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긴뿔밑성대 : Pterygotrigla multiocellata (Matsubara)
► 외국명 : (영) Antrorse spined gurnard, (일) Onisokohoubou (オニソコホウボウ)
► 형 태 : 크기는 최대 전장 24㎝ 정도이다. 몸은 길고 앞쪽 몸은 크고 뒤로 갈수록 가늘어 진다. 머리는 크고 삼각형이다. 콧등에 한 쌍의 가시가 있다. 전새개골과 주새개골에 짧은 가시가 1개씩 있다. 주새개골 가시는 전새개골 가시보다 짧고 약간 비스듬하게 위, 후방을 향해 있다. 전새개골 가시는 뒤쪽을 향하고 있으며 뒤 끝은 아가미 뚜껑(주새개골)의 뒤 가장자리를 넘어간다. 목덜미 등에 길고 날카로운 가시(측두골 가시)가 하나 있으며 뒤 끝은 제2등지느러미의 기부에 이른다. 가슴지느러미 기부 위에 넓고 길고 납작한 상완가시(brachial spine;上腕棘/상완극)가 있으며 뒤 끝이 제1등지느러미의 6번 째 가시 아래에 이른다. 주둥이 양끝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골판(rostrum)은 길이가 매우 길다. 제1등지느러미 기점은 배지느러미 기부의 뒤쪽 끝을 넘어가 있다. 제1등지느러미의 마지막 7번째 가시는 지느러미 막을 통하여 몸의 등에 연결되어 있다. 제1등지느러미 기저부 양쪽에 10개의 납작한 방패비늘이 있으며 첫 방패비늘은 제1 가시 앞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등지느러미 기저부에는 방패비늘이 없다. 제2등지느러미의 기점은 뒷지느러미의 3번 연조의 약간 뒤에 있다. 제2등지느러미 연조들은 앞의 2 연조를 제외하고 나머지는 모두 분지되었다. 뒷지느러미 기점은 제2등지느러미 기점보다 약간 앞에 있다. 뒷지느러미 연조들은 뒤쪽 4개 연조만 분지되었다. 가슴지느러미가 대단해 길며 그 끝은 제2등지느러미 8번 연조를 초과하며 뒷지느러미의 9번 연조에 이른다. 가슴지느러미의 하단 3 연조는 본체와 분리되었고 각각 손가락처럼 분리되어 있다. 배지느러미 기점은 가슴지느러미 기부의 약간 뒤에 있으며 모든 연조가 분지 연조이다. 배지느러미가 몸 쪽에 접혀있을 때는 뒤 끝이 항문에 이르지 않는다. 배지느러미의 맨 마지막 연조는 막을 통하여 몸과 연결되어 있다. 꼬리지느러미는 뒤가 절단형이다. 항문은 뒷지느러미 바로 앞에서 열리며 거의 원형이다. 눈은 크며 튀어나와 있고 머리의 위쪽에 위치한다. 눈 주위에 가시가 없다. 양안 사이는 약간 안으로 패인 편이다. 입은 거의 눈 지름 크기이다. 상악의 뒤는 안구의 앞 가장자리에 아래에 이르지 않는다. 양턱, 서골에 작은 원추형 이빨이 조밀하게 나서 치대를 형성한다. 구개골에는 이빨이 없다. 몸을 덮고 있는 비늘은 원형비늘이며 등의 비늘들은 피부 속에 반쯤 묻혀있다. 협부의 뒤쪽 복부와 항문 주위에는 비늘이 없다. 머리에는 비늘이 없다. 측선의 비늘들은 크기가 작다. 몸은 전반적으로 붉은 색이며 복부와 머리 밑은 백색이다. 가슴지느러미는 검은 바탕이며 녹황색의 반점 무늬가 있으나 골질분은 희다. 3개의 분리된 가슴지느러미는 어두운 적색이다. 등지느러미는 적색이며 작은 녹색 점들이 있다. 배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는적색이며 뒷지느러미는 백색이다.
► 설 명 : 수심 178~379 m의 모랫바닥에 서식하는 심해성 어류이다. 다양한 방법으로 식용한다.
제철은 겨울부터 이듬해 봄까지이다. 비늘은 작지만 벗기기 어렵다. 껍질은 두툼하고 질기지만 뼈는 별로 단단하지 않다. 상박부의 가시는 강하고 날카롭기 때문에 위험하다. 선도가 좋으면 혈합육이 적고 살은 깨끗한 백색이다. 선도가 떨어질수록 혈합육이 강해진다. 살은 가열하면 적당히 조인다. 생선회는 살의 조직이 치말하지만 단단하지 않으며, 혈합육도 적어서 보기에도 좋으며, 몸에 엷은 단맛이 있다. 끓이면 머리 부분의 근육이나 살이 적당히 조여지며, 좋은 국물이 나오고 살도 적당한 섬유질이어서 맛이 매우 좋다. 튀김은 살이 너무 단단하지 않고 육즙이 풍부하고 부드럽고 아주 맛있다. 껍질도 아주 고소하다. 소금구이는 포를 떠고 소금을 뿌린 후 1시간 이상 재우고 차분하게 구워낸다. 너무 세게 구우면 살이 너무 단단해 진다. 소금구이는 맛이 담백하다. 이 외에도 조림, 국, 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한다.
► 분 포 : 한국(남해안, 제주도), 일본(중부 이남), 대만, 남중국해, 베트남, 필리핀, 인도네시아, 오스트레일리아(북부), 마리아나 제도 등 서부태평양 연안에 널리 분포한다.
► 비 고 : 종명(Pterygotrigla multiocellata)인 multiocellata는 multi와 ocellata의 합성어이며 “눈 모양의 점을 가지고 있다”의 뜻이며, 이는 몸 측면 반 상부에 작은 황갈색 점들이 흩어져 있는 것을 암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