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원은 그 자체로 흥미로운 작은 역사이자
지적 확장의 매개체
어떤 일의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려면 대략 사건의 흐름, 관련된 인물의 행적, 단어의 어원에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조선 건국의 경우 위화도 회군과 정몽주 그리고 태조(太祖)라는 핵심 용어를 살펴야 한다. 그런데 사건과 인물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알려진 경우가 많지만, 어원은 그렇지 않다. 역사에서 거시사(巨視史)가 주류이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어원은 사소한 역사가 아니고, 그 자체만으로도 흥미로운 작은 역사이므로 간과해서는 안 된다.
‘태조’만 하더라도 이성계(李成桂)를 지칭하는 고유명사가 아니라 국가를 창건한 창업 군주에게 붙이는 묘호(廟號)이므로 태조라는 단어가 나오면 전체 문장을 통해 어느 나라 시조인지 파악해야 한다. 또한 ‘건국(建國)’과 ‘개국(開國)’을 구별하려면 반드시 어원을 알아야 한다. 이에 말에 깃든 본뜻과 역사를 살펴보는 동시에, 우리말에 애정을 갖고 공부하는 이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이 책을 펴냈다. 1부에서는 의외의 어원을 가진 낱말을, 2부에서는 자주 쓰는 한자어 중 어원을 알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단어를 선별하여 실었다. 단순히 사전적 정의로 딱딱하게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문학작품의 사례를 통해 어원을 쉽게 이해하도록 돕는다. 말에 깃든 역사와 문화를 차근차근 알아 가면 언어사용에 한층 자신감도 생기고 인문학적 소양까지 기를 수 있다.
알면 보이고 배우면 커지는 어원의 세계
알나리깔나리
이 말의 어원은 ‘알나리’다. ‘알나리’는 나이 어리고 키 작은 사람이 벼슬했을 때 관복 입은 모양이 우스꽝스러워 농담 삼아 “아이 나리”라고 부르던 말에서 나왔다. 비록 벼슬은 했을지라도, 몸집이 일반인보다 작은 까닭에 붙인 은근한 놀림 말이었다. 이 말이 점차 누군가를 흉보는 말이 됐고, 알나리에 운율을 맞추기 위해 별다른 의미 없이 ‘깔나리’를 덧붙였다. 비표준어인 ‘얼레리꼴레리’도 ‘알나리깔나리’에서 변화한 말이다.
오지랖
지나치게 아무 일에나 쓸데없이 참견할 때 ‘오지랖 넓다’라고 말하는데, 이 말은 웃옷이나 윗도리에 입는 겉옷 앞자락을 가리키는 오지랖과 관련되어 생겼다. 옷의 앞자락, 즉 오지랖이 넓으면 다른 옷도 덮을 수 있다. 이런 모양을 남의 일에 간섭하는 사람의 성격에 빗대어 ‘오지랖이 넓다’라고 말하게 됐다.
까불다
옛날에는 가을에 추수하는 일을 ‘가실한다’고 했다. ‘가실(가슬)’은 가을의 옛말이다. 가실에서 필수적인 작업은 거둬들인 곡식을 방아나 절구에 넣어 찧고, 또 이를 키에 담아 까부는 일이다. ‘찧고 까분다’라는 말이 지금은 경솔하게 군다는 뜻으로 별로 좋지 않게 쓰이지만, 본뜻은 그게 아님을 알 수 있다. ‘까불다’란 본래 키질을 일컬었는데, 그 행동이 가벼워 보이므로 철없이 경망하게 행동함을 이르는 말로 바뀌었다.
들통나다
‘들통나다’라는 관용어에서 ‘들통’은 반달 모양으로 만들어 붙인 손잡이가 양옆에 달린 통을 가리키는 말이다. 예전에는 무언가를 감출 때 들통 밑에 숨겨두곤 했는데, 나중에 우연히 혹은 찾는 과정에서 들통을 들어내면 그 자리에 숨긴 물건이 그대로 드러나므로 ‘들통나다’라는 말이 생겼다.
술병 나부랭이, 안주 나부랭이 등 흔히 ‘나부랭이’라고 하면 어떤 물건이든 하찮은 것처럼 여겨진다. 왜 그럴까? 원래 ‘나부랭이’는 ‘종이나 헝겊 따위의 자질구레한 오라기’를 이르는 말이다. ‘오라기’는 실, 헝겊 따위의 가늘고 긴 조각을 뜻한다. 종이 나부랭이나 헝겊 나부랭이는 온전한 형체가 아닌 부스러기임을 알 수 있다. 하여 나부랭이란 물건이나 사람을 낮잡아 말할 때 쓰게 됐다.
--- 「p.44 〈나부랭이〉」중에서
예부터 강원도에는 건축재로 쓰기에 적합한 나무가 많았다. 서울까지 육로는 산이 많고 길도 험한지라 강원도 정선 아우라지에서 뗏목을 이용해 물길 따라 한양까지 운반했는데, 사실 그 일도 만만치 않았다. 동강(東江)에 거친 여울이 많아 사고 위험이 컸기 때문이다. 하여 뗏목꾼은 목숨을 건 채 벌목한 나무들을 운반해야 했고, 그 대가로 상당한 액수의 두둑한 수고비를 받았다. 이에 연유하여 ‘떼돈’이라는 말이 생겼다.
--- 「p.80 〈떼돈〉」중에서
쑥의 뿌리는 길고 굳세어 농경지나 주거지역을 침범하고 쉽게 퍼진다. 다른 작물이 자라기 힘들 정도로 쑥의 번식력은 강하다. 그래서 폐허 또는 황무지가 된 것을 일러 ‘쑥대밭’이라고 말하게 됐다. ‘쑥대밭이 되었다’란 쑥이 무성하게 자라 못 쓰는 땅이 되었다는 의미이며, 쑥대밭을 줄여서 ‘쑥밭’이라고도 말한다.
--- 「p.116 〈쑥대밭〉」중에서
예로부터 경기도 안성 땅에서 만드는 유기(鍮器: 놋그릇)는 튼튼하고 질 좋기로 유명했다. 안성 놋그릇을 파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었는데, 이미 만든 기성품을 장에 내다 파는 ‘장내기’와 주문을 받은 다음에 만드는 ‘맞춤’이 그것이다. 보통 사람들은 장에서 놋그릇을 사다 썼다. 하지만 서울 양반이나 행세하는 이들은 직접 안성에서 식기나 제기를 맞춰 썼다. 이런 놋그릇을 ‘안성맞춤 유기’라 했다. 이렇게 안성에서 일부러 맞춘 놋그릇처럼 ‘잘 만들어진 물건이나 잘된 일’을 가리켜 ‘안성맞춤’이라 말하게 됐고, 나아가 ‘어떤 일에 딱 들어맞게 잘된 일’을 뜻한다.
--- 「p.123 〈안성맞춤〉」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