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4장
視之不見, 名曰夷, 聽之不聞, 名曰希, 摶之不得, 名曰微. 此三者不可致詰, 故混而爲一. 其上不皦, 其下不昧, 繩繩不可名, 復歸於無物. 是謂無狀之狀, 無象之象. 是謂惚恍, 迎之不見其首, 隨之不見其後. 執古之道, 以御今之有, 能知古始, 是謂道紀.
(도道) 그것을 살펴보지만, (또렷하게) 살펴지지 않는데, (따라서) 이름 지어 불러 “이(夷; 수평선이나 지평선과 나란한 바)”라고 하고, 그것을 들어보지만, (뚜렷하게) 들리지 않는데, (따라서) 이름 지어 불러 “희(希; 소리가 멈춘 바)”라고 하며, 그것을 붙잡아보지만, (또렷하게) 붙잡히지 않는데, (따라서) 이름 지어 불러 “미(微; 작은 바)”라고 한다. (이夷, 희希, 미微) 이 3가지는 (도道는) 분별할 수 있는 (또렷하고 뚜렷한) 모양과 모습을 가지는 바가 없다는 뜻이다. 왜냐하면, (도道는 3가지가 모두 하나로) 뒤섞여진 바이자, 하나로 일삼아진 바이기 때문이다. (도道는) 그 위가 맑음의 끝점에 다다른 바도 아니고, 그 아래가 흐림의 끝점에 다다른 바도 아니며, 이어지고 이어지지만, 자리하는 바인 듯하기도 하고, 자리하지 않는 바인 듯하기도 하며, 모양과 모습을 가지는 바가 없는 사물을 되돌이키는 바이고, (그것으로) 되돌아가는 바이다. (도道) 그것은 (사물과 같은 또렷한) 모양을 가지는 바가 없는 모양이고, (사물과 같은 뚜렷한) 모습을 가지는 바가 없는 모습이다. (도道) 그것은 (모양과 모습이) 어렴풋하고 어슴푸레하고, (따라서) 그것을 맞이해 보지만, 그 머리를 살피지 못하게 되고, 그것을 뒤따라가 보지만, 그 꼬리를 살피지 못하게 된다. (도道는 사물과 같이 시작점과 끝점을 가지는 바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금까지 이어지고 이어지는 아주 먼) 옛날의 도道를 붙잡고, 따라서 (비유컨대) 지금 (세상)의 모양과 모습을 가지는 바가 있는 사람들을 다스리며, (따라서 사람들이 지금까지 이어지고 이어지는 아주 먼) 옛날의 시작점(인 도道)을 알아차리게 하는 사람, 그가 이른바 (모양과 모습을 가지는 바가 있는 지금의 세상에 그것이 없는 도道를 내리 펼치고 걷어 올리는) 도道의 그물 줄이다.
夷, 平也. 希, 止也. 微, 眇也. 詰, 猶辨也. 不可致詰, 言無迹可辨也. 三者, 皆無迹可辨. 故曰混而爲一. 此, 形容. 道, 體. 之, 微妙. 非視聽控搏, 所及也.
이夷는 (크기가 아주 작아서 보이는 바가 거의 수평선이나 지평선과) 나란한 바를 뜻한다. 희希는 (크기가 아주 작아서 들리는 바가 거의) 멈춘 바를 뜻한다. 미微는 (크기가 아주 작아서 잡히는 바가 거의 없을 듯이) 작은 바를 뜻한다. 힐詰은 (그 모양이나 모습을) 분별한다는 말이다. 불가치힐不可致詰은 (그) 분별할 수 있는 모양이나 모습을 가지는 바가 없다는 뜻이다. (이夷, 희希, 미微) 3가지는 모두 (도道는 그) 분별할 수 있는 모양이나 모습을 가지는 바가 없다는 뜻이다. 따라서 (노자는) 일컬었다. “(도道는 그 3가지가 모두 하나로) 뒤섞여진 바이자, 하나로 일삼아진 바이다.” (이夷, 희希, 미微, 3가지) 이것은 말과 글로 나타낸다. “도道는 체體이다. (따라서) 그것은 (그 모양이나 모습이) 어슴푸레하고, 어렴풋하다. (따라서 그것은 그 눈으로) 살핌, (귀로) 들음, (손으로) 당겨 잡음이 다다를 바가 아니다.”
