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라 감사 권율이 각 고을로 하여금 근왕할 군사를 징발하게 하다.
○ 경상도 예안(禮安) 사람 정자(正字) 유종개(柳宗介)가 군사를 모집하여 적을 치다가 얼마 안 되어 패하여
죽다. 이보다 먼저 경상 좌도 산골의 궁벽한 10여 고을에는 전란이 조금 멀었으므로 선비와 백성들이 아침
저녁으로 구차히 생명을 보존하고 있는 것을 다행으로 알아서 각기 처자를 보호하여 가재(家財)를 골짜기
안에 숨겨두고, 그 중에 한두 명의 강개한 선비들이 무인과 도망한 군사들을 격동시켜 권하여 적을 칠 의리로
타이르는 이가 있으면 왜적을 끌어들여 화를 입힐 것이라 하여 도리어 전쟁에 대해 말하는 이를 허물하다.
종개가 분개함을 이기지 못하여 먼저 창의(倡義)하여 향병 수백을 모집하여 큰 산 가운데에 진을 쳤다. 강원도
의 적이 평해(平海)ㆍ울진(蔚珍) 등지를 분탕한다는 말을 듣고 장차 광비촌(廣比村)을 넘어서 장서(掌書) 윤흠신
(尹欽信)과 윤흠도(尹欽道) 등과 더불어 군사를 거느리고 맞아 치려하였는데, 적의 선봉이 변복(變服)하고 가만
히 오매 척후병이 깨닫지 못하여 매복하였던 군사가 모두 흩어지다. 종개 등이 창졸에 적을 만나서 용감히
싸워 퇴각하지 않았으나, 힘이 다되고 구원병이 없어서 마침내 살해를 당하다.
적이 드디어 예안ㆍ영해(寧海)를 분탕질하고 가니, 이로부터 사람들이 모두 의병을 경계하여서 모집에 응하기
를 즐기지 아니하다. 그 뒤에 초유사의 격문이 우도로부터 간간이 좌도 각 고을에 전해져서 문무(文武)ㆍ부로
(父老)ㆍ사민(士民)에게 두루 타일러서 국가의 은혜를 잊음을 책하고 의병에 참가하기를 격동시키다.
안집사(安集使) 김륵(金玏)이 또 통문을 내어 말이 간절하였고, 또 영천(榮川)ㆍ풍기(豐基)의 선비 김대현(金大
賢)ㆍ곽수지(郭守智) 등과 향병을 소집하였으며, 이상은 7월 사이의 일이다.
전 한림 김해(金垓), 생원 금응훈(琴應勳), 진사 임흘(任屹), 생원 이정백(李廷栢)ㆍ배용길(裵龍吉) 등이 예안ㆍ
안동에서 일어나고, 전 현감 이유(李愈)와 진사 권욱(權旭)ㆍ이광옥(李光玉)이 예천(醴泉)에서 호응하다. 찰방
조현(趙玹), 생원 이함(李涵)ㆍ유학(幼學) 백현룡(白見龍) 등이 또한 영해에서 일어나고, 그 사이에 서로 호응하
는 이로 신홍도(申弘道)는 의성(義城)에서, 이인호(李仁好)는 의흥(義興)에서, 진사 이영남(李榮男)과 홍위(洪瑋)
는 군위(軍威)에서, 김희(金喜)는 비안(比安)에서, 민근효(閔根孝)ㆍ권계창(權季昌)은 청송(靑松)에서 호응하니,
물고기 비늘처럼 일어나서 군사가 만여 명이 되는데 모두 김해의 통솔을 받다. 김해는 충의롭고 강개한 자질
로 신의가 본래 남에게 미더움을 받았으므로 먼 데나 가까운 데서 유위(有爲)할 것을 기대하여 간 곳마다
사람들이 적을 치는 데 힘쓰다. 《경상순영록》에서 나옴. 또 9월 조에 나옴.
○ 경상 좌병사 박진(朴晉)이 모든 장사(壯士)와 더불어 안강(安康)에 모여서 군관 권응수(權應銖)와 판관 박의
장(朴毅長)으로서 선봉을 삼아서 16고을의 군사 만여 명을 거느리고 밤에 40여 리를 행군하였다. 아침에 경주
성(慶州城)에 육박하여 장사를 뽑아서 성 밖의 인가를 불태우니 연기와 불꽃이 하늘에 가득하여 지척을 분변
할 수 없다. 대군이 포위하여 공격하였는데 적병이 경주 남쪽 10여 리로부터 불의에 돌진하여 우리 군사의
뒤를 습격하니, 대군이 놀라 무너져서 장수와 군사들이 갑옷을 버리고 무기를 던지며 달아나다. 적이 기세를
타서 급히 추격하니 송장이 쌓이고 서천(西川)의 물이 다 붉어졌으며 경주ㆍ영천(永川)의 의사들이 모두 죽다.
대개 하루 전에 언양(彦陽)에 있는 적이 와서 깊은 골짜기에 매복하여 우리 군사를 정탐해 기다렸는데도 모든
장수들이 살피지 못하여 패군하게 된 것이니, 사람들이 모두 통분히 여기다. 《경상순영록》에서 나옴.
○ 이유의(李由義)가 군사를 거느리고 행군하여 직산(稷山)에 다다르다. 경기도 조방장(助防將) 홍계남(洪季男)
이 충청 병사 신익(申益)과 약속하기를, 죽산(竹山)의 적을 협공(恊攻)하여 횃불을 드는 것으로 신호를 삼고
밤을 틈타 진군하기로 하다. 유의 또한 약속에 참여하여 군사를 보내 응원이 되다. 호남의 군사가 몰래 죽성
(竹城) 밖 5리 되는 땅에 도착하여 경기와 호서의 군사를 기다렸는데, 두 군사가 이르기 전에 적이 이미 먼저
알고 은밀히 기병(奇兵)을 내보내어 앞뒤로 덮치니 우리 군사가 크게 무너져 달아났고 죽은 자가 길에 겹겹이
쌓이다.
