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링 인문학 제1회/2021.11.16>>
위로(1)/포항지진 4주년을 맞아 시민들에게 들려 주고 싶은 위로의 언어들
-. 인문학은 인류가 축적해온 지혜의 보석상자
-. 성경현전(聖經賢傳, 성인의 말씀과 현인의 해설)
-. 독서모임, 아카데미로 함께 읽어 독서력 키움
-. 문사철(文史哲, 문학과 역사와 철학)
-. “인간은 파괴될 수 있어도 패배 당할 수는 없다.”(헤밍웨이, 노인과 바다)
-. 촉발지진을 극복해낸 포항시민의 의지
-. “오늘이 영원이 되게 살라.”(제임스 딘, 평소 자주 하던 말)
-. 인내력과 용기의 관계(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윤리학)
-. 에네르게이아(현실태, 아리스토텔레스)
-. “물고기는 연못에서 뛰고, 솔개는 하늘을 난다.”(중용 제12장, 퇴계 도산십이곡 제6곡)
-. 포항의 지반은 진흙이 굳어진 니석(泥石)
-. 무지무욕(노자와 장자)
<<힐링 인문학 제2회/2021.11.23>>
위로(2)/위험사회에서 신뢰사회를 염원한다
-. 마음챙김(전일, 주일무적)으로 무욕
-. 무욕으로 진실한 현인, 명통한 성인(근사록)
-. 거인의 어깨 위에 올라타기
-. 성인과 현인의 생명의식과 라이프 스타일
-. 영혼이 맑아진 생명의식으로 스스로 위로(괴테, 파우스트)
-. 백석의 시 <흰 바람벽이 있어>,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
-. 윤동주의 시 <위로>
-. 위험사회(독일 사회학자 울리히 베크)
-. 성찰적 근대화(reflexive modernization)
-. 신뢰사회(촘촘한 사회안전망)
<<힐링 인문학 제3회/2021.11.30>>
용기(1)/회복탄력성과 지뢰복괘
-. 위로가 용기로 연결됨
-. 용기는 삶을 직시하는 힘
-. 군자의 삼덕 지인용과 보살의 삼덕 지비용
-. 의혹을 끊고 도를 닦아 가는 단혹수도의 용기
-. 신망애 향주삼덕의 바탕이 되는 용기
-. 회복탄력성(resilience)과 주역 제28괘 지뢰복괘
-. 동지는 아세(작은 설)로서 해가 다시 길어지기 시작하는 재생과 부활
-. 회복할 때 경건하고 조심해야 함(지뢰복괘 상전의 공자 가르침)
-. 용기는 두려움과 자신감의 중용(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 삼기(용기, 온기, 끈기)
-. 맹자의 부동심의 3요소(용기, 곧음, 心氣)
-. 밝은 마음으로 새로운 인생항로를 시작(괴테 파우스트)
-. “하고자 하면 방황한다”는 괴테의 말은 큰 용기를 줌
<<힐링 인문학 제4회/2021.12.7>>
용기(2)/부동심과 용기를 기르는 법
-. 부동심의 삼요소(맹자 공손추상2)와 삼기
-. 맹자와 괴테와 니체
-. 괴테의 재발심의 용기
-. 니체의 초인의 용기
-. 용기를 기르는 양용(養勇)의 두 가지 길
-. 용기와 호연지기(맹자 공손추상2)
-. 에로스와 용기(플라톤의 향연)
-. 노자의 삼보와 용기(도덕경67)
-. 손자의 리더의 5대 덕목(손자병법 계편)
-. 부끄러움을 아는 용기(중용20, 관자 목민편)
-. 아들러와 에릭 번의 공동체 감각과 용기
<<힐링 인문학 제5회/2021.12.14>>
희망(1)/소나기는 낮 내내 내리지 못한다
-. 에릭 번의 네 가지 인생태도
-. 제4태도인 포기절망형의 문제
-. 맹자의 ‘자포자기’라는 말(이루상10)
-. 13년만에 우승한 골퍼 이준석의 문신(스페로 스페라)
-. ‘둠 스피로 스페로’라는 라틴말
-. 페그 엔트위슬의 포기의 안타까움(할리우드)
