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essons from Mauritius
by Joseph Stiglitz
Suppose there is a small country that provided free education through university for all of its citizens and free health care for all. You might think such a country is *either phenomenally rich *or on the fast track to fiscal crisis. But Mauritius, a small island nation off the east coast of Africa, is *neither particularly rich *nor on its way to budgetary ruin. Nonetheless, it has spent the last decades successfully building a diverse economy, a democratic political system, and a strong social safety net. Many countries, not least the U.S., could learn from its experience.
phenomenally: 굉장히, 경이로울 정도로 // on the fast track to A: 급하게 A로 향하는
fiscal: 재정상의 // budgetary: 예산상의 (fiscal) // not least: 적지 않게, 당연히, 중요하게
전 국민을 대상으로 대학까지 무상교육, 무상건강보험을 제공하는 소규모 국가가 있다고 가정해보라. 당신은 아마도 그러한 국가가 엄청날 정도로 부유한 국가이거나, 혹은 빠른 속도로 재정 붕괴를 향해 달려가고 있는 국가일 것이라 생각할 것이다. 그러나 아프리카 동부 해변 근해에 위치한 섬나라 소국인 모리셔스는, 특별나게 부유하지도, 그리고 방탕할 정도의 재정상태를 겪고 있지도 않는 국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국가는 지난 수 십 년간, 다양한 경제구조, 민주적 정치제도, 그리고 강력한 사회보장제도를 확립했다. (당연히 미국도 포함한) 상당수의 국가들은 이 국가에 많은 교훈을 얻어야만 한다.
In a recent visit to this tropical archipelago of 1.3 million people, I had a chance to see some of the leaps Mauritius has taken. Consider home ownership: 87 percent of Mauritians own their own homes, of course without fueling a housing bubble.
archipelago: 군도(群島)
take a leap: 큰 도약을 이루다 (= make progress/stride)
fuel A: A에 기름을 붓다; A를 가속화시키다
bubble: 버블; 투자거품
필자는 최근 인구 130만 명의 열대군도인 모리셔스를 방문하며, 이 국가가 성취한 여러 성과들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우선, 이 국가의 자가(自家)비율을 살펴보자. 모리셔스 국민들의 87%는 자기 소유의 주택을 보유하고 있다. 물론 이 과정에서 부동산 거품이 발생하지는 않았다.
Mauritius’s GDP has grown faster than 5 percent annually for almost 30 years. Surely, this must be some “trick.” Mauritius must be rich in diamonds, oil, or some other valuable commodity. But Mauritius has no exploitable natural resources. *Indeed, *so dismal were economists' prospects for the country as it approached independence from Britain, which came in 1968. However, as if to prove them wrong, the Mauritians have increased per capita income from less than $400 in 1967 to more than $6,700 today. The country has progressed from the sugar-based monoculture of 50 years ago to a diversified economy that includes tourism, finance, textiles, and advanced technology.
*commodity: 1차상품 // *exploitable: 개발/활용할 수 있는
*so dismal were economists' prospects~ :도치구문
*dismal: 암울한, 음침한 // *per capita: 1인 당 *1인당 국민소득=per capita income
*monoculture: 일모작; 단일경작 // *diversified: 다각적인, 갖가지 제품을 생산하는
모리셔스의 GDP성장률은 약 지난 30년간 연 5% 이상을 기록해왔다. 분명, 이 통계에 어떠한 “속임수”가 있지 않고서는 불가능해 보이는 결과이다. 사실은, 모리셔스에는 다이아몬드, 석유, 기타 가치가 높은 일차상품들이 풍부함이 분명하다는 의심까지 든다. 그러나 모리셔스에는 자연자원이 전혀 없다. 실제, 지난 1968년 모리셔스가 영국으로부터 독립할 무렵, 경제학자들은 이 국가의 미래에 대해 매우 암울한 전망을 내어 놓았다. 그러나 마치 이들의 주장이 틀렸다는 것을 증명이라도 하듯, 모리셔스의 일인당 국민소득은 지난 1967년 400불에서 오늘날 6,700불로 크게 증가했다. 50년 전 사탕수수 단일경작 수준이던 이 나라의 산업은, 현재, 관광, 금융, 섬유, 그리고 첨단기술로 구성된 다양한 구조를 선보이고 있다.