○ 충청도 영동(永同)의 선비들이 향병을 모집하고 본 고을의 수령인 한명윤(韓明胤)을 추대하여 맹주(盟主)로
삼다. 그 통문은 다음과 같다.
양남(兩南) 호서(湖西) 열읍(列邑)의 명부(明府) 및 각 촌락 대소첨존시(大小僉尊侍)에게 삼가 고합니다. 왜적이
한번 범하여 왕경(王京)을 함몰시키매 임금께서 서쪽으로 파천하시고 종묘사직이 폐허가 되었으니, 북쪽을
바라보매 심장이 무너져 통곡을 견딜 수 없소. 일국의 백성으로 직분상 마땅히 죽음을 바쳐야 할 터이나, 우리
들이 형편없어 지혜는 병을 이끄는 데에 어둡고 생각은 띠풀 베는 데에 어두워 지금껏 이 적과 한 하늘 밑에
살았으므로 통곡하는 원통함은 아마 피차가 한 가지일 것이니, 다시 무슨 말을 하리오. 다만 우리 고을 선비들
이 나의 비루하고 옹졸함을 헤아리지 아니하고 의장(義將)으로 추대하므로 선비들이 적을 치는 마음에 감동되
어 옳은 일에 사양하지 아니하였으니, 감히 급무(急務)를 가지고 문득 호소하오. 대개 적을 치는 데는 군량을
준비함보다 먼저 할 것이 없고, 싸워 이기는 것은 무기의 날카로움에 달린 것이오. 군량이 부족하면 적을 칠
수가 없고 무기가 예리하지 못하면 싸워봤자 이기지 못하는 것이니, 이 두 가지에 하나도 빠져서는 안 되는
것이오.
내가 지키는 이 고을은 본래 적은 백성이 살고 호서와 영남에 끼어 있어 적의 요충이 되어서, 서울을 오르내
리는 적이 반드시 이곳을 경유하고 금계(錦溪)로 왕래하는 적 역시 여기로 길을 삼으므로, 분탕질의 참혹함이
다른 고을보다 배나 되고 농사의 황폐함이 각 고을보다 심하오. 온 동리에 종을 단 듯한 집도 없고 백묘(百畝)
에 반 포기의 작물도 없소. 무기고는 잿더미가 되었고 병기는 쓸은 듯 없어졌으며, 창고가 불에 타서 군사를
먹일 길이 없소. 관가에서 대여해 줄 희망이 끊어졌으니 군사에게 주린 빛이 있고, 사람들이 싸울 재주가 없으니 누군들 무용(武勇)을 드날리리오. 하물며 이 적변(賊變)에 여름부터 가을까지 혹은 맞이하여 공격하고 혹은
야습을 하여 많고 적음을 헤아리지 아니하고 쫓고야 말았소.
한 번 공격 한 뒤로 활이 부서지고 화살이 다되어 없는 데 따라 곧 준비하나 재물이 다하고 힘이 다되었으며
또 전일의 야습에서 남았던 활과 화살까지 아울러 다되었소. 만약 이때를 당하여 적이 충돌해 온다면 빈 주먹
으로 버틴 군사들이 누가 능히 호응하며, 배가 고파 뱃속에서 뇌성처럼 울리는 군사들이 감히 전투하기를
바라리오. 흩어져 사방으로 가게 하자니 나라 원수를 갚지 못하겠고 합쳐 모아 요지에 매복시키자면 무기와
양식이 함께 다되었으니, 온갖 방법으로 생각해도 어쩔 바를 모르겠소.
이에 부득이한 요청으로 첨존시(僉尊侍)에게 두루 고하오. 삼가 원컨대, 여러분들은 온전한 고을에 살고 있으
니 우리가 모래를 말질하는 민망함을 불쌍히 여기고 우리가 땔나무를 끄는 뜻을 생각하여, 공사(公私)의 전곡
(錢穀)을 넉넉하게 하여 배고픈 군사를 같이 구제하고 화살촉과 어교(魚膠)를 많이 내어 병기를 만들게 한다면
적을 치기 위한 성심이 직접 무력에 맞서 싸우는 자와 일반일 것이오.
옛사람이 이르기를, “남에게 급한 일이 있을 때에 내가 능히 구하지 못한다면, 내게 급한 일이 있을 때엔 남이
누군들 구해 주리오.” 하였소. 이 때문에 산에 올라서 경계(庚癸)를 부르매 신숙조(申叔糶)가 양식을 주었고, 전
진(戰陣)에 나아가 무기라 다되었음을 고하매 각완(卻完 춘추 시대 진(晉) 나라 대부)이 무기를 도와주었거늘
하물며 오늘날을 당하여 국적(國賊)을 멸하지 못했음이리오. 그대의 재물과 힘을 한 가지로 하여 피차를 헤아
리지 말고 오랑캐가 거의 다 섬멸되려는 때에 특별히 병기와 양식의 은혜를 베풀어, 거꾸로 매달린 것 같은
급함[倒懸之急]을 함께 풀어 준다면 심히 다행일 것이오. 서쪽 궁궐을 우러러 바라보매 눈물도 더 뿌릴 것이
없으니, 어쩌면 서로 만나서 이 뜻을 터놓고 고하리오. 종이를 대하니 목이 메어 우선 이만 줄입니다.
