로 복균아강에 속하는 버섯은 자실층이 성숙하더라도 둘러싸여 있어서 공기 중으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포자가 저절로 분산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모균아강(帽菌亞綱 Hymenomycetes)과 구별된다. 또한 자실체도 잘 발달된 외피막(外皮膜 peridium)에 의해 둘러 싸여 있는 것이 분류학적으로 중요한 특징이다. 그 중에서 토양 내에서 자실체가 발달하여 자실체가 성숙하더라도 외피막이 열개(裂開)되지 않는 종이 대부분인데, 이것을 알버섯목으로 분류한다. 이 목에 속하는 균들은 지하에 자실체를 형성한다는 것으로 볼 때 송로(松露 Truffles)와 유사하나, 균학적 특징이 다르기 때문에 False Truffles라는 일반명으로 불리고 있다. 이들에 속하는 것들은 균근(菌根 mycorrhizae)을 형성하는 종이 많고, 주로 작은 들짐승들이 자실체를 먹고 포자를 전반(傳般)시킨다. |
Puff-balls, Earth-stars |
알버섯목에 속하는 False Truffles와 균학적으로는 유사한 것으로서, 담자균아부(擔子菌亞部 Basidiomycotina), 진정담자균강(眞正擔子菌綱 Eubasidio- mycetes), 복균아강(腹菌亞綱 Gasteromycetidae), 말불버섯目(Lycoperdales)에 속하는 균이다. 자실체가 성숙하면 외피막(外皮膜 peridium)이 열개(裂開)되고 균사는 지하부에서 발달하지만 지상부에 구형(求刑) 또는 준구형(準求刑)의 자실체가 발달하는 버섯을 말한다. Puff-balls
Earth-stars
|
분류, 이용, 약제
버섯의 분류를 위해서는 육안적(肉眼的) 관찰도 일부 가능하나, 거의 대분분이 현미경적(顯微鏡的) 관찰에 의존해야만 가능하다. 현미경적 관찰에 주로 이용되는 방법은 슬라이드배양법, 현적배양법, 샤레배양법 등이 있는데, 이의 조작과정이나 뚜렷한 관찰을 위해 고정액(固定液)이나 특수시약(特殊試藥)들을 활용하게 된다. 현미경관찰에 있어 조작시 파라프레아트상의 검경시료(檢鏡試料)와 커버글라스의 고정을 위해 사용되는 기본적인 고정액은 물이다. 그러나 물은 관찰도중 금방 말라버리기 일쑤이고 색상의 변화를 주지 못해 특별한 구조가 잘 관찰되지 않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수의 고정액과 시약이 고안되어 있으며, 오늘날까지 실험실에서 널리 이용되어 오고 있다. 물 + 습윤제
KOH-Phloxine 액
Lacto-fuchsin 액
Melzer's reagent
청색잉크를 첨가한 Shear 액 2% Potassium acetate 수용액 300㎖, Glycerine 120㎖, 95% Alcohol 180㎖, Blue ink(청색잉크) 0.1∼0.2%(중량비)를 정량조제(定量調製)한 액으로서, 수 주일간 슬라이드를 건조되지 않게 하는 대단히 좋은 만능 고정액이다. 카바글라스를 매니큐어로 봉인(封印)하면 상당기간 보존이 가능해지며, 세포벽과 핵 등이 청색으로 염색된다. 기타
|
|
생물군에 속하는 3계의 생물적 특성('84, 寺川)
1) 형태적으로는 소극적이지만 활동상에는 복잡한 유기물의 흡수가 가능하고, 간단한 유기물로 분해하 2) 단순한 소비자는 아니고 생산자의 산물을 포식하여 잘게 부수어 분을 배출하여 환 원자에게 주는 중간 3) 신생세포가 쌓여 조직이 발달하는 것과는 달리 수정란이 분할되어 많은 세포가 구 상(球狀)으로 배열 4) 담자균류와 자낭균류의 자실체는 동식물류의 생식기관과는 의미가 다르며, 핵융합 과 감수분열을 계 5) 준복상환상(2n)체가 발달하여 형성된 단상(n)체는 간단하나, 단중상환은 복상과는 달리 중상체(n+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