During my visit, my interest *was to understand better what *had led to *what *some have called the Mauritius Miracle, and what *others might learn from it. First, the question is not whether we can afford to provide health care or education for all, or ensure widespread homeownership. If Mauritius can afford these things, America and Europe can, too. The question, rather, is how to organize society. Mauritians have chosen a path that leads to higher levels of social cohesion, welfare, and economic growth ― and to a lower level of inequality.
*rather ~ : 오히려 ~ 이다 (cf. 앞 문장은 부정적 의미를 내포해야한다)
*cohesion: 응집력, 단결
필자는, 이곳을 방문하는 동안, 모리셔스의 기적이라 불리는 현상의 원인과, 이를 통해 다른 국가들이 얻을 수 있는 교훈들은 무엇인지를 알고 싶었다. 첫 번째 교훈은,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무상교육, 무상건강보험, 혹은 높은 자가주택 보유율의 존재 여부는 사실 중요한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만약 모리셔스라는 국가가 이러한 것들을 실현할 경제적 형편이 된다면, 미국과 유럽 국가들도 충분히 그럴 수 있는 형편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요한 것은, 어떻게 사회를 조직할 것인가라는, 다시 말해 사회조직의 방법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모리셔스 국민들은, 한 차원 높은 사회적 통합, 복지, 경제성장, 그리고 한 차원 낮은 불평등으로 가는 길을 선택해왔던 것이다.
Second, unlike many other small countries, Mauritius has decided that most military spending is a waste. The U.S. really *need learn from this; just a fraction of the money that America *spends on weapons that don’t work against enemies that don’t exist would go a long way toward creating a more humane society, including provision of health care and education to those who cannot afford them.
go a long way toward A: A를 향해 큰 성과를 이루다
humane: 인간적인
둘째, 상당수의 다른 소국들과는 달리, 모리셔스는 대부분의 군사지출은 낭비라는 결론을 내렸다. 이는 미국에 큰 시사점을 준다. 실제 존재하지도 않은 적들을 대상으로, 제대로 작동하지도 않는 무기들을 위해 미국이 사용하는 총 비용 중 극히 일부분만으로, 경제적으로 형편이 좋지 않은 사람들을 위한 건강보험 및 교육을 제공하는 것과 같은, 보다 인간적인 사회의 건설이 가능하다.
Third, Mauritius recognized that without natural resources, its people were its only asset. Maybe that appreciation for its human resources is also what *led Mauritius *to realize that, education for all was crucial to achieving social unity and narrowing the country’s religious, ethnic, and political differences. *So was a strong commitment to democratic institutions and cooperation between workers, government, and employers.
narrow differences: 차이점을 줄이다
commitment to A: A에 대한 의지/약속
셋째, 모리셔스는, 자연자원이 없다면, 국민만이 유일한 자산이라는 점을 빨리 인지했다. 아마도 인적 자원의 중요성에 대한 이러한 높은 인식이, 자신들의 종교적, 민족적, 정치적 차이들을 줄이고 사회를 통합하기 위해서는 전 국민 대상의 교육 매우 중요하다는 결론으로 이어지게 되었을 것이다. 근로자, 정부, 기업 간의 협력과 민주제도에 대한 강력한 의지 또한 사회통합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
This is not to say that Mauritius is without problems. Like many other successful emerging-market countries, Mauritius is confronting a loss of exchange-rate competitiveness. And, as more and more countries intervene to weaken their exchange rates in response to America’s quantitative easing, the problem is becoming worse. Almost surely, Mauritius, too, will have to intervene.