○ 경상도 영해 부사 한효순(韓孝純)이 장기 현감(長鬐縣監) 이수일(李守一)등과 더불어 적을 치기를 약속하였
는데, 적이 강원도로부터 와서 동쪽에서 진지를 합쳐 영해를 범하고자 하다. 효순이 군관 장기(張豈) 등을
시켜 군사를 매복시켜 맞아 치니 적이 이내 물러가다. 《경상순영록》에서 나옴.
○ 경상 우도의 사민들이 김성일(金誠一)이 좌도의 감사로 옮겨 제수된 것을 듣고, 어린애가 젖을 잃은 것처럼
답답하여 통문을 돌려 모여서 구공(寇公)의 길을 막으려 하다. 그 통문은 다음과 같다.
우리 영남은 왜적이 침범한 뒤로 모든 성이 와해되어 마치 무인지경에 들어오듯 장수는 썰물처럼 물러나고
수령들은 쥐처럼 숨으며, 백성과 군사는 붕궤되어 숨고 읍과 촌락이 소조(蕭條)하여 죄다 흉하고 추한 놈들의
굴혈(窟穴)이 되어 다시는 손댈 곳이 없었다. 다행히 우리 초유사 김상공(金相公)이 판탕(板蕩)한 나머지에
애통의 교서를 받들어 간담을 버티고 눈물을 뿌리며 이 적과는 한 하늘 밑에 함께 살지 않겠다고 맹세하여,
의를 선도하여 회복함을 자기의 책임으로 삼아 임지에 도착하는 날 곧 각 고을에 통문으로 타일러서 군신의
분(分)을 밝히고 복수할 의를 창도하였다.
말이 간절하매 충의가 격발되어 듣는 이는 팔을 휘두르지 않는 이가 없었고 글을 보는 이는 눈물을 떨어뜨리
지 않는 이가 없어서 같은 소리로 서로 응하고 멀든 가깝든 그림자처럼 따랐으니, 피곤하고 흩어진 천백의
군사를 거느리고 흉하고 추하며 한창 날뛰는 왜적에게 항거하여 요해지를 차단해 적의 기세를 꺾어서 국가로
하여금 거의 회복될 희망이 있게 한 것이 그 누구의 힘인가.
지금 들은즉 초유사가 좌도의 감사로 옮겨 제수되었다 하니, 이 어찌 다만 몇 고을 사민의 복 없음이리오.
아마도 또한 장수와 군사들이 마음이 이반되어 해이해지고 흩어질 형세가 있을 것이라 생각되니, 한 삼태기에
공(功)이 무너져서 또 회복의 기회를 잃을 것이다. 그렇다면 처음에 망했다가 다시 보존된 것은 초유공이 온
때문이요, 뒤에 거의 성공했다가 다시 무너질 것도 초유공이 가는 때문이다. 가나오나 마찬가지로 국사를 위한
것이지마는 늦고 급한 형편에는 피차의 구별이 있고 좌도나 우도가 다 같이 한 도이니, 적을 평정할 기회는
반드시 여기서부터 시작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들의 뜻은 여러분과 더불어 먼저 구공을 빌려 달라는 소를 올리어 선전관(宣傳官)의 가는 편에 부치고,
또 머물러 살려 달라는 청을 초유공에게 바치기를 생각하노니 상상컨대 여러분은 반드시 기약하지 않고도
마음으로 맞는 점이 있을 것이다. 깊이 원하노니 여러분께서 고을의 자제들을 거느리고 다음달 1일에 우리
고을 향교에 와서 모이면 매우 다행이겠다. 유학 강위로(姜渭老) 등.
○ 경상 좌감사 김성일이 거창으로부터 초계(草溪)에 이주(移駐)하기 위하여 장차 강을 건너려는데 선비 이대
기(李大期) 등이 길을 막고 머물기를 청하였다. 성일이 말하기를, “임금께서 이미 명하셨으니 어찌하랴.” 하고
드디어 강을 건너 좌도로 가서 우도의 여러 선비들이 적을 친 일을 크게 칭찬하여 일일이 공을 논하여 아뢰니
뭇사람의 마음에 매우 흡족하여 좌도의 인심이 쭉 따랐다. 《경상순영록》에서 나옴.
○ 피란하여 산에 들어갔던 경상 우도 사람들이 날짜가 오래되어 양식이 떨어지자 모두 호남으로 나오다.
이와 같이 남원부가 영남의 경계에 닿아 있으므로 유민(流民)과 원주민이 서로 반반이다.
○ 금산에 머물던 적의 기병(騎兵) 4백여 명이 무주(茂朱)에 이르러 그대로 머문다 하다. 경상도 합천 진사
박이문(朴而文), 안음(安陰) 진사 정유명(鄭惟明) 등이 소를 올려 김성일을 우도 감사에 유임하기를 청하여
윤허를 받고 토포사(討捕使) 한효순으로 좌도 순찰사를 삼다. 이때에 모든 지방 관원들이 모두 샛길을 다니기
때문에 큰 길에는 사람이 없었더니, 효순이 순찰사가 된 뒤에는 항상 자줏빛 도포를 입고 나팔과 피리를 울리
며 방백의 위의를 성대히 하여서 각 고을에 둔치고 있는 적들이 성에 올라서 가리키며 바라보아도 조금도
두려워하는 빛이 없었다. 이로부터 길이 비로소 통하여 사람들이 그의 행차를 보고는, 다시 우리 관원의 위의
를 보겠다고 하였다. 《경상순영록》에서 나옴.
