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귀비
분 류 : 양귀비과
원산지 : 지중해 연안 또는 소아시아
크 기 : 높이 50∼150cm
앵속·약담배·아편꽃이라고도 한다. 지중해 연안 또는 소아시아가 원산지이다.
줄기는 털이 없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높이가 50∼150cm이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3∼20cm의 긴 달걀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 부분이 줄기를 반정도 감싸며 가장자리에 깊이 패어 들어간 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은 5∼6월에 흰색·붉은 색·자주색 등 여러 가지 빛깔로 피고, 줄기 끝에 1개씩 위를 향해 달리며, 꽃봉오리 때는 밑으로 처진다.
꽃받침조각은 2개이고 타원형의 배 모양이며 일찍 떨어진다.
꽃잎은 4개이고 둥글며 길이가 5∼7cm이고 2개씩 마주달린다.
수술은 많고, 암술은 1개이다. 암술머리는 방사상으로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이고, 길이 4∼6cm의 둥근 달걀 모양이며 다 익으면 윗부분의 구멍에서 종자가 나온다.
아시아 열대·온대 지방과 유럽 등지에 분포한다.
익지 않은 열매에 상처를 내어 받은 유즙을 60℃ 이하의 온도로 건조한 것이 아편이다.
성분으로는 모르핀·파파베린·코데인 등의 알칼로이드 성분과, 납·수지·타닌·단백질 색소 등이 들어 있다.
중추신경 계통에 작용하여 진통·진정·지사 효과를 내므로 복통·기관지염·불면·만성 장염 등에 복용한다.
민간에서는 열매와 식물체를 분리해 두었다가 응급 질환에 사용했다
물양귀비
수생식물로서 열대성 연못이나 늪에서 자란다. 길이 50∼60cm, 나비 약 60cm이다. 줄기와 뿌리는 물속 흙에 벋어 있다. 줄기는 굵고 기는가지를 낸다. 잎은 대부분 물에 떠 있으며 둥글고 짙은 녹색에 윤기가 난다.꽃은 7∼9월에 줄기에서 나온 잎 위에 노란색으로 피는데, 가운뎃부분은 붉은빛을 띤다. 꽃잎은 3장으로서 둥근 모양이다. 16∼30℃의 반그늘진 곳에서 잘 자라고, 번식은 씨를 뿌리거나 꺾꽂이로 한다.아르헨티나의 부에노스아이레스 원산으로서 귀화식물이며 부유생활을 한다. 잎이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심는다. 한국 남부지방에 분포한다.
두메양귀비
조선앵속·산양귀비·두메아편꽃라고도 한다. 높은 산의 중턱 이상에서 자란다. 높이 5∼10cm이다. 전체에 퍼진 털이 있으며 뿌리가 땅속으로 30cm 정도 곧게 들어가고 지름 1cm 정도이다.잎은 뿌리에서 뭉쳐나고 다소 긴 잎자루를 가지며 달걀 모양 타원형으로 1∼2회 깃꼴로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은 달걀 모양 타원형 또는 바소꼴이고 끝은 뾰족하고 가끔 갈라지지 않은 잎이 함께 있다.꽃줄기는 외가닥 또는 2∼3가닥으로 곧게 또는 비스듬히 나고 높이는 5∼10cm이다. 7∼8월에 노란빛을 띤 녹색 꽃이 꽃줄기 끝에 1송이 핀다. 꽃받침조각은 2개인데, 타원형 배[舟] 모양이고 꽃잎은 4개가 다소 둥글며 지름 1.5∼2cm이다. 수술은 많고 씨방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이며 암술대는 방사형으로서 씨방꼭지를 우산 모양으로 덮는다. 열매는 삭과로 달걀 모양 구형이고 퍼진 털이 있다.
꽃양귀비
개화기 : 5월-6월경, 꽃색 : 홍색,자주색,흰색 꽃이 피기전에는 꽃망울이 밑을 향하나 꽃이 필때에는 위를 향한다.유럽이 원산지로 전국에서 관상용으로 심는다.양귀비와 꽃이 비슷하기 때문에 개양귀비라 하며 중국에서는 항우의 애첩 우미인의 무덤에서 핀꽃이라 하여 우미인초라 부른다.양귀비와는 달리 전체에 털이 있다.







------------------------------------------------------
6월은 양귀비의 계절이다.미인의 대명사 양귀비, 너무나 유명하고 잘 알려졌지만 현대 사회에선 진짜 양귀비꽃을 만나기가 힘이 든다.
어릴때는 시골 마당 한 구석에 몇포기 재배하여 갑작스러운 복통에 이용을 했었지만 지금은 시골을 가도 찾아보기가 힘든 이유는 한때 집중단속을 하면서 농민들에게 많이 홍보가 된 연유이기도 하다.
'양귀비'는 앵속, 약담배,아편꽃이라고도 부르며 꽃은 5∼6월에 흰색·붉은 색·자주색 등 여러 가지 빛깔로 피고 줄기 끝에 1개씩 위를 향해 달린다.
이러한 양귀비가 최근에는 '꽃양귀비'라는 이름으로 원예가에서 많이 재배를 한다.
꽃의 아름다움은 양귀비와 같거나 더 빼어난 모습이고 열매 또한 비슷하지만 마약성분이 없기 때문에 보급을 하고 가정에서도 마음놓고 키울수가 있다.
'꽃양귀비'는 원산지가 유럽으로 표준명칭(국명)이 '개양귀비'로 . 애기아편꽃, 셜리양귀비로 불리우기도 하는데 유럽에서는 풍년을 기약하는 풍년초로 불리기도 하며 꽃은 3-4장의 단옆으로 이루어져 있다.
'두메양귀비'는 함경북도 백두산 중턱에서 7-8월경에 노란색의 꽃을 피우는 야생초로다.
와 개양귀비가 두해살이풀인 반면 두메양귀비는 한해살이풀이고 개양귀비처럼 줄기에 털이 많고 잎의 모양 또한 양귀비와는 많은 차이가 있다.
조선앵속, 산양귀비, 두메아편꽃이라고도 불리우며 북한에선 천연기념물로 지정하고 있으며 역시 마약성분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가정에서 재배가 가능하다.
'물양귀비'는 양귀비나 개양귀비, 두메양귀비가 육지에서 자라는 반면 이름에 '물'이라는 접두어가 의미하듯이 수생식물이다. 꽃은 7-9월에 피며 화려하지는 않지만 단아한 모습이 참하고 매력적이다.
물양귀비 또한 가정에서 키우기 어렵지 않아 화원에 가면 쉬 구할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