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요 실습 일정
시 간 | 프로그램 | 대 상 자 | 내 용 | 실습생 역할 |
9:00~10:00 | 소감 나눔 | 실습생 전체 | - 2주간 사회사업 공부 | 학습, 경청 |
10:00~12:00 | 기획 회의 | 어린이 기획단, 성현동 실습생 | - 사업 기획 회의 - 소망나무 꾸미기 마무리 - 겨울놀이 준비 (놀이 확정) | 경청, 기록, 회의 |
12:00~13:00 | 점심식사 | - | - | - |
13:00~15:00 | 기획 회의 | 어린이 기획단, 성현동 실습생 | - 사업 기획 회의 - 겨울놀이 포스터 만들기 | 경청, 기록, 회의 |
15:00~18:00 | 실습일지 기록 | 실습생 | - 실습일지 기록 - 실습일지 카페 업로드 | 기록 |
2. 실습 일정 세부 내용
- 소감나눔(9:00~10:00)
: 오늘은 벌써 2주일하고 이틀이라는 시간이 지나가서, 중간평가서를 제출하는 날이 왔습니다. 오늘 오전 9시에는 소감을 나눔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나눔 내용에는 여태 배웠던 내용들로 느낀점과 앞으로의 소망하는 점을 나누는 시간이었습니다. 저는 여태 실습을 진행하면서 ‘관계’가 아가페적인 사랑으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 것을 나눴습니다. 앞으로의 2주간의 남은 실습도 여태 했던 실습만큼 화살처럼 지나갈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 사이의 시간동안 만나는 어린이 기획단 아이들, 지역주민분들께 단기사회사업의 목적처럼 이웃과 인정이 있게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이 들었습니다.
이렇게 저는 중간까지 무사하게 잘 온 저와 실습 동료들을 칭찬하고 싶고 앞으로도 잘 마쳤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기획회의(10:00~12:00)
: 오늘 병욱이, 수연이, 예린이, 연주와 함께 오전 10시에 하나둘씩 모였습니다. 다들 요 며칠 사이에 실습 선생님들과 기획 회의를 몇 차례나 넘게 해서 벌써 익숙한 얼굴들이 하나둘씩 복지관으로 왔습니다. 오늘은 소망나무를 만드는 일을 했고, 소망나무는 3층에서 4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에서 어제 받았던 나뭇잎 모양의 포스트잇으로 꾸미기로 했습니다. 이후에는 겨울놀이를 같이 기획하는 회의를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오늘 다들 소망나무를 꾸미기 시작했고, 실습 선생님들을 기꺼이 도와주면서 소망나무 꾸미기 활동은 순차적으로 차근차근 잘 마쳤습니다. 병욱이와 저는 이전에 만든 소망나무 기둥을 벽에 양면 테이프로 붙이고, 연주, 예린이, 수연이는 소망나무에 꾸밀 그림을 그렸습니다. 아이들에게 자유롭게 그림을 맡겨놨더니 저희 대학생 실습생들에게는 상상하지 못한 예쁜 그림들이 나왔고, 아이들만 할 수 있는 꾸미기가 시작됐습니다. 소망나무는 나뭇잎 포스터를 붙이고 꾸미는 시간까지는 생각보다 오래 걸리지는 않았습니다. 소망나무는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예쁘게 꾸며졌고, 아이들과 복지관에 있는 분들 전부 예쁘다는 칭찬으로 이야기가 오갔습니다.
병욱이는 말로 표현할 때 “아, 선생님 왜 이런 걸 해요~ 그냥 놀아요~”라고 하면서 궁시렁거리는 태도였지만, 행동으로는 웃는 표정으로 재밌게 참여했습니다. 사진도 다른 아이들과 같이 웃으면서 찍었습니다. 그 모습은 정말 귀여워서 잊을 수가 없습니다. 아이들은 표정으로 기분을 숨기려 해도 숨길 수 없는 순수한 마음이 보여서 인상 깊었습니다.
이후에는 다 같이 모여서 시간이 조금은 급하게 느껴지는 겨울놀이 기획 회의를 진행했습니다. 아이들이 여기저기 왔다 갔다 하면서 소망나무를 꾸몄더니 체력적으로 힘들어서 잠시 앉아서 회의하는 데는 순조롭게 진행됐습니다. 아이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벽피구, 제기차기, 양세찬 등 여러 놀이 이름이 오갔습니다. 벽피구라는 놀이는 처음 들어봐서 다 같이 유튜브 영상을 보기도 했습니다. 유난히 오늘따라 아이들은 지쳐 보였지만, 그래도 오늘 오전 기획 회의에서 예정하고 정했던 내용은 다 진행됐습니다.
