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하역사소설 태종 이방원 149
부러진 날개로 다시 날아오를 수 있을까
태종 이방원은 우의정 박은과 병조판서로 승진한 이원, 그리고 대소 신료들을 편전으로 불렀다.
"이숙번은 근래에 어찌 하여 출입하지 않는가?"
임금의 의중을 파악하지 못한 신하들은 머리만 조아릴 뿐 아무 말이 없었다.
"과인에게 불경하고 무례한 신하가 있으니 하늘이 어찌 비를 내리겠는가?"
태종 재위기간 끈질기게 따라 다니는 것이 기상재해였다.
극심한 한재(旱災)에 시달렸고 비가 왔다하면 폭우가 쏟아져 청계천이 범람했다.
기우제를 지내고 개천을 여는 토목사업을 펼쳤지만 자연재해 앞에는 임금도 백성도 무력했다.
임금이 가뭄을 빗대어 말했지만 이숙번을 성토하라는 암시가 내려졌다.
기다렸다는 듯이 좌대언(左代言) 서선이 입을 열었다.
"지난 5월 신이 마침 강무(講武) 장소를 정하는 일 때문에 명을 받고 이숙번의 집에 이르니 이숙번이 말하기를
'오늘날의 정사(政事)는 어떠한가?' 하기에
'박은이 우의정이 되었다'하니 이숙번이 기뻐하지 않는 기색으로 '박은은 일찍이 내 밑에 있었는데 나의 명이
통하는 자이다'라고 하였습니다."
태종의 얼굴이 일그러졌다.
임금의 신하를 자신의 명이 통하는 자라 하니 어이가 없었다. 당사자 박은이 격앙된 목소리로 말했다.
"전하께서 일찍이 '붕당(朋黨)을 만들지 말라' 하였는데 붕당을 만들었고, 하륜이 성상께 국정을 아뢰는데
이숙번이 계하(階下)에 잠복하여 엿듣는 것은 반복(反覆)입니다. 또한 세자를 배알하고 '이제부터 세자를
상견하기를 원합니다' 하였으니 금장(今將-역심)의 마음이 분명합니다.
그가 무례하고 불충함이 이와 같으니 유사(攸司)에 내려 그 정상을 국문하여 불충한 자들의 감계(鑑戒)로
삼으소서."
좌대언 서선의 말처럼 박은이 이숙번과 내통하고 붕당을 지었는지 아직은 모른다.
때문에 입에 오르내린 박은이 더 강하게 치고 나오면서 자신의 결백을 주장하는 것이다.
"예조우참의(禮曹右參議)를 들라 이르라."
태종의 목소리는 분노에 떨리고 있었다. 긴급 호출을 받은 정효문이 부복했다.
"이숙번이 불경한 죄를 스스로 헤아리도록 연안에 나가 있도록 하라."
추상같은 명령이 떨어졌다. 나는 새도 떨어뜨릴 권세를 부리던 이숙번도 단칼이다.
자원 안치의 형식을 취했지만 유배나 다름없는 팽(烹)이다.
이숙번은 변명 한 마디 못하고 속절없이 한양을 떠났다.
부귀영화도 한조각 구름이다. 거동할 때면 줄줄이 따르던 수하들도 보이지 않았다.
이숙번 파당임을 은근히 내비치던 자들도 색깔을 거두어 들였다. 정치의 속성이고 권세의 냉혹함이다.
높이 오른 새가 멀리 볼 수 있지만 날개가 꺾여 추락할 때는 얼마나 야멸치게 추락하는 가를 보여주는
모습이다. 여기까지는 예정된 수순이고 이제부터 시작이다.
이숙번이 풍해도 안악으로 유배 길에 올랐지만 조정은 들끓었다. 이숙번을 국문에 처하라는 것이다.
이숙번의 위압에 짓눌려 아무소리 못하고 숨죽이던 원성이 한꺼번에 터진 것이다.
대사헌 김여지의 상소에 이어 우사간대부(右司諫大夫) 박수기가 상소를 올렸다
"훈구는 나라 사람들이 우러러보는 것이니 무릇 출입이 있게 되면 이를 알지 못함이 없습니다.
이숙번은 성명(聖明- 임금의 밝은 지혜)을 받아 지위가 1품에 이르렀는데 갑자기 외방으로 추방하게 하였으니,
사람들이 그가 범한 죄를 알지 못합니다.
전하는 유사(攸司)에 명하여 그 이유를 국문하게 하여 사람마다 알게 하소서."
뒤이어 형조판서 안등의 상소와 조정의 원로대신 성석린의 주청이 올라왔다.
