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십팔난에 이르기를, 침자에는 보법과 사법이 있는데, 어떻게 하는 것인가?
답하기를, 보사의 침법은 호흡에 따라 자침하는 것만이 유일한 방법이 아니다. 침법을 잘 아는 사람은 혈을 누르는 왼 손을 중시하면서 운용하고, 침법을 잘 모르는 사람은 오로지 침을 쥐는 오른 손만을 중시하는 것이다.
침자를 할 때에는 반드시 먼저 왼 손으로 찌르려고 하는 혈을 누르고 손가락으로 그 혈의 피부를 튕겨서 기부와 락맥으로 하여금 노창케 한 다음, 다시 손톱으로 혈을 눌러서 기가 손가락아래로 오게 하면 동맥이 박동하는 것과 같은 상태가 되는데, 이때에 세를 따라 침을 자입한다.
득기를 한 다음 다시 더 침을 찌르는 것을 보법이라 하고, 염전하여 침신을 동요시키면 사기가 밖으로 흩어지는데, 이를 사법이라 한다. 침을 찔렀는데도 득기가 안되면 남자는 천제하고 여자는 심삽하는 방법을 운용하므로써 자극을 강화시킨다. 끝내 득기하지 못하면 치료가 안되어 죽게 된다.
12경락은 주야 각 25회 합 50주행하는데, 수 죽으로 3양3음이 나누어 집니다.
수3양 3음 이고, 족 3양 3음으로 흐릅니다.
혈은 일정한 통로가 아닌 터진 길에는 흐릅니다.
그러나 기는 경락을 통해 살거죽 아래를 정한 시간 통로로 여지 없이 흐릅니다.
기와 혈은 항상 함께 힘을 가져야 정상이고, 함께 흐르면 건강합니다.
기 흐름은 24시간 즉 12진에 12경에 50주행합니다.
이를 계산하면 1초 1寸 가므로 30분에 1주행 하기에 12경이 한번 지나칩니다.
왜 이것을 계산해야 할까요.
침술,맛사지사, 수기사는 필수로 알아야 효과를 증대합니다.
그래서 시각에. 시작되는 경락과 손 발의 오수혈을 지나는 시각등 효과적 운용이 됩니다.
해당경락 경혈을 지나는 시간은 몇 초이고 이 시각을 놓치면 30분 후라는 것이니, 자침은 효과에 편차가 큽니다.
수많게 침 꽂을일 없으며, 오수혈 보사 도 매우 효과를 가집니다. 다음에~
七十八難曰
針有補瀉何謂也然補瀉之法非必呼吸出內針也知爲針者信其左不知爲針者信其右當刺之時先以左手厭按所針榮兪之處彈而努之爪而下之其氣之來如動脈之狀順針而刺之得氣因推而內之是謂補動而伸之是謂瀉不得氣乃與男外女內不得氣是謂十死不治也
침의 보사법 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 보사법은 반드시 호흡에 의해 침을 놓는 것이 아니다. 침을 아는 사람은 그 좌측을 믿고 침을 모르는 사람은 그 우측을 믿습니다. 침을 놓을때 먼저 왼쪽 손으로 자침할 榮兪穴을 눌러 비벼서 기를 오게 합니다. 그 기가 오는 것이 맥이 박동하는 듯한 느낌이 있으면 비로소 부드럽게 침을 놓읍니다. 기가 이르게 되면 針孔을 누르는게 補法입니다. 기의 이름에 針孔을 움직여 늦춤이 瀉法이다. 그래도 기가 이르지 않으면 營衛陰陽의 氣가 모두 허손되어 있으므로 고칠수 가 없읍니다
첫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