顯德第十五
제15장, (옛날에 도道를 얻었던 임금의) 덕스러운 모습德을 설명한다.
古之善爲士者,
옛날에 (도道를 얻어서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이) 일삼기를 잘했던 임금은
謂得道之君也.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이 “일삼기를 잘했던 사람善爲士”은) 이른바 도(道; 自然)를 얻었던 임금이다.
微妙玄通,
(일부러 일삼는 바가) 어슴푸레하고 어렴풋한 하늘과 어우러졌는데,
玄, 天也. 言其志節玄妙, 精與天通也.
“현玄”은 하늘을 가리킨다. 이른바, 그 뜻이 하늘을 법칙 삼음으로써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이) “어렴풋했으며”, (그) 면밀한 바(精; 心)가 하늘과 더불어 함으로써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無爲과) “어우러졌다”는 말이다.
深不可識.
(따라서 그 덕스러움德이 넓고) 깊었으며, (따라서 그 넓이와 깊이를 또렷하고 뚜렷하게) 알아차릴 수 없었다.
道德深遠, 不可識知, 內視若盲, 反聽若聾, 莫知所長.
(이른바) 도(道; 自然)의 덕스러움(德; 自然)은 “깊고” 넓다. (따라서 그 깊이를 또렷하게) “알아차릴 수 없고”, (그 넓이를 뚜렷하게) “알아차릴 수 없다.” (따라서) 안으로 살펴보지만, 눈이 먼 사람(이 알아차리는 깊이)처럼 (“어렴풋하게”) 되고, 밖으로 들어보지만, 귀를 먹은 사람(이 알아차리는 넓이)처럼 (“어슴푸레하게”) 된다. (이른바, 저절로 그러한 도道의 덕스러움德은 “깊고” 넓은데, 따라서 그 깊음과 넓음의) 크기를 (또렷하고 뚜렷하게) 알아차릴 수 없다.
夫唯不可識, 故强爲之容.
이른바, 도무지 알아차릴 수 없었는데, 따라서 (나는) 그러한 (옛날 임금의 덕스러운) 모습을 (아래에) 일부러 일삼는다.
謂下句也.
(“그러한” “옛날” 임금의 덕스러운 “모습”은) 이른바, 아래의 문장(이 설명하는 “모습”)이다.
與兮若冬涉川 ;
어려워하는구나! 겨울에 냇가를 건너듯
擧事輒加重愼與. 與兮若冬涉川, 心難之也.
(“여與”는) 사안을 처리하는 데 있어서 자주 (그리고) 거듭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에 대해) 신중함을 더하여 “대처하는” 모습이다. (따라서) “여혜與兮”는 “겨울에 냇가를 건널 때처럼”, (사안을 처리하는 데 있어서 자주 그리고 거듭) 마음이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 그것을 어려워한다는 뜻이다.
猶兮若畏四鄰 ;
멈칫멈칫하는구나! 사방의 이웃을 두려워하듯
其進退猶猶如拘制, 若人犯法, 畏四鄰知之也.
(“유猶”는) 그 나아감과 물러남이 “멈칫멈칫하는 모습”으로서, (그것을) 구속당하고 제약당한 “듯한 모습”이며, 법을 어긴 사람이 그것을 알아차린 “사방의 이웃을 두려워하는” “듯한 모습”이다.
儼兮其若客 ;
삼가는구나! 그 손님처럼
如客畏主人, 嚴然無所造作也.
(“엄儼”은) “손님”이 주인을 두려워하는 “듯한 모습”으로서, (“손님”이 “주인” 앞에서 몸가짐을) “삼간” 채, (동작이나 표정을 일부러 일삼아) 만들어 내거나 지어 보이는 바가 없는 모습이다.
渙若氷將釋,
풀어져 흩어지는구나! 장차 녹아서 사라지는 얼음처럼
渙者, 解散. 釋者, 消亡. 除情去欲, 日以空虛.
“환渙”은 풀어져 흩어지는 모습이다. “석釋”은 녹아서 사라지는 모습이다. (이른바, “환渙”은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는) 마음을 (“풀어서”) 없애고,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欲를 (“흩어서”) 떠나보냄으로써, (일삼음에 있어서) 나날이 (일부러 일삼는 바가 “녹아서”) 텅 비고 (“사라져”) 텅 비는 모습이다.
敦兮其若朴,
도탑구나! 그 후박나무처럼
敦者, 質厚. 朴者, 形未分. 內守精神, 外無文采也.
“돈敦”은 (그 저절로 그러한) 본질(質; 自然)이 (아직 갈라지지 않은 채) 도탑다는 말이다. “박朴”은 (그 저절로 그러한) 형상이 아직 나누어지지 않(은 채, 그 두터움을 잃어버리지 않)았다는 말이다. (이른바, “돈敦”은) 안으로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가 없음無欲이 아주) 면밀한 바(精; 自然·質)와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無爲이 크게) 신령스러운 바(神; 自然·質)를 지킴으로써, 밖으로 (일부러 일삼아) 무늬를 새기는 바(文; 有爲·形)와 (일부러 일삼아) 색깔을 칠하는 바(采; 有爲·形)가 없는 모습인 것이다.
