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025 연중 제29주간 수요일
✠ 루카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12,39-48
그때에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말씀하셨다.
39 “이것을 명심하여라. 도둑이 몇 시에 올지 집주인이 알면, 자기 집을 뚫고 들어오도록 내버려 두지 않을 것이다.
40 너희도 준비하고 있어라. 너희가 생각하지도 않은 때에 사람의 아들이 올 것이다.”
41 베드로가, “주님, 이 비유를 저희에게 말씀하시는 것입니까? 아니면 다른 모든 사람에게도 말씀하시는 것입니까?” 하고 물었다.
42 그러자 주님께서 이르셨다. “주인이 자기 집 종들을 맡겨 제때에 정해진 양식을 내주게 할 충실하고 슬기로운 집사는 어떻게 하는 사람이겠느냐?
43 행복하여라, 주인이 돌아와서 볼 때에 그렇게 일하고 있는 종!
44 내가 참으로 너희에게 말한다. 주인은 자기의 모든 재산을 그에게 맡길 것이다.
45 그러나 만일 그 종이 마음속으로 ‘주인이 늦게 오는구나.’ 하고 생각하며, 하인들과 하녀들을 때리고 또 먹고 마시며 술에 취하기 시작하면,
46 예상하지 못한 날, 짐작하지 못한 시간에 그 종의 주인이 와서, 그를 처단하여 불충실한 자들과 같은 운명을 겪게 할 것이다.
47 주인의 뜻을 알고도 아무런 준비를 하지 않았거나 주인의 뜻대로 하지 않은 그 종은 매를 많이 맞을 것이다.
48 그러나 주인의 뜻을 모르고서 매 맞을 짓을 한 종은 적게 맞을 것이다. 많이 주신 사람에게는 많이 요구하시고, 많이 맡기신 사람에게는 그만큼 더 청구하신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해와 달, 하늘의 별과 새, 땅의 바람과 물과 동물, 나무와 꽃, 그안에 사람이 어울려 살아가고 있다. 참 보기 좋고 아름답다.(창세 1-2장 참조)
그안에 한사람 한사람의 대하 드라마같은 삶이 아름답고 신비롭다.
반가운 고향 친구와 소풍을 간다
그리운 부소치리 산위의 수도원으로
하늘 향한 십자가 아래 모여 사는
가난한 수도자들의 감사 찬미의 노래
아픈 사연을 담은 저녁 삼종기도
참 아름답다.
“주인이 자기 집 종들을 맡겨 제때에 정해진 양식을 내주게 할 충실하고 슬기로운 집사는 어떻게 하는 사람이겠느냐? 행복하여라, 주인이 돌아와서 볼 때에 그렇게 일하고 있는 종!"
'충실하고 슬기로운 집사'
내가 살아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나? 데카르트는 '생각(인식)'으로 존재 입증을 한다.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Cogito, ergo Sum). 그리고 살아 존재하는 내가 알고있는 경험적 사실이 있다. 사람은 누구나 태어나서 결국 죽는다는 사실이다. 예외가 없다. 빈손으로 왔다가 빈손으로 간다. 하느님의 부르심(소명과 사명)으로 이 세상에 태어나 그 사명을 다하고 다시 하느님께로 돌아간다. 하느님께서는 각자의 사명을 다하도록 그에 걸맞는 재능을, 탈란트를 주신다. 우리는 '충실하고 슬기롭게' 맡겨진 재능을 사용하여 그 사명을 다하는 집사들이다.
어떤 사람이 '충실하고 슬기로운' 집사일까? '슬기로운 의사생활'이란 드라마가 우리의 구체적 일상 삶 안에서 '충실하고 슬기로운 집사'가 어떤 사람인지 흥미진진하게 보여주었다. 다양한 우리들 일상의 삶 안에서 '충실하고 슬기로운 집사'의 삶이 어떻게 가능한지 보여주었다.
좋은 이웃 고마운 친구들이 '충실하고 슬기로운 집사'들이다. 기도하고 봉사하며, 공감과 연대와 나눔으로 함께 하는 수도자들, 우리 생태복지마을 식구들, 고향친구들, 학교친구들, 성당친구들, 동네친구들이 고마운 '충실하고 슬기로운 집사'같은 행복한 사람들이다.
해와 달, 하늘의 별과 새, 땅의 바람과 물과 동물, 나무와 꽃을 그리며, 그 아름다운 세상 안에서 어울려 부지런하고 즐겁게 사는 아름다운 사람들.
"충실하고 슬기로운 집사"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