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화-책거리(책가도)
책을 비롯한 도자기·문방구·향로·청동기 등이 책가 안에 놓여진 모습을 그린 그림을 말한다. 채거리(책가도) 그림은 책이 가득 꼽힌 것도 있지만, 책 이외의 여러 기물을 나열한 것도 있다. 민화풍 그림도 많지만 궁중화가(유명 화가들)들이 그린 그림이 많다.
책가도는 18세기 후반 책을 통해 문치(文治)를 하려는 정조(正祖)의 구상에 의해 화원이 제작한 것이 시초일 것으로 추정된다.
궁중화풍의 책가도는 19세기 민화로 확산되면서, 책가가 있는 책거리보다 책가가 없는 책거리가 더 성행했다. 작은 공간에 최대한 많은 것을 담기 위해 책을 비롯한 기물들을 응집해서 그리고 평면적인 공간으로 표현하는 등 서민 취향에 부응한 변화를 보였다.
첫댓글 잘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