마지막으로 설 연휴 동안 못 봐서 조금은 아쉽게 느껴지게 하이파이브 인사로 집에 갔습니다. 병욱이가 오늘따라 세게 하이파이브를 치려고 해서 손을 피하는 장난을 치기도 했습니다. 유독 병욱이가 남자 선생님인 저를 편하게 생각하는 것 같았습니다.
기획회의(13:00~15:00)
: 오후에는 세현이만 와서 실습 선생님들과 함께 회의했습니다. 금요일에는 세현이가 혼자 어린이 기획단 없이 오게 돼서 자리가 불편할 것 같기도 했지만, 실습생 동료들과 함께 세현이 혼자라도 할 수 있는 것들을 했습니다. 저희는 겨울놀이 포스터를 세현이와 같이 만들었습니다. 세현이의 아이디어로 크리스마스 느낌이 나도록 포스터를 만들었습니다. 오후의 회의에서는 세현이와 대화를 할 수 있는 시간이 충분해서 세현이에 대해 많은 것들을 물어봤습니다. 세현이가 좋아하는 것들, 싫어하는 것들, 평소에 어떤 생각을 하면서 학교에 다니고, 친구들을 대하는지에 대해 물어봤습니다. 세현이는 저의 생각보다 더 성숙한 아이였고, 이타적인 마음이 항상 있는 아이였습니다. 세현이는 항상 친구들을 먼저 생각하고, “친구들이 좋아하면 저도 좋아요”라는 얘기에서 성숙하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포스터를 다 만든 이후에는 선생님들과 재밌게 수다로 마무리 지었습니다. 오후에는 세현이 한 명만 왔기에 세현이에 대해 더 많은 것들을 알 수 있었습니다. 다른 친구들도 촉박한 시간이라도 많은 대화를 통해서 많은 것들을 알아가고 친해졌으면 좋겠습니다.
3. 실습 일정 평가
1) 배운 점
- ‘BEST는 없다“
: 여태 중간평가까지의 시간을 돌아보면서, 마음 속 한켠에는 항상 ‘이렇게 하면 더 낫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이 떠나지 않았습니다.
그런 마음이 드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고, 약간은 아쉬운 감정이 들기도 했습니다. 오늘도 어린이 기획단들이 전부 참석하지 못하고, 오전과 오후로 나눠져서 오는 상황이 아쉬웠습니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놀이를 많이 하지 못하고 2시간이 흘러버린 것에 대해, 아이들에게는 과연 재밌었을까?라는 의문이 드는 하루였습니다.
하지만, 전에 배웠던 사회사업의 원칙이 떠올랐습니다. ‘꼭 그래야 한다거나 그러면 안 된다는 것이 없다’는 말처럼, 완벽한 결과는 없고 항상 더 나은 방향이 있다는 것을 머릿속에서 되새겼습니다. 이 생각이 마음속에 자리 잡으면서, 한결 편안해졌습니다. 아이들의 표정에서 밝은 모습만 보이면 된다는 것을 깨달았고, 오늘도 아이들이 재밌게 기획회의를 했으면 좋겠다는 마음이 커졌습니다.
아이들과 함께하는 시간은 단순히 놀이를 하는 것만이 아니라, 서로의 마음을 나누고 소통하는 과정이라는 것을 느꼈습니다. 아이들이 더불어 함께 놀았으면 하는 마음으로 다가가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당사자들을 만나서 응원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아주 약간의 더 나은 변화를 만드는 것이 단기 사회사업의 매력인 것 같습니다.
오늘도 BEST는 없다는 것을 많이 느끼고 돌아갑니다.
앞으로도 아이들과의 소중한 시간을 통해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고, 그 과정에서 느끼는 소소한 기쁨을 소중히 여기고 싶습니다.
2) 보완점
아이들과 촉박하게 회의를 진행하느라, 아이들과의 대화가 점점 더 적어지는 것 같았습니다. 회의나 사업 진행 중간중간에 재밌는 대화가 많아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3) 슈퍼비전 요청 사항
없습니다.
4. 실습지도자 의견
1) 요청 사항에 대한 슈퍼비전
2) 그 외 추가 슈퍼비전
첫댓글 당사자들을 만나서 응원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아주 약간의 더 나은 변화를 만드는 것이 단기 사회사업의 매력인 것 같습니다.
오늘도 BEST는 없다는 것을 많이 느끼고 돌아갑니다.
앞으로도 아이들과의 소중한 시간을 통해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고, 그 과정에서 느끼는 소소한 기쁨을 소중히 여기고 싶습니다.
재성 다원 민서선생님 기획단 아이들과의 모든 만남을 소중하게, 귀하게 생각해줘서 고마워요.
마지막 디데이랑, 수료식도 잘 준비해서
아이들뿐만아니라 선생님들도
좋은 추억이 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