○ 경상도와 전라도 수병(水兵)의 모든 장수들이 가덕도(嘉德島)에서 적을 치다가 녹도 만호(鹿島萬戶) 정운(鄭
運)이 죽고 우리 군사들이 퇴각하여 돌아오다.
9월. 김성일이 좌도로부터 강을 건너 서쪽으로 와서 다시 우도 감사가 되다. 《경상순영록》에서 나옴.
○ 성주(星州)에 진을 쳤던 적에게 이미 무계(茂溪)ㆍ현풍(玄風)의 응원이 없어져서 세력이 심히 외롭고 약해졌
으므로, 정인홍(鄭仁弘)이 김면(金沔)과 세력을 합쳐서 진격하기로 약속하였더니, 김준민(金浚民)은 형세가 불편
하다 하여 어렵게 여기고 의심하는 빛이 있었으나 여러 사람의 의론으로는 모두 진격함이 옳다 하여 드디어
진격하기로 결정하다. 모든 군사들이 모두 모여서 각기 부대를 정돈하고 수십 리에 둘러 포진하니 군사의
형세가 심히 장하였다.
인홍과 김면이 가평(可坪)에 대진(對陣)하니 성주성(星州城)에서 5리나 가까웠다. 모든 군사가 차례로 전진하여
성문을 포위하고 육박하며 진퇴하고 충돌하며 유인하여 도전하나, 왜적이 나오지 아니하고 다만 철환(鐵丸)으
로 방어하였다. 종일토록 진퇴하여도 성을 함락시킬 기구가 없어서 해가 저물자 본진으로 돌아오고, 이튿날에
다시 진격하기로 약속하였다.
김면이 배설(裴楔)을 시켜 부상현(扶桑峴)에 매복을 시켜 개령(開寧)에서 응원하러 오는 적을 방비하게 하다.
배설이 응낙하고는 물러나와 사람들에게 말하기를, “내가 어찌 서생에게 절제(節制)를 받아서 그를 위해 중로
에 매복한다는 말인가.” 하고 드디어 가지 않았다. 이날 밤에 성주의 적이 개령에 달려가서 급함을 알리매
개령의 적이 크게 왔는데도, 우리 군사들이 알지 못하고 이튿날에야 바야흐로 성을 지킬 기구를 준비하였다.
응원하는 적이 불시에 크게 이르러 학익진(鶴翼陣)을 치고 에워쌌으며 성중의 적 또한 성문을 열고 앞뒤에서
공격하였다. 김면이 갑자기 말에 올라 먼저 나갔으나, 우리 군사들이 기와 북을 버리고 도망해 무너지다.
인홍은 꼿꼿이 앉아 움직이지 아니하고 선비를 김면에게 보내어 진정시키기를 권하였다. 여러 장수와 군사들
이 안장을 얹은 말을 가지고 와서 인홍에게 급히 피하기를 청하매 인홍이 부득이하여 또한 나가다.
김준민이 뒤에 있어 싸우다가 퇴각하다가 하여 모든 군사를 방위하니 이로 하여 군사들이 많이들 죽음을
면하다. 고령(高靈)의 가장(假將)손승의(孫承義)는 탄환에 맞아 죽었고 사사(射士) 이죽(李竹)은 금안장에 탄
왜장을 쏘아서 칼로 베어 죽이다. 우순찰사(右巡察使) 김성일이 합천 의병군관(義兵軍官)을 잡아와서 품
(稟)하지 않고 거사한 허물을 책하여 곤장을 치다. 《경상순영록》에서 나옴.
○ 경상 우도 의병장들이 회의한 것은 다음과 같다.
우리 지방이 변란의 초기부터 적의 소굴이 되어 도륙과 약탈의 참혹함이 다른 지방보다 더욱 극심하였다.
우리 부로(父老)와 선비들은 이리저리 도망하여 다른 지방으로 피하였으므로, 간혹 선비들이 분기하여 의병을
일으키려는 자가 있어도 속수무책으로 주먹을 휘두르며 길이 탄식할 뿐이었다. 그러나 이제는 군세가 크게
떨쳐서 적의 칼날이 이미 꺾이었고 각 고을의 선비들이 각기 의병을 일으켜서 기율(紀律)이 이미 성립되었고,
전일의 피해 도망하였던 자들이 들과 산에서 팔을 걷어붙이고 분기하지 않는 이가 없다.
그런데 우리 본부(本府)에는 이 국가의 백성이 아닌 이가 없는데도 유독 아무도 의병을 일으키는 사람이 없으
니, 비록 적의 세력이 날뛰는 소치라 하더라도 임금의 원수를 어이하랴. 생각건대 여러 부형과 동지가 비록
도피한 중에 있더라도 팔을 걷어붙이고 분기하기를 생각하는 뜻은 일찍이 밥 먹고 숨쉬는 사이에도 마음에
잊지 못할 것이다. 그러나 한갓 이 마음만 있고, 나와서 거사를 도모하기를 생각지 아니하고 한결같이 숨어 엎
드렸을 뿐이라면 사림의 가운데 설 수가 없을 뿐만이 아니라 신자의 도리에 죄를 지음이 이미 크지 않겠는가.
