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꺼이 베푸는 사람이 잘되는 이유
아무리 능력과 실력이 뛰어난 사람이라 해도 인격적으로 성숙하지 않았다면, 이는 자신의 운을 낭비하는 것과도 같습니다.
한 사람의 운은 마음 자세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브랜드 컨설턴트 류쉬안은 행운의 기회는 사람이 만들어 내는 것이기에, 만약 큰 행운을 얻고자 한다면 상대와 기꺼이 나누고 베풀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행운도 연습하면 늘어나는데, 이것이 바로 기꺼이 베푸는 사람이 처음에는 잘 안 나가는 것 같아도 결국에는 잘 풀려나가는 이유라입니다.
류쉬안이 하버드 심리학을 통해 터득한 [기꺼이 베푸는 사람이 잘되는 이유]입니다.
불공평한 인생이지만 자신이 나눌 수 있는 것을 기꺼이 베풂으로써 운을 내 편으로 만드는 지혜를 배우게 될 것입니다.
기꺼이 베푸는 사람이 잘되는 이유
'상대방이 나를 후대하면 나도 상대방을 후대하고, 상대방이 내 이익을 가로채면 언젠가는 되갚아 주는 것'이 기본통념이다.
사람은 이 규칙에 따라 사회를 이룬다. '보복'과 '상호협력'은 사람의 타고난 본성이다.
따라서 인간관계를 맺는 데 있어서 <공평>은 가장 중요한 덕목이다. 은혜를 저버리거나 이기적이고 인색한 사람은 잠시 행복한 시절을 보낼 수 있을지 모르지만 절대 오래 가지 못한다.
그들이 성공했을 때 돌아오는 것은 호감이 아니라 질시다. 그들이 실족했을 때 손을 뻗어주는 사람은 아무도 없고 오히려 구렁텅이로 몰아넣으려 할 것이다.
물론 이기적이고 교활한 사람도 성공할 수 있다. 특히 심한 사람은 남의 이익까지 서슴지 않고 빼앗는다.
이는 자신의 노력으로 행복한 삶을 얻은 것처럼 보이지만, 실은 남의 행복을 소비한 것뿐이다.
행운의 기회는 종종 타인에게서 온다. 타인이 당신과 교류를 선택했을 때 기회가 생기고, 교류를 거절했을 때 기회는 줄어든다.
사람들이 협력하지 않으면 각 개인은 자신의 자원만 소유하지만, 상호협력한다면 개인의 자원은 무궁무진해진다. 이것이 바로 상호이익의 개념이다.
■ 기브앤테이크로 본 인간의 세 유형 - 미국의 심리학자 애덤 그랜트의 분류
1 테이커(taker) 언제나 자기 이익을 최우선시하며, 남들과 공유하길 원치 않는다. 전형적인 유아독존형이다.
어떤 사회에서나 이런 사람이 존재하지만, 다행히 극소수에 불과하다.
2 기버(giver) 테이커와 정반대 유형으로 늘 남에게 주는 데 관심이 많고, 심지어 자신의 이익보다 남의 이익을 우선시하기도 한다.
이들은 '이것이 내게 무엇을 가져다줄까?' 또는 '나에게 이익이 되지 않는데 이걸 왜 하고 있지?'라는 생각하지 않으며, 자신이 불편하더라도 남에게 이익이 된다면 기꺼이 도우려고 한다. 이런 사람 또한 그리 많지는 않다.
3 매처(matcher) 받은 만큼 되돌려주는 사람이다. 남을 도울 때 매처는 공평함을 지향하고 상부상조 원리를 내세우며 자신의 이익을 보호한다.
대부분 사람이 매처에 속한다. 이기적이긴 하지만 그 정도가 지나치지는 않으며, 공평함을 가장 중요한 덕목으로 꼽는다.
■ 기꺼이 베푸는 사람이 잘되는 이유
애덤 그랜트는 이 세 유형의 인격 분석을 통해 테이커가 매처보다 직위, 수입, 혹은 사회적 지위 등에서 좀 더 나은 위치에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그 이유는 테이커가 자신을 위해 더 많은 권리를 쟁취하기 때문이다.
한편 기버는 자신을 희생하면서까지 남을 돕기 때문에 항상 손해를 볼 뿐 아니라 자주 사기를 당한다.
하지만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가장 성공하고 가장 돈이 많은 사람들 또한 기버였다.
그 이유는 기버는 처음에는 좀 손해를 보는 듯하지만 갈수록 상황이 점점 더 호전되기 때문이다. 좋은 인간관계가 시간이 가면서 보답으로 돌아오는 것이다.
애덤 그랜트는 한 벨기에 의과대학의 연구를 예로 들었다. 성적이 최하위권인 의대생 중에는 기버가 많다.
하지만 이는 1학년 때뿐이고 2학년으로 올라가면서 금세 동급생들을 따라잡고, 그 영향력도 해가 갈수록 점점 더 증가한다.
그래서 졸업할 때가 되면 기버의 성적이 다른 학생들보다 월등히 앞선다.
그 이유는 의대에 들어가면 처음에는 암기를 중시한다. 기버는 학우를 돕는 데 시간을 많이 쓰기 때문에 성적이 당연히 뒤처질 수밖에 없다.
하지만 나중에는 실습이 점점 늘어나면서 협력과 인간관계가 매우 중요해지는데, 이때 기버의 대인관계는 절대적인 우위를 발휘하게 된다는 것이다.
문제는 기버가 남들에게 이용당할 수 있다는 것인데, 기버의 장점을 최대한 발휘하되 부작용을 줄일 수 있도록 신중히 처리할 필요가 있다.
■ SNS나 친구들 사이에서 남다른 기버가 되는 법
SNS나 친구들 사이에서 남다른 기버가 되고 싶다면 다음 세 가지를 마음껏 선물해 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1 호감 친구가 페이스북에서 우울해하고 있다면 기운을 북돋아 주기 위해 '좋아요'만 누르지 말고 메시지도 함께 보내보자.
그들이 얼마나 장점이 많은지 이야기하고, '할 수 있다'라는 자신감을 심어주는 내용이면 된다.
2 인맥 따로 알고 있는 두 친구를 소개해 준다면 일자리를 찾고 있는 친구가 관련 산업 종사자를 만난다거나 서로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사람끼리 의기투합하는 기회가 될지도 모른다.
3 지식 당신의 전공 또는 전문지식으로 누군가의 문제를 해결해 주거나 상대방이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내는 데 도움을 주자.
당신에게 이는 머릿속에 있는 지식과 경험을 통해 의견을 제시하는 데 불과하지만, 상대방으로서는 귀중한 시간을 절약하는 효과를 가져다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