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곳은 자유게시판입니다.
수험관련 매매 교환 관련 글은 해당 게시판에 글을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명진 샘 교재로 노동 경제학 공부 중인데 노동 공급 파트에서 어떤 그래프는 X 축 이 여가시간이 라고 쓰여 있고 또 어떤 그래프에는 그냥 알파벳만 쓰여 있고 또 어떤 그래프에는 총 가용 시간 이라고 쓰여 있고
Y축의 경우에는 어떤 그래프는 소득, 어떤 그래프는 소비 이렇게 조금씩표기가 다른데
아무거나 써도 모방 한 건지 아니면은 각각 단어별로 다 의미가 있는 건지 알려주시면..삼보일배하겠습니당ㅜ
첫댓글 E=L=여가시간
C=소비=소득
L=A=여가시간
E=근로시간
T=총가용시간
총가용시간 모두를 여가 또는 근로에 사용한다는 조건 있다면 E=T-L
w=임금률
V=비근로소득
M=소득=wE+V=w(T-L)+V
C=소비
소비의 가격이 1이라면 C=M
소비의 가격이 2라면 2C=M
* 대부분은 소비의 가격이 1이라고 가정하므로 바로 C=w(T-L)+V라고 나타내도 무방하나, 간혹 소비의 가격이 2라고 꼬아서 문제가 나오면 예산제약을 M으로 잡고 이를 C로 변환하는 과정 필요해요! (2C=w(T-L)+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