간절히 원하건대 부로와 선비ㆍ백성들로 가까운 곳에 피란해 있는 자들은 이달 8일에 의성(義城) 지보사(只寶
寺) 앞에 모여서 상의하고 처치할 것이니, 길이 막혀 어렵다고 스스로 저상(沮喪)하지 말라. 명부(名簿) 외의
인원은 응당 간신히 도피해 있어 듣지 못할 것이니, 또한 모두 추록(追錄)하여 서로 통하고 타일러서 때맞춰
와 모이도록 할 것이다. 이 중에 응당 강서(江西)의 인사들은 필시 저 지방에 피란해 있을 것이나, 그 중에는
응당 창의(倡義)한 사람이 있을 것이므로 아직은 이쪽에 피란해 와서 있는 분에게만 고하노니, 그 가운데 혹
기록되지 않은 이는 각기 듣고 본 대로 추록하여 전하고 서로 고하라. 군부의 원수는 한 하늘 밑에 함께
살 수 없으며 문 안에 들어온 도적은 사람마다 죽일 수 있는 바이다.
만약 피란하여 곤궁한 중에 내 몸도 어찌할 겨를이 없는데 하물며 다른 일에 관계하랴 한다면, 그것은 8월의
교서를 보지 못하였는가. 무릇 신민이면 받들어 읽고 저도 모르게 눈물이 gm를 것이니, 그것을 읽고도 태연하
여 마음이 움직이지 않는다면 어찌 인도(人道)로 책할 수 있겠는가. 유사(有司)가 된 이들은 와서 호응하려는
자들을 단결시키도록 하라. 9월 4일 정자 노경임(盧景任) 등. 《경상순영록》에서 나옴.
○ 남원 읍내의 건장한 사람 70여 명이 모여서 적을 치기를 도모하여 이응수(李應水)를 함께 추대하여 장수로
삼았고, 경내(境內)의 승려들 또한 군사를 뽑아 모아서 두인(斗仁)으로 장수를 삼다. 부사 윤안성(尹安性)이 크
게 기뻐하여 곧 양식과 기계를 주어서 무주로 들여 보내었더니, 응수등이 모두 군사를 통솔할 재주가 없어서
적을 보고는 무너져 돌아오다. 그 뒤에 두 군사가 모두 적개병(敵愾兵)에 속하다.
7일. 황해도의 적이 나아가 연안(延安)을 포위하였는데, 초토사 이정암(李廷馣)과 조방장(助防將) 김대정(金大鼎)
등이 크게 부수어 쫓다. 처음에 임진강에서 패전한 뒤에 황해도 24군(郡)에 한 사람의 의사도 없고 진장(鎭將)
과 수령은 모두 목숨이나 구하기를 도모하며 일도의 각 고을이 모두 분탕질과 약탈을 당하여 온 도내가 적의
소굴이 되었는데, 오직 연안부(延安府)가 남쪽에 치우쳐 있어서 적병이 이르지 않다. 정암 등이 패한 장수와
흩어진 군사를 거두어 모아서 함께 죽음을 바쳐 지킬 계책을 하여 부내의 남녀를 모두 부대에 편입하고 근처
의 돈과 양식을 실어다가 먹을 것을 준비하였으며, 척후병과 봉화를 신중히 배치하고 요지에 매복을 시켜
밤낮으로 변을 기다렸다.
이때에 이르러 본도에 웅거하였던 적추(賊酋)들이 군사 5, 6만여 명을 합하여 기세등등하게 쏜살같이 연안으로
달려와서 성을 포위 공격하다. 정암이 먼저 땔나무를 염주관(鹽州館) 입구에 쌓아두어 불행한 경우에 스스로
타 죽어 적에게 더럽혀지지 않을 것을 맹세하고는, 적이 성 밑에 이르자 여러 장수와 부대를 나누어 성을
지켜서 밤낮으로 순찰하였다. 군사와 백성을 위로 하고 타이르며 같이 죽기로 맹세하기를, “8도가 모두 적에
점령을 다하였고 오직 이 한 성이 국가의 소유이다. 지금 또 불행히 일이 이 지경에 이르렀으니 한번 죽음으
로 국가에 보답함이 여기에 있다. 하물며 능히 지키지 못한다면 우리가 장차 어디로 가겠는가. 천백의 생명이
하루아침에 끊길 것이다.” 하니, 사졸들이 듣고 모두들 격분하여 기운을 내고 먼저 성에 오르며, 선동하여
다친 곳을 싸매고 나와 싸웠다.
그러나 적의 세력이 날로 늘어나고 구원병은 이르지 않으니, 포위를 당한 지 6일이 되매 성이 심히 외롭고
위태로워지다. 정암이 쌓아둔 땔나무 속에 들어가 누워서 종을 시켜 불을 지르게 하니, 사졸들이 듣고는 피눈
물을 머금고 다시 성에 오르며 피로한 군사들이 다시 싸워 하나가 적병 천을 당해내다. 마침 동서에서 바람이
일어나매 전현룡(田見龍)ㆍ조신옥(趙信玉) 등이 섶을 불태워 성 밑으로 던지기를 무수히 계속하니, 불길은 세고
바람은 급하매 적의 군사들이 혼란하여 죽은 자가 수를 헤일 수가 없다. 남은 무리들이 본진으로 달아나 돌아
가는데 추격하여 머리를 베인 것이 심히 많다.
○ 도체찰사(都體察使) 정철(鄭澈)이 행조(行朝)에서 출발하여 경기ㆍ충청도로 오면서 배가 황해도를 지나다가,
밤에 연안을 바라보매 포성과 불꽃이 천지를 뒤흔들다. 정철이 성중의 인명을 생각하고 눈물 흘리기를 마지아
니하다. 9일에 장연(長淵)의 금사사(金沙寺)에 이르러 바다의 바람이 순하지 못하기 때문에 열흘을 유숙하다.