-. 우거진 풀밭길을 거쳐 꽃이 지는 마을에 당도함(선가귀감 제75장의 송)
-. 소나기는 낮 내내 내리지 못한다(도덕경23)
-. 되돌아옴이 도의 운동(반자도지동, 도덕경40)
-. 이 문이 닫히면 저 문이 열림
-. 모두가 희희낙락하는데, 나는 쓸쓸함(도덕경20)
<<힐링 인문학 제6회/2021.12.21>>
희망(2)/사람들의 희망이 실현되기를 바라는 희심(喜心)
-. 동물사회학으로 본 사자의 단념과 새로운 기회 찾기
-. 실패 앞에 유연하게 대하면서 새로운 희망 찾기
-. 모두가 잔치분위기인데 자신만 초라하고 외로움(도덕경20)
-. 공자의 성인론(박시어민 이능제중, 논어 옹야28)
-. 네 가지 한량없는 마음(붓다의 사무량심)
-. 사람들의 희망이 실현되기를 바라는 희심(喜心)
-. 남대영 신부님의 희망론
-. 어려울수록 희망을 포기하지 않는 대인들
-. 냉장방법을 발명한 호주 토머스 서클리프 모트의 희망인생
<<힐링 인문학 제7회/2021.12.28>>
치유(1)/삼그 치유법
-. 치유와 치료의 차이
-. 치유의 의미
-. 마음과 정신과 의식
-. 이근원통
-. 삼그 치유법
-. ‘그래도’라는 섬은 제주도보다 아름다운 섬
-. ‘그럴 수도 있지!’로 새삶을 산 스페인 교포의 이야기
<<힐링 인문학 제8회/2022.1.4>>
치유(2)/상처입은 치유자
-. 체념과 포기의 차이
-. ‘그렇구나!’의 최소작용의 가치
-. 임제록의 ‘경래회환부득’
-. ‘상처입은 치유자’로서의 칼 융과 헤르만 헤세
-. 장애인공동체에서 삶을 마감한 헨리 나우웬의 삶과 책 「상처입은 치유자」
<<힐링 인문학 제9회/2022.1.11>>
깨침(1)/깨침과 깨달음
-. 고상한 인문학
-. 깨침의 의미와 4요소(주체성과 자주성, 원만성과 전일성)
-. 깨침을 얻는다면 치유가 1회성을 넘어섬
-. 깨침과 깨달음의 차이
-. 깨침은 동체대비로 이어짐
-. 자-타, 좋음-미움 등 대극을 합일하는 깨침
-. 승찬대사의 「신심명」의 깨침
-. 영가스님의 「증도가」의 깨침
-. 중용, 중도와 깨침
<<힐링 인문학 제10회/2022.1.25>>
깨침(2)/중용과 중도
-. 공자님도 어려워한 중용(중용 제7장의 진솔하고 감동적인 표현)
-. 칼날을 밟는 것보다 어려운 중용(중용 제9장)
-. 공자가 인정한 사실상 유일한 제자 안회
-. 자주 양식이 바닥났으나 중용을 지속시킨 안회(중용 제8장)
-. 중용의 중=적중=시중, 용=범용=지속
-. 지속이 어려움(대학 3강령의 지어지선)
-. 그리스어 메소테스=아리스토텔레스의 중용은 적중만 있고, 지속은 없음
-. 장자 양생주편의 ‘연독이위경’이 중용임
-. 중용과 불교의 중도는 크게 보면 통하나, 정밀하게 보면 다름
-. 중도에는 양변의 융합이 있음(쌍차쌍조)=자주
-. 숫타니파나와 원효는 양변을 떠나면서도 중간이 아니라고 함
<<힐링 인문학 제11회/2022.2.1>>
나눔(1)/작복과 수복
-. 복을 짓는 작복
-. 복을 닦는 수복
-. 중용과 중도와 수복
-. 요범사훈이 말하는 수복과 보시
-. 보시의 2가지 수복
-. 보시=나눔
-. 운명을 개척하는 법
<<힐링 인문학 제12회/2022.2.8>>
나눔(2)/응무소주 행어보시
-. 응무소주 행어보시=무주상보시(금강경 묘행무주분)
-. 금강경의 핵심(두 가지 질문과 답변)
-. 보시=희사
-. 3종 보시(재시, 법시, 무외시)
-. 재물없이 하는 7가지 보시=무재7시(잡보장경)
-. 공자의 성인론=박시어민 이능제중(논어 옹야28)
-. 아리스토텔레스의 후함=방탕(낭비)와 인색(간탐)의 중용
-. 중용의 리더(성인, 군자)와 나눔
-. 보시=단시=단나+보시
-. 우리 민족의 시조 단군은 단나하는 임금이란 뜻
<<힐링 인문학 제13회/2022.2.15>>