this is not to say that ~ : 그렇다고 ~라고 말하는 것은 아니다
confront A = be confronted with A: A에 직면하다
intervene: 개입하다
quantitative easing: 양적완화 조치 (소비를 촉진시키기 위해 통화 공급을 늘리는 것)
물론 모리셔스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말이 아니다. 상당수의 여타 성공적인 신흥시장들과 마찬가지로, 모리셔스도 최근 환율 면에서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다. 그리고 미국의 양적완화조치에 대응하기 위해, 시장개입을 통한 자국의 환율 약세를 유도하려는 국가들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모리셔스의 환율경쟁력 역시 악화될 수밖에 없다. 모리셔스도 환율시장에 개입할 것은 거의 확실해 보인다.
Moreover, like many other countries around the world, Mauritius worries today about imported food and energy inflation. To respond to inflation by increasing interest rates *would simply compound the difficulties of high prices with high unemployment and an even less competitive exchange rate. Direct interventions, restrictions on short-term capital inflows, capital-gains taxes, and stabilizing prudential banking regulations will all have to be considered.
compound: 악화시키다; 더욱 복잡하게 만들다
compound A with B: B로 A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다
restriction on A: A에 대한 제한 조치
prudential: 신중한
게다가, 여러 여타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현재 모리셔스 역시 수입 식량과 에너지의 인플레이션에 관한 걱정을 지니고 있다. 만약 이러한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해 금리를 인상한다면, 이는, 높은 실업률과 훨씬 더 심각한 환율경쟁력 상실이라는 문제들로, 고물가(高物價)라는 문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드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직접적 형태의 시장개입, 단기적 성격의 자본 유입 제한, 자본소득 과세, 신중한 금융규제 안정화 등의 모든 조치들이 통합적으로 고려되어야만 할 것이다.
The Mauritius Miracle dates to independence. But the country still struggles with some of its colonial legacies*: inequality in land and wealth, as well as vulnerability to high-stakes global politics. The U.S. occupies one of Mauritius’s offshore islands, Diego Garcia, as a naval base without compensation, officially leasing it from the United Kingdom, which *not only retained the Chagos Islands in violation of the U.N. and international law, but expelled its citizens and refuses to allow them to return. The U.S. should now do right by this peaceful and democratic country: recognize Mauritius’ rightful ownership of Diego Garcia, renegotiate the lease, and redeem past sins by paying a fair amount for land that it has illegally occupied for decades.
*date to A: A까지 거슬러 올라가다 // *struggle/wrestle with A: A로 고생하다
*vulnerability to A: A에 대한 취약성 // *high-stakes: (종잡기 힘들게) 급변하는
*lease A: A를 빌리다 // *retain: 간직/보유하다
*do right by A = do justice to A = bring A to justice: A에 정의롭게 행동하다
*redeem: 속죄하다; 되찾다
모리셔스의 기적은 모리셔스가 독립을 하던 날부터 시작되었다. 그러나 이 국가는 여전히, 토지 및 부의 분배 불균형, 국제정치 급변에 대한 취약성 등, 식민지 시대의 어두운 유산들로 힘겨워하고 있다. 미국은 모리셔스 근해의 섬들 중 한 곳인 디에고 가르시아를 점령한 체, 아무런 대가를 지급하지 않으며, 이를 해군기지로 이용하고 있다. (공식적으로는, 미국이 영국으로부터 이곳을 임대해 사용하고 있다. 영국은 유엔 및 국제법을 위반하면서까지 카고스 군도를 보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현지인들을 추방한 후 현재도 이들의 귀환을 거부하고 있다.) 미국은 이제 이 평화롭고 민주적인 국가인 모리셔스에게 정의로운 모습을 보여야 한다. 디에고 가르시아에 대한 모리셔스의 정당한 소유권을 인정하고, 이 섬의 임대를 위한 협상에 나서야 하며, 지난 수십 년 간 불법으로 점유해온 토지에 대한 정당한 액수를 지급함으로써, 지난 잘못을 속죄해야 한다.
|
첫댓글 이런 멋진 자료와 번역을 올려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