또 고경명(高敬命)ㆍ조헌(趙憲)이 연달아 패하여 죽었음을 듣고 뜰에다 신위를 설치하고 절하고 술잔을 올리며
통곡하다. 밤에 절간의방에서 사율(四律) 한 수(首)를 슬피 읊어서 종사관(從仕官) 정설(鄭渫)ㆍ황붕(黃鵬)에게
보내어 화답을 구하다. 그 시에,
열흘 동안 금사사에 머무르는데 / 十日金沙寺
삼 년 동안 고국을 생각한 듯 / 三秋故國心
한밤의 호수는 서늘한 기운을 뿜고 / 夜湖噴爽氣
돌아가는 기러기는 슬프게 울고 가네 / 歸雁有哀音
적이 있으니 자주 칼을 보고 / 虜在頻看鏡
친구가 죽었으매 거문고를 끊으려 하네 / 人亡欲斷琴
평생에 외우던 출사표를 / 平生出師表
난을 당해 다시 길이 읊노라 / 臨難更長吟
하다. 또 남정가(南征歌)를 지어서 충의로써 타이르다.
○ 경상도 의병장 제용감 정(濟用監正) 정인홍, 합천 군수 김면에게 교서를 내리니, 다음과 같다.
왕은 이렇게 말한다. 임금과 신하는 천지의 떳떳한 법이요, 충의는 인도(人道)의 대절(大節)이니 본래 있는
바이라 억지로 힘쓰기를 기다리지 않는 것이다. 하물며 너희 영남은 신라가 일어난 땅이므로 부로는 충효를
실천하고 자제들은 시서(詩書)를 익혔으니, 비록 탕패(蕩敗)한 나머지라도 어찌 분기하는 무리가 적으리오.
중악(中岳)에서 달에 맹세하였으매 김유신(金庾信)의 칼이 칼집에서 뛰어 나왔고, 한산(漢山)에서 적을 꺾었으
매 실여(實予 신라 때 사람)의 몸에 화살이 비 오듯 하였다.
전일에 적이 처음 이르렀을 때에 창의하는 이가 한 사람도 없음을 괴이하게 여겼더니, 그것은 장신(將臣)들이
소리만 듣고도 놀라 도망한 탓이었고 사민들은 뜻밖에 당하매 불러 모으기가 쉽지 않았던 까닭이었다. 이제는
각 고을에 밥 짓는 연기가 끊어졌고, 한 지방이 물결처럼 일렁거린다. 백성은 어육이 되어 다시 살아나기를
도모하지 못하고 창고는 잿더미가 되어 손을 댈 곳이 없다. 내가 서쪽으로 파천한 뒤로 이미 남도에 대하여는
절망하였더니, 어찌 뜻하였으랴. 인홍과 김면이 앞장서서 군사를 모아 결심하고 적을 쳐서 몇 달 사이에 벌써
수천의 군사를 얻었으니, 의기를 하늘이 내려다보아 열사들이 메아리처럼 응한 것이다.
마른 밥을 싸가지고 군량으로 삼으니 백성에게서 긁어모았던 관가의 창고는 텅 비었을 뿐이요, 대를 깎아
활을 만드니 무고(武庫)에 쌓았던 갑옷과 병장기는 어디에 있는고. 정암 나루에서 군사를 떨치니 도망하는
적은 넋이 빠졌고, 무계에서 칼을 휘두르니 흐르는 송장이 강에 찼구나. 관군은 어찌 그리도 잘 붕괴되며,
의사는 어찌 그리도 모두 이기는고. 이는 관군이 겁내는 것은 군법인데 군법이 엄히 시행되지 못하였고, 의병
이 결합된 것은 의(義)인데 의는 퇴각을 생각지 않음이다.
처음부터 성 쌓고 참호 파는 힘을 덜어서 백성의 힘을 후히 기르고 감사나 병사ㆍ수사의 봉작을 옮겨서 선비
들의 마음을 굳게 맺어야 함을 알았더라면, 적의 혼백이 벌써 동래(東萊)의 들판에서 흩어졌을 것이며 독한
칼날이 어찌 평양성에 이르렀으랴. 오직 내가 밝지 못했던 탓이니, 뉘우친들 무슨 소용이랴. 근일에 본도 영리
(營吏) 강만택(姜萬澤)이 돌아가는 편에 한 장의 종이로 죄기(罪己)의 교서를 내려 천 리에 심정을 토로하였는
데, 다만 바다와 산을 건너갈 것이니 군주(郡州)에 잘 도착되었는지가 의문이다.
이에 최원(崔遠)의 군중(軍中)을 통하여 거듭 나의 뜻을 타이르고 인하여 적정(賊情)을 탐지하노니 너희들은
나의 뜻을 살피도록 하라. 나의 소회야 다함이 있으랴. 깊은 가을 서리와 이슬에 종묘사직의 신주(神主)가
표박(漂泊)함이 민망하고 국경의 강변에 장전(帳殿 임시로 임금의 장막을 치고 거처하는 곳)의 쓸쓸함을 부치
누나. 고향을 그리워함은 귀천이 다르지 않으며, 돌아가고픈 생각은 아침 저녁으로 날마다 간절하도다. 다행히
천조(天朝)에서 불쌍히 여겨 용맹한 장수들이 명을 받들고 병부시랑(兵部侍郞) 1원(員)을 보내어 광녕진(廣寧鎭)
ㆍ요동진(遼東鎭) 등지의 협수(協守)ㆍ총병(總兵) 등 관(官)을 통솔하고 70만의 군마를 내었으며, 아울러 양식과
군수품을 운반하여 수륙으로 함께 나와서 지금에 이르러 왕경(王京)의 적을 소탕하였다.