리더십(1)/수기안인의 리더십
-. 경주 최부잣집 개인적 덕목 육연
-. 경주 최부잣집 사회적 덕목 육훈
-. 구례 운조루의 타인능해
-. 수기이경, 수기이안인, 수기이안백성(논어 헌문45)
-. 영양 여중군자 장계향의 리더십
-. 여중군자의 물령지지와 마태복음 6:3-4
<<힐링 인문학 제14회/2022.2.22>>
리더십(2)/3대 위기와 3대 실천
-. 리더십의 두 가지 차원
-. 기본적인 리더십(인간 본성의 바람에 부응, 치유능력+깨침능력+나눔능력)
-. 이상적인 리더십(시대정신에 부응, 생명공경+인문공부+복지이타)
-. 워렌 베니스의 ‘비(be) - 노(know) - 두(do)’
-. 셀프리더십과 아더리더십
-.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
-. 리더십의 4P
-. 성과창출과 거경궁리
<<힐링 인문학 제15회/2022.3.1>>
행복(1)/행복은 마음가짐을 넘어선다
-. 대통령 선거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공동체의 행복은 정치학, 개인의 행복은 윤리학
-. 윤리학은 정치학의 입문(아리스토텔레스)
-. 행복은 인생의 궁극적 목적(최고선)
-. 좋음과 바람직함은 가치, 옳음과 바름은 윤리
-. 가치가 윤리를 규정함(아르케=원질 ➝ 아레테=미덕)
-. 행복=최고의 좋음
-. 행복=에우다이모니아(eudaimonia)=관조적인 삶
-. 행복=마음가짐이 아니며, 미덕에 걸맞는 행위임
-. 삼독번뇌를 다스리며 중용의 미덕을 실천하여 행복 실현
<<힐링 인문학 제16회/2022.3.8>>
행복(2)/성공이 행복이 아니라 행복은 성공이다
-. 개인과 공동체의 행복을 무너뜨린 울진·삼척·동해·강릉 산불
-. 산불에 관한 다섯 가지 인문학적 성찰
-. 레이먼드 카버의 단편소설 <A Small, Good Thing>의 행복
-. 무라카미 하루키의 <랑겔한스섬의 오후>의 소확행
-. 중용중도와 관계 있는 소확행
-. 공자의 기쁨과 맹자의 즐거움
-. 행복에 관한 빛나는 안목 세 가지(행복은 상태가 아니라 과정, 행복은 정설적이 아니라 역설적, 성공이 행복이 아니라 행복이 성공)
<<힐링 인문학 제17회/2022.3.15>>
생명(1)/뭇 생명을 공경한다
-. 행복은 생명의식의 확인이라 할 수 있음
-. ‘살아있는 것은 다 행복하라’(법정 잠언집)
-. 뭇 생명(중생)에 대한 연민심
-. 제선왕이 말한 곡속(맹자 양혜왕상편 제7장)
-. 잡초도 함부로 뽑지 않은 주돈이(근사록 관성현류 제15조)
-. 싱싱한 생명으로 채우심(타고르 기탄잘리 첫 번째 시)
-. 자기생명으로 되돌아감이 항상성, 항상성을 아는 것이 밝음(노자 도덕경 제16장)
-. 행복은 생명력으로 표현되고, 생명력은 순환하여 행복으로 발현
-. 생명력을 일심(一心), 본심, 청정심이라 할 수 있음
-. 생태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생명공경
-. 동학의 삼경(三敬)
-. 해월 최시형과 포항
<<힐링 인문학 제18회/2022.3.22>>
생명(2)/생사문제에 밝은 안목을 갖춘다
-. 수운 최제우의 시천주, 해월 최시형의 인시천과 사인여천, 의암 손병희의 인내천 등의 동학의 생명사상
-. 인시천은 선천개벽, 인내천은 후천개벽
-. 불성론과 하느님 나라의 생명사상
-. 영세불망 만사지(생명의 완전성과 영원성)
-. 열반사덕(상락아정)
-. 삶과 죽음은 대칭적인 것이 아님
-. 죽음은 삶의 과정의 일부
-. 위기지학으로서의 죽음수업
-. 메멘토 모리(죽는다는 사실을 잊지 말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