한결같이 이숙번을 국문하라는 것이었다.
"짐의 마음은 이미 정해졌다. 다시는 청하지 말라 이르라."
태종이 지신사 조말생을 불러 하명했다.
"이숙번의 불충하고 무례한 것이 언행에 나타난 지도 오래 되었습니다.
마땅히 그 죄를 바로잡아서 나라 사람들로 하여금 뚜렷이 알게 하여야 하는데,
원훈대신(元勳大臣)을 하루 아침에 추방하면서 그 죄를 밝히지 아니한다면 나라 사람이 이를 의심할 것이니
실로 부적절합니다."
드디어 대척점에 서있는 하륜이 움직였다.
공격의 끈을 늦추면 역풍을 맞을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맞바람은 예상 가능한 바람이지만 뒤통수를 치는 역풍은 불확실성의 바람이다.
어느 순간 어디에서 불어올지 모른다. 바람을 잡았을 때 확실하게 제압해야한다는 것이 그의 전략이었다.
"내선(內禪)은 내가 꺼낸 말이지 이숙번의 음모는 아니다. 이숙번은 천성이 광망(狂妄)하고 매사에 착오를 자주
일으켜 불찰이지 실로 두 마음 먹은 것이 있어서 그러한 것이 아니다. 사람에게 신(信)을 잃는 것은 불가하다."
*내선(內禪) : 임금이 살아있는 동안 아들에게 임금자리를 물려줌.
이숙번은 천성이 광포하고 꼼꼼히 챙기지 못하는 성미일 뿐, 근본은 역심을 품은 것이 아니므로 거론하지
말라는 뜻이다. 또한 무덤까지 같이 가겠다는 공신들과의 약속을 버릴 수 없다는 것이다.
대신들은 물러서지 않았다. 임금이 상소를 받아들이지 않자 모두 사직서를 제출하며 윤허를 청했다.
임금과 신하의 힘겨루기가 계속 되었다. 형조와 대간(臺諫)의 간원들이 퇴궐하지 않고 3일 동안 밤을 새며
이숙번의 죄를 청했다.
"이숙번은 두 번이나 사지(死地)를 같이 겪었으니 그 공이 크고 중하다. 그러나 일에는 경중이 있으니 내가
어찌 구처할 방도를 생각하지 않겠는가? 천천히 순리대로 하겠다."
이숙번과 함께 광화문 앞에 천막을 치고 아버지를 향한 무인혁명을 성공시키던 일과, 형 이방간을 치던 일을
상기하는 말이다.
날개가 있어야 다시 날아오를 수 있다
임금이 한발 물러섰다. 순리대로 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 순리가 무엇이냐가 문제다.
임금의 회유에 물러설 대신들이 아니었다.
좌의정 유정현의 상소에 이어 병조판서 이원의 상소가 올라왔다.
그래도 임금이 꿈적하지 않자 형조와 대간에서 교장(交章)하여 청했다.
"모든 대소신료가 이숙번의 죄를 청하였으나 겨우 관문 밖으로 나가도록 하니 아직 그 연유를 알지 못하는
까닭에 답답합니다. 전하께서 말씀하기를 '이숙번은 내가 자식같이 여긴다. 근래에 과실이 있어 그를 밖으로
내보내어 그가 개과(改過)하기를 기다리니 죄를 청하지 말라'하였습니다.
전하께서 그를 아들같이 하는데 이숙번은 어찌하여 어버이를 섬기는 도리로서 전하를 섬기지 아니합니까?
대소신료가 비록 그 범한 것을 알지 못한다 하나 반드시 그 죄가 종묘사직에 관계된 것이리라 생각합니다.
전하께서 그 죄를 다스리지 않고 개과하게 하고자 하니 이것이 신들이 실망하는 까닭입니다.
전하께서 유사에 영(令)을 내려 그 직첩을 거두고 그가 범한 죄를 물어서 율문에 의하여 시행하심으로써
방헌(邦憲- 나라의 법률)을 바로잡으소서."
"이숙번의 녹권과 직첩을 거두어라."
태종의 명이 떨어졌다. 임금이 물러선 것이다. 어쩌면 예정된 수순대로 진행되어 왔는지 모른다. 아무튼 이숙번의 녹권과 직첩이 거두어졌다.
부귀영화의 보증수표가 사라진 것이다. 이제는 목숨이 위태롭다.
날개가 있어야 다시 날아오를 수 있는데 이숙번의 날개가 꺾인 것이다.
다음 150에 계속
첫댓글 꺽어진 날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