이달 11일에 유격 장군(遊擊將軍) 장기공(張奇功)이 선봉을 거느리고 강을 건넜고 강절(江浙) 지방의 유격 장군
심유경(沈惟敬)이 연포수(連炮手) 1천 5백 명을 거느리고 황제께서 내려주신 은(銀)을 가지고 15일에 강을
건넜다. 천병(天兵)이 곧 이르게 되매 산악에 광채가 움직인다. 하늘은 개고길이 말랐으니 바로 오랑캐를 잡을
시기요, 말은 살찌고 활은 굳세니 실로 적을 죽일 기회로다. 철마(鐵馬)가 대정강(大定江)ㆍ청천강(靑川江)에
뻗쳤으며 군함은 등래(登萊)ㆍ강절에 연이었다. 미친 도적이 죄악을 쌓을 대로 쌓았으니 하늘의 주벌이 마땅히
내릴 것이다.
하물며 우리 의병 열사의 무리들이 경기ㆍ황해ㆍ충청도에서 아울러 일어나서 도처에서 적의 수급을 베고 날마
다 승전을 보고하는 것은 실로 천지가 가만히 도와서 그러함이니, 이는 바로 종묘사직이 중흥할 기회로다.
너희 다사(多士)들은 다시 충성을 가다듬으라. 들은즉, 김성일은 거창에 주둔하고 한효순은 영해를 보존하였다
하므로 그들에게 좌우도 순찰사ㆍ관찰사 관직을 내리고 대소(大小) 의병장에게 아울러 차등을 두어 관직을
제수하니, 너희들은 나아가서 절제를 받고 또한 함께 계책을 정하여 적이 돌아가는 길을 맞아 그의 뒤를 습격
할 것이요, 적이 둔친 곳을 엿보아 그의 병영을 야습하라. 미리 여기서 이래라 저래라 통제하기는 어려우니
기회를 보아 하는 것은 너에게 맡기노라. 손인갑(孫仁甲)이 강물에 빠져 죽었음을 애통히 여겨서 판서의 중직
을 내리며, 이형(李亨)이 전사한 것을 민망히 여겨서 아들 한 사람을 벼슬시킨다. 벼슬과 상줌은 관계없이
역사에 기록함을 어찌 아끼랴.
다만 먼저 영남을 평온히 하고서야 비로소 빨리 나의 행차를 영접하라. 나의 말을 다하려 하니 눈물이 먼저
흐른다. 내가 어찌 잊으리오. 너희들은 마땅히 힘쓸지어다. 아, 예악(禮樂)의 고장에서 오랑캐의 기운을 쓸어버
린다면 산이 숫돌처럼 닳고 물이 띠처럼 마를 때까지 영원히 봉작(封爵)의 영화를 누릴 것이다. 이에 교시하니
의당 잘 알 것이다. 이 교서를 받고야 어찌 힘을 다하여 적을 칠 마음이 없으리오.
○ 경상 감사가 복수할 일로 관문(關文)을 내리니, 다음과 같다.
흉한 적이 뜻대로 날뛴 후로 각처의 약탈한 인물을 일본으로 보내어 날마다 연달았소. 지금에는 경성에 있던
적이 전보다 배나 흘러 내려오면서 남자와 부녀를 묶어서 내려오는 것이 그 수를 알 수 없어 길에서 곡성이
밤낮으로 끊이지 아니하는데 읍이나 마을을 지날 적에는 반드시 소리치기를, “나는 아무 도(道) 아무 관(官)
아무의 부모ㆍ처첩ㆍ자녀다, 나는 경성 아무 동네 문무관(文武官) 아무의 부모ㆍ처첩ㆍ자녀이다, 우리 고향을
버리고 우리 부모를 떠나서 적에게 몰리어 멀리 타국으로 가니 황천은 우리를 불쌍히 여겨 우리를 살아 돌아
오도록 해주소서. 장사들은 우리를 불쌍히 여겨 힘을 다하여 적을 점멸해 주소서.” 하오. 약탈의 참혹함은
비록 말하지 아니해도 알았지마는 지금 이 말을 들으니 간장이 찢어지려 하오. 본도의 관병ㆍ의병 모든 군사
는 비록 붕괴된 뒤라도 통분하지 아니함이 없어 앞을 다투어 맞아 공격하여 기어이 한 놈도 돌려보내려 하지
아니하오. 각 도의 여러 장수들은 군민(軍民)을 격동시켜 협력하여 원수를 갚으시오. 이 일로 충청도ㆍ전라도
에 관문으로 통지하오.
○ 무주(茂朱)의 적이 소굴을 불 지르고 철병하여 모두 금산(錦山)으로 돌아가매, 본도 관병ㆍ의병 여러 장사들
이 무주로 달려가 점령하다. 적이 올 때에는 소리만 듣고 도망했다가 적이 퇴각하고 나면 앞장을 서서 들어가
처치하니 그런 장수와 군사를 어디다 쓰랴.
16일. 금산의 적이 나와서 옥천(沃川)으로 향하였다가 중도에 모여서 밤낮으로 다시 금산으로 들어가더니,
이튿날 밤중에 철수하여 옥천으로 향하고 인하여 성주(星州)ㆍ개령(開寧)으로 내려가다.
