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는 2027년까지 세계 방산수출 시장 점유율 5%를 넘어 세계 4대 방산수출국으로 도약한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방위산업 생태계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 소재부품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민·군 기술협력에 2027년까지 1조원 이상을 투입할 방침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24일 경남 창원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를 방문, K-방산 수출성과 등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다.(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정부는 24일 경남 사천에 위치한 한국항공우주산업에서 열린 ‘2022 방산수출전략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방위산업 수출 전략산업화’ 핵심 추진과제 등을 밝혔다.
윤석열 대통령이 주관한 이날 회의에는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신범철 국방부 차관, 엄동환 방위사업청장 등 방위산업 관련 정부인사와 육·해·공군 참모총장, 해병대사령관, 60개의 방위산업체 대표들이 참석했다.
회의에서 국방부는 2027년까지 세계 방산 수출 점유율 5%를 돌파해 세계 4대 방산 수출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첨단전력 건설과 방산수출의 선순환 구축’ 전략과 4개 핵심 추진과제를 제시했다.
이에 따라 우선 정부 차원의 수출지원 제도를 강화한다. 방산 진입단계에 있는 벤처,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 ‘방산혁신기업 100 프로젝트’, ‘국방벤처기업 인큐베이팅 사업’을 추진한다. 벤처기업들의 원활한 자금 조달을 위해 총 1200억원 규모의 방산기술 혁신펀드도 조성하기로 했다.
또 구매국이 우리 무기체계의 품질에 만족할 수 있도록 군이 주도적으로 포스트 세일즈(Post-Sales)에 나선다. 무기구매국 군과의 합동훈련을 통한 운영 노하우 공유, 구매국 군 대상 기술교육 지원, 수출 장비의 우리 군 시범 운용 등으로 우리 무기체계에 대한 구매국의 신뢰도를 높이겠다는 것이다.
방산 수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도전적인 국방 R&D 환경 조성, 규제 완화와 우수 연구인력 인센티브 강화 등도 추진한다. 특히 2027년까지 국방 예산 대비 R&D 예산의 비중을 10% 이상으로 확대해 미래를 위한 투자에 집중할 방침이다.
........................................................................................
(주)풍산 은 이스라엘 하마스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방산수출량 극대화의 실적을 올리고있습니다
반전의 영향면에서 전쟁은 인류의 재앙처럼 느껴지는반면
생산 물량의극대화로 돈벌이를 해야 하는 현실이 개인적으로는
뭐라 설명하지 못하는 마음 뿐입니다
언제쯤 전쟁종식이라는~굿 뉴스가 나올지 기다려봅니다ㆍ
첫댓글
오히려 전쟁을 억제하고 평화를 지키기 위해서라도 강력한 국방력이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그러기에 국가의 방산산업은 국가안보에 매우 중요한 기틀임을 우리는 역사적 교훈을 통해 알고있답니다.
그간 여러 어려움 속에서도 지속적으로 방산산업을 이끌어온 우리나라의 풍산에 응원을 보냅니다.
몰랐던 부분입니다. 전쟁이라하면 위험한 나라간 대립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내면에는 방산산업의 역할이 있다는것을 생각해 볼 문제입니다. ^^
총알형님~화이팅입니다
국방력이 중요하지요.
무기를 팔아서 돈을 벌고 있다는 것만 아니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방산산업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