皦, 明之至. 昧, 暗之極. 不皦, 不昧, 言上, 不至淸, 下, 不至濁也. 繩繩, 猶綿綿也. 亦若存若亡之意. 道, 體. 本虛. 今曰視, 曰聽, 曰搏, 曰不皦, 曰不昧, 曰繩繩, 皆近於有物. 故曰歸於無物.
교皦는 밝음이 그 끝점에 이르렀다는 말이다. 매昧는 어둠이 그 끝점에 다다랐다는 말이다. (따라서) 기상불교其上不皦, 기하불매其下不昧는 (그) 위가 맑음의 끝점에 이르지 않고, (그) 아래가 흐림의 끝점에 이르지 않았다는 뜻이다. 승승繩繩은 이어지고 이어진다는 뜻이다. (불가명不可名은) 자리하는 바인 듯하기도 하고, 자리하지 않는 바인 듯하기도 하다는 뜻이다. 도道는 체體이다. (따라서 도道는) 본래 (사물이 가지는 바가 있는) 모양과 모습이 텅 비었다. 따라서 시視, 청聽, 박搏, 불교不皦, 불매不昧, 승승繩繩은 모두 모양과 모습을 가지는 바가 있는 사물에 가깝게 일컬은 말이다. 따라서 (노자는) 일컬었다. “(도道는) 모양과 모습을 가지는 바가 없는 사물을 되돌이키는 바이자, (그것으로) 되돌아가는 바이다.”
無狀之狀, 無象之象, 猶所謂形而上者.
(도道가 사물과 같은 또렷한) 모양을 가지는 바가 없는 모양無狀之狀이고, (사물과 같은 뚜렷한) 모습을 가지는 바가 없는 모습無象之象이라는 말은 (도道는) 형이상자形而上者라는 뜻이다.
惚怳者, 不定之意. 若存若亡. 故曰惚怳. 迎之而不見其首, 無始也. 隨之而不見其後, 無終也.
홀황惚怳은 (모양과 모습이) 정해져 있지 않다는 뜻이다. (도道는) 자리하는 바가 있는 듯한 바이기도 하고, 자리하는 바가 없는 듯한 바이기도 하다. 따라서 (노자는) 일컬었다. “(도道는 모양과 모습이 어렴풋하고 어슴푸레하다.” 〔박세당은 노자의 황恍을 황怳으로 풀이했다. 의미는 유사하다〕 영지불견기수迎之不見其首는 (사물과 같은) 시작점을 가지는 바가 없다는 뜻이다. 수지불견기후隨之不見其後는 (사물과 같은) 끝점을 가지는 바가 없다는 뜻이다.
道, 在天地之先. 故曰古. 執古之道, 以御今之有, 以無於有, 以道制物也. 知道. 之, 所自生. 故謂之道紀. 紀, 網紀也.
도道는 하늘과 땅의 앞에 자리했다. 따라서 (노자는) 일컬었다. “(아주 먼) 옛날.” 집고지도執古之道, 이어금지유以御今之有는 (비유컨대) 모양과 모습을 가지는 바가 없는 바(無; 無爲)로써, (그것이) 있는 바(有; 有爲)를 다스린다는 뜻이자, (모양과 모습을 가지는 바가 없는) 도道로써, (그것이 있는) 세상 사람들을 다스린다는 뜻이다. (능지고시能知古始는 지금까지 이어지고 이어지는 아주 먼 옛날의 시작점인) 도道를 알아차린다는 뜻이다. (그러한 도道를 알아차리는 사람) 그는 (사람들이 모양과 모습을 가지는 바가 없이) 저절로 그러하게 살아가게 한다. 따라서 (노자는) 그를 일컬어 “도道가 (세상에) 알아차려지게 되는 실마리”라고 했다. 기紀는 (비유컨대) 그물이 내려 펼쳐지게 하고 걷어 올려지게 하는 그물 줄이다.
첫댓글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저의 부족함 탓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