曠兮其若谷 ;
넓구나! 그 계곡처럼
曠者, 寬大. 谷者, 空虛. 不有德功名, 無所不包也.
“광曠”은 넓고 크다는 말이다. “곡谷”은 텅 비고 텅 비었다는 말이다. (이른바, “광曠”은 일부러 일삼아 높여지는) 덕스러움德과 (받들어지는) 공功과 (지어 불리는) 이름을 갖지 않는 모습으로서, (그것들을) 품는 바가 없는 모습인 것이다.
渾兮其若濁.
뒤섞이는구나! 그 흙탕물처럼
渾者, 守本眞, 濁者, 不照然. 與衆合同, 不自專也.
“혼渾”은 (맑음의) 본질이 되는 바(本; 自然)와 (맑음이) 참된 바(眞; 自然)를 (비추고) 지키는 (사람의) 모습이고, “탁濁”은 그러한 바들을 (지키거나) 비추지 못하는 (사람의) 모습이다. (이른바, “혼渾”은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는) 세상 사람들과 더불어 어우러지고 아우러진 채,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는 자신을) 스스로 오롯하게 하지 않는 (사람의) 모습인 것이다
孰能濁以靜之, 徐淸.
누구인가? (저절로 그러하게 맑은 자신의 물을 스스로) 탁하게 함으로써, (일부러 일삼아 탁해진 세상 사람들의 물) 그것을 고요하게 하고, (그것이) 천천히 (저절로) 맑아지게 할 수 있는 사람은.
孰, 誰也. 誰能知水之濁止而靜之, 徐徐自淸也.
“숙孰”은 ‘누구인가?’라는 말이다. (이른바, 이 문장은) “(그것을) 알아차려서 (그렇게 되도록) ‘할 수 있는’ 사람은 누구인가? (비유컨대, 저절로 그러하게 맑은 자신의) 물(水; 心·自然)이 (스스로) ‘탁해지면’, (따라서 일부러 일삼아 ‘탁해진’ 세상 사람들의 물과 ‘뒤섞임’에) 이르게 되고, 따라서 ‘그것을 고요하게 하게 되며’, (따라서 ‘그것’이) ‘천천히’ ‘천천히’ (가라앉게 되고, 따라서 ‘그것’이) 저절로 (스스로) ‘맑아지게 된다’는 것을”이라는 뜻이다.
孰能安以久動之, 徐生.
누구인가? (일부러 일삼아 탁해진 세상 사람들의 물을) 평안하게 함으로써, (그들이 저절로 그러하게 맑은 물) 그것을 오래 일삼게 하고, (그들을) 천천히 (저절로 오래) 살게 할 수 있는 사람은
誰能安靜以久, 徐徐以長生也.
(이른바, 이 문장은) “(그것을 알아차려서 그렇게 되도록 할 수 있는 사람은) 누구인가? (일부러 일삼아 ‘탁해진’ 세상 사람들의 물을) ‘평안하게 하고’ 고요하게 함으로써, (그들이 저절로 그러하게 맑은 물을 일삼음이) ‘오래 가게 하고’, (따라서 그들이 저절로 그러한 삶을 일삼음이) ‘천천히’ ‘천천히’ (이어지게 하며, 따라서 그들이 저절로 스스로) ‘오래 살게 할 수 있는’ 사람은”이라는 뜻이다.
保此道者, 不欲盈.
(이른바, 옛날의 임금이 얻었던) 그러한 도道를 지키는 사람인데, (따라서 그는 가득) 채우고자 하지 않는다.
保此徐生之道, 不欲奢泰盈溢.
(이른바, “옛날”의 임금이 얻었던) “그러한” (“도道를 지키는 사람”은 세상 사상들의 삶이) “천천히” (이어지게 하고, 따라서 그들을 오래) “살게 하는” (“이러한”) “도(道; 自然)를 지키는” 사람인데, (따라서 그는) “(가득) 채움”을 자랑으로 여기거나 “(가득 차서) 넘침”을 편안하게 여기고자 하지 않는다.
夫惟不盈, 故能蔽不新成.
이른바, 오로지, (가득) 채우지 않는데, 따라서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에 대해) 어렴풋한 채, (자신이) 이룬 바를 새롭게 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夫爲不盈滿之人, 能守蔽不爲新成. 蔽者, 匿光榮也. 新成者, 貴功名.
“이른바”, “채워서” (가득) 차지 “않음”을 일삼는 사람은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이) “어렴풋함(蔽; 玄)”을 지킴으로써, (자신이) “이룬 바를 (일부러 일삼아) 새롭게 하지 않는다. “폐蔽”는 (자신의) 빛남과 영화로움을 (세상 사람들에게) 숨긴다는 말이다. “신성新成”은 (자신의) 공功과 이름을 (세상 사람들에게 일부러 일삼아) 귀하게 여기게 한다는 말이다.
첫댓글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저의 부족함 탓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