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와 성 정하상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 대축일
"우리나라는 18세기 말 이벽을 중심으로 한 몇몇 실학자들의 학문적 연구로 그리스도교 신앙을 받아들였다. 이들 가운데 이승훈이 1784년 북경에서 ‘베드로’라는 이름으로 세례를 받고 돌아와 신앙 공동체를 이룸으로써 마침내 한국 천주교회가 탄생하였다. 선교사의 선교로 시작된 외국 교회에 견주면 매우 특이한 일이다. 그러나 당시의 조선은 충효를 중시하던 유교 사상에 뿌리를 두고 있어, 그리스도교와 크게 충돌하였다. 그 결과 조상 제사에 대한 교회의 반대 등으로 박해가 시작되었다. 신해 박해(1791년)를 시작으로 병인박해(1866년)에 이르기까지 일만여 명이 순교하였다.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께서는 ‘한국 천주교회 200주년’의 해인 1984년 우리나라를 방문하시어 이 순교자들 가운데 한국인 최초의 사제인 김대건 안드레아와 평신도인 정하상 바오로를 비롯하여 103명을 시성하셨다. 이에 따라 그동안 9월 26일에 지냈던 ‘한국 순교 복자 대축일’을 9월 20일로 옮겨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와 성 정하상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 대축일’로 지내고 있다. 현재 한국 교회는 ‘주교회의 시복시성주교특별위원회’를 중심으로 순교자들의 시복 시성을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매일미사에서)
제1독서 : 지혜서(3,4.9) - “사람들이 보기에 의인들이 벌을 받는 것 같지만 그들은 불사의 희망으로 가득 차 있다.” “주님을 신뢰하는 이들은 진리를 깨닫고 그분을 믿는 이들은 그분과 함께 사랑 속에 살 것이다.”
제2독서 : 로마서(8,33.35) - “그들을 의롭게 해 주시는 분은 하느님이십니다.” “무엇이 우리를 그리스도의 사랑에서 갈라놓을 수 있겠습니까?” “그러나 우리는 우리를 사랑해 주신 분의 도움에 힘입어 이 모든 것을 이겨 내고도 남습니다.”
복음 : 루카(9,23.25) - “누구든지 내 뒤를 따라오려면, 자신을 버리고 날마다 제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라야 한다.” “사람이 온 세상을 얻고도 자기 자신을 잃거나 해치게 되면 무슨 소용이 있느냐?”
▶ 오늘 기념하는 한국의 첫 사제인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와 성 정하상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은 살아서는 부끄럽지 않은 삶, 그리고 죽더라도 영원히 사는 삶에 대한 신앙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순교자들은 이 ‘새 하늘과 새 땅’을 향해 그들의 목숨을 버렸습니다. 그들은 하느님으로 말미암아 열리는 새로운 세상과 새로운 질서를 열망하였습니다
정말 우리들도 이러한 순교의 길을 가려한다면 언제 어디서든지 예수님은 “나를 따르려는 사람은 누구든지 자기를 버리고 매일 제 십자가를 지고 따라야 한다.”고 하실 것입니다. 어떡하겠습니까?! 그래서 순교자들의 신앙을 우리도 간직할 수 있도록 하느님께 도움의 은총을 청하여야 합니다.
※창조시기-생태적 회개 실천사항
" 자연에 나가 하느님께 감사기도"
첫댓글 "누구든지 내 뒤를 따라오려면, 자신을 버리고 날마다 제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라야 한다."(루카9.23)
아멘.
십자가의 무게가 크든 작든 불평만을 늘어놓고 투덜거릴 때 항상 저희와 함께 해 주셨던 주님의 사랑에 감사드립니다.
사랑합니다.
"누구든지 내 뒤를
따라오려면, 자신을 버리고
날마다 제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라야 한다."
( 루카 9 , 23 )
아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 누구든지 내 뒤를 따라오려면,자신을 버리고 날마다 제 십다가를 지고 나를 따라야 한다.(루카 9,23 )
평화를 빕니다 ~~♡♡
순교자의 삶과
십자가에 대해
생각해보는 주일입니다.
평화를 빕니다.
아멘.
비움으로 채워지는
십자가의 은총 주소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