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로시 이전의 시대에는 하루 24시간의 시간 구분 개념이 없었습니다.
다만 아래 도표에서 보듯이 한낮을 밝혀주는 해의 상태에 따라 대략적으로 구분하였습니다.
반면 포로기 이후 시대에는 현대와 같은 24시간제가 도입되었습니다.
그러나 히브리인들의 24시간제는 현재 통용되는 로마식 24시간제와는 시간기점, 즉 하루 24시간을 시작하는 기점의
설정에서 서로 다릅니다. 왜냐하면 히브리인들은 해지는 시각부터 다음날 해지는 시각까지를 하루로 계산하는 관습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히브리식 24시간제는 밤12시를 0시로 계산하는 로마식과 달리 저녁 6시를 0시로
계산하였습니다. 한편 신약 시대에는 24시간 개념과 구약 시대식의 대략적 시간 개념이 병용되었는데, 아래 도표가 이를 잘 보여줍니다.
히브리의 시간 개념은 창세기 1장 5절에 '저녁이 되며 아침이 되니 니는 첫째 날이니라.' 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우리의 날 시작은 이렇게 하나님의 하신 일로 부터 누리며 안식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는 히브리인의 믿음에서 기인한다고 봅니다.
시
각
|
|
시대
|
구분
|
시각
|
관계성구
|
구
약
|
밤
|
초경
이경
삼경(새벽)
|
해질때-오후10시
오후10시-오전2시
오전2시-해뜰때
|
애2:19
삿7:19
삼상11:11
|
낮
|
아침
오정
서늘할 때
저물때
|
해뜰때-오전10시
오전10시-오후3시
오후3시-오후6시
오후6시-해질때
|
창24:54
창18:1
창3:8
삼상30:17
|
신
약
|
밤
|
저물때
밤중
닭울때
새 벽
|
해질때-오후10시
오후10시-오전1시
오전1시-오전4시
오전4시-해뜰때
|
마26:20
막13:35
막13:35; 눅 22:61
마14:35; 막13:35
|
24시간제
|
낮
|
|
저녁기점-유대식
|
자정지점-로마식
|
시간
|
성구
|
아침
(마16:3)
|
제12시
제3시
제4시
|
제6시
제9시
제10시
|
오전6시
오전9시
오전10시
|
요19:14
마20:3
요1:39
|
|
|
|
|
|
정오
(행22:6)
|
제6시
제9시
제10시
제11시
|
제12시
제3시
제4시
제5시
|
오전12시
오후3시
오후4시
오후5시
|
마20:5
마20:5
마1:39
마20:6
|
|
|
|
|
|
저녁
(마16:2)
|
제0시
제1시
|
제0시
제1시
|
오후6시
오후7시
|
요4:6
요4:52
|
|
첫댓글 유대식 시간에 +6 하면 우리식 시간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0시이면 +6하면 오후, 즉 6:00 pm,
그리고 제 6시이면 +6은 정오 12시' 12:00 noon,
제 11시이면 +6은 17시 즉 오후 5시, 5:00 pm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