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의 파일을 클릭하면 논문을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
재생연결(paṭisandhi)의 과정과 양상 __『위숫디막가』 제17장의 ‘상카라를 조건으로 의식이 있음에 관한 논의(Saṅkhārapaccayāviññāṇakathā)’를 중심으로__The Process and Aspect of the Consciousness of Rebirth(paṭisandhicitta): Focusing on Saṅkhārapaccayāviññāṇakathā in the chapter 17 of Visuddhimmagga
인도철학
2024, vol., no.71, pp. 105-134 (30 pages)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연구분야 : 인문학> 철학 > 동양철학 > 인도철학
한상희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학술연구교수
이 논문은 한국연구재단 지원과제의 연구결과물입니다. [KRM 바로가기]
[2021년 (B유형)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빨리(Pāli) 문헌의 ‘재생(再生)’에 관한 연구
초록
이 논문은 위숫디막가(Visuddhimagga) 제17장의 ‘상카라를 조건으로 의식이 있음에 관한 논의(Saṅkhārapaccayāviññāṇakathā)’를 중심으로 재생연결의 마음과 그 대상, 죽음에서 재생연결로 이어지는 과정, 그 과정에서의 마음의 흐름[心相續]에 대하여 고찰한 것이다. 아비담마에 따르면, 한 생이 재생연결의 마음에서 시작되어 죽음으로 끝나면 마음은 곧바로 다음 생의 재생연결로 이어진다. 재생연결의 마음에는 19가지가 있고, 그 종류에 따라 그 생에 태어날 장소와 모습 등이 결정된다. 이 마음의 대상은 과거나 현재, 또는 과거와 현재라고 말할 수 없는 개념적인 것으로, 업과 그 업의 상징, 다음에 태어날 곳의 모습으로 구체화되어 나타난다. 재생연결의 마음은 이 가운데 하나를 대상으로 가지기 때문에, 그 생은 자신이 지은 업의 결과로서 나타난다. 재생연결의 마음은 이전 생의 죽음의 마음에서 이어지지만, 죽음의 마음이 그대로 다음 생으로 옮겨가는 것은 아니다. 재생연결의 마음이 가지는 대상은 이전 생의 죽음 직전에 일어난 인식과정에서 나타난 대상이고, 이전 생의 죽음의 마음은 그 생의 재생연결의 마음이 가지는 대상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둘은 서로 다른 대상을 가진 다른 마음이다. 그렇기에 윤회의 과정에서 다른 세계에 다른 모습으로 태어날 수 있다. 그러나 재생연결의 마음은 이전 생의 업 등을 원인으로 하여 일어난 것이기 때문에, 이전 생과 무관한 완전히 다른 마음으로 일어나는 것도 아니다. 그렇기에 자신이 지은 업의 과보를 받을 수 있다. 한 생과 그 다음 생의 연속성은 바로 여기에 있다.
키워드
;
재생연결 결생(結生) 업 마음의 흐름[心相續] 윤회 위숫디막가 paṭisandhi, kamma, cittasantati, saṃsāra, Visuddhimagga.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재생연결의 마음과 대상
Ⅲ. 죽음과 재생연결의 과정
Ⅳ. 죽음심과 재생연결심의 상속
Ⅴ. 나가는 말
① 재생연결은 번뇌에 의해 일어난다.
② 재생으로 연결되는 것은 이전 생의 정신과 물질[名色]이 아 니라 업에 의해 생겨난 다른 정신과 물질이며, 다시 태어나는 한 자신이 지은 업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③ 재생연결은 이전 생의 마음이 옮겨가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원인으로 해서 이어지는 것이다
약호 및 참고문헌
AN: Aṅguttara-nikāya, PTS.
Abhidh-s: Abhidhammatthasaṅgaha, PTS.
Abhidh-s-mhṭ: Abhidhammatthavibhāvinī-ṭīkā, PTS.
Mil: Milindapañha, PTS.
MN: Majjhima-nikāya, PTS.
Nidd I: Mahāniddesa, PTS.
Paṭis: Paṭisambhidhāmagga, PTS.
Pm: Paramatthamañjūsā, Chaṭṭhasaṅgāyana Ṭīkā Series 25 & 26, 2 vols. Yangon: Ministry of Religious Affairs, 2008.
Ps: Papañcasūdanī, PTS.
SN: Saṃyutta-nikāya, PTS.
Sn: Sutta-nipāta, PTS.
Spk: Sāratthappakāsinī, PTS.
Tikap: Tikapaṭṭhāna, PTS.
Vibh-a: Sammoha-vinodanī, PTS.
Vism: Visuddhimagga of Buddhaghosācariya, ed. Henry Clarke WARREN, rev. KOSAMBI, Dharmananda, (Harvard Oriental Seriese), Delhi: Motilal Banarsidass, 1989.
김경래(2019). 「남방 테라와다의 정체성 확립과 바왕가(bhavaṅga) 개념의 전개 (4)―청정도론(Visuddhimagga) 14장(khandhaniddeso)을 중심으로―」, 불교학리뷰. vol. 26, pp. 53-77.
대림・각묵 역(2024). 아비담마 길라잡이(상). 울산: 초기불전연구원.
멤 틴 몬(2016). 체계적으로 배우는 붓다 아비담마. 서울: 불광출판사.
羽塚高照
2004 「CatuṣpariṣatsūtraとMahāvastuにおける結生の記述」, 印度学仏教学研究」. vol. 53, no. 1, pp. 83-86.
2010 「仏典における結生(pratisaṃdhi)の導入と展開」, 佛教学セミナー. vol. 91, pp. 19-37. 132∙印度哲學 제71집
室寺義仁(1996). 「誕生(再生)の定型表現を巡る仏教徒の諸伝承」, 高野山大学論文集. vol. 307, pp. 181-198.
Collins, S.(1982).Selfless persons: imagery and thought in Theravāda Buddhism. Cambridg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Gethin, R.(1994). “Bhavaṅga and Rebirth According to the Abhidhamma”, The Buddhist Forum. vol. 3, pp. 11-35. Karunadasa, Y.(2010). The Theravāda Abhidhamma: Its Inquiry into the Nature of Conditioned Reality. Hong Kong: Center of Buddhist Studies, The University of Hong Kong.
Ven. Suriya(2015). “An Analytical Study of “Rebirth” (Punabbhava) in Buddhism with Special Reference to Ashin Ukkattha’s Interpret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Thought & Culture. vol. 24, pp. 125-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