○ 안성(安城)의 적이 경기 의병장 홍언수(洪彦秀)를 죽이다. 언수가 그의 아들 계남(季男)과 처음부터 군사를
일으켜 여러 번 큰 공을 세워서 적을 벤 것이 매우 많다. 이로 인하여 계남은 당상관에 승진되어 경기 조방장
에 제수되다. 이때에 이르러 계남은 다른 군사와 합세하기를 의론하려고 마침 다른 진(陣)에 나간 사이에 적이
갑자기 들이닥치자, 언수가 나와 싸우다가 패하여 죽으니 적이 언수의 송장을 가지고 가다. 계남이 일의 급함
을 듣고 본진으로 달려 돌아온즉 이미 군사의 패하고 아버지가 죽었으므로, 곧 혼자 말을 타고 적진으로 달려
가서 문에서 크게 외치기를, “너희들이 나의 아버지를 죽였으니 나도 또한 너희들에게 죽겠노라.” 하니, 적이
언수의 송장을 던져서 돌려주고는 기병(奇兵)을 내어 사면으로 둘러쌌다. 계남이 왼손으로 아버지의 송장을
안고 오른손으로 칼을 휘두르며 싸우니, 적이 감히 접근하지 못하였다. 아버지의 송장을 진중에 두고 추격하여
몇 놈을 베니 적이 더욱 겁내어서, 마을을 분탕질하다가도 사람들이 계남의 이름만 부르면 적이 반드시 도망
하다.
○ 진주 목사 김시민(金時敏)이 진해(鎭海)에 있는 적장 소평태(小平太)를 꾀어 잡아서 판윤 김수(金睟)에게
부쳐서 행조(行朝)에 보내다. 혹은 평소태(平小太)라고도 한다.
○ 천조에서 유격 장군 심유경을 보내어 평양에 들어가서 행장(行長) 등과 약속하기를, 평양성 밖 40리에
표(標)를 세워서 다시는 그 밖으로 나오지 못하게 하였다 하다. 고사(考事)에서 나옴.
○ 이때에 사람들이 웅성거리며 말을 퍼뜨리기를, “평양성 적장에 심안도(沈安度)란 자가 있는데 유경과 동성
(同姓)이므로 그 때문에 유경이 적진에 출입한다.” 하다. 나는 그것을 거짓말이라고 의심한다. 적장 도진병고두
의홍(島津兵庫頭義弘)이 이때에 의지(義智)와 함께 평양에 있었다. 도진은 성이요, 병고두는 관직이요, 의홍은
이름이다. 뒤에 정유재란에 행장과 의홍이 하동(河東)으로부터 바로 남원으로 갈 적에 유경이 요동에 있으면서
관하(管下) 우파총(牛把摠)을 보내 말렸으나 되지 않았었는데, 그때에도 역시 행장 심안도 등의 군사라고 말하
였다. 뒤에 그들이 퇴각하여 둔치고 있을 때에 의홍이 사천에 진을 치고 있었는데, 우리나라 사람들이 모두
사천의 적장 심안도가 심유경과 동성이라고 하였으니, 이것으로 본다면 성이 심이라는 말도 반드시 헛것이다.
왜적이 그의 장수를 부를 때에는 반드시 관직을 부르고 이름을 부르지 아니하므로 순천의 적이 중납언(中納
言)인 행장을 부를 때에 주락갑(注樂甲)이라 한다. 왜음(倭音)이 우리의 한자음과 다른 까닭에 중(中)을 주(注)라
하고 납(納)을 낙(樂)으로 언(言)을 갑(甲)이라 한 것인데, 우리나라 사람들이 전해 듣고 주락갑을 행장의 이름
이라 여겼다. 이러므로 의심컨대 심안도라는 말은, 뒤에 왜적에게 잡혔다가 돌아온 자에게 물은즉 왜음 도(島)
는 심만(沈萬)이라 하고 진(津)을 도(度)라 한다 하니, 유경과 동성이란 것은 분명히 틀린 것이다. 임진년에
순천을 침범한 적장이 36명이요, 정유년에 침범한 적장이 27명인데 심안도라는 이름은 없으니 이것은 왜음이
전해져 잘못된 까닭이다.
○ 함안 군수(咸安郡守) 유숭인(柳崇仁)을 통정대부로 승진하여 본도 우병사로 제수하고 양사준(梁士俊)을 파직
하다.
○ 경상도 안동 선비들이 의병을 일으키다. 이때에 생원 김윤명(金允明), 진사 배용길(裵龍吉) 등이 초유사의
격문을 보고 부로들에게 고하여 이달 9일에 금법사(金法寺)에 모이기로 약속하고 앞의 사람들이 먼저 가서
기다렸더니 전 현감 권춘란(權春蘭), 전 봉사 안제(安霽), 전 검열 김용(金涌), 진사 신경립(辛敬立) 등이 모두
와서 모이다. 의(義) 자는 스스로 뻐기는 혐의가 있다 하여 향병이라고 칭하다. 기약을 정하여 13일에 또 임하
현(臨河縣)에 모였는데 전 예천 현감(醴泉縣監) 이유(李愈) 또한 참여하여 임하의 모임에는 사람 수를 백으로
헤아렸다.
김윤명을 대장으로 추대하고 배용길로 부장(副將)을 삼아서 17일에는 향교에 모여서 일을 시작하는데, 윤명은
몸이 쇠하고 처사가 둔하다는 이유로 사양하고 생원 이정백(李廷栢)이 대신하다. 전 검열 김해(金垓)가 예안(醴
安)으로부터 와서 합세하기로 모의하고, 이튿날에 일직현(一直縣)에서 동맹하여 예안ㆍ안동ㆍ의성(義城)ㆍ의흥
(義興)ㆍ군위(軍威)ㆍ비안(比安)을 합하여 하나의 진을 만들어 다시 김해로서 대장을 삼고 정백ㆍ용길은 부장이
되며 안동 향교를 진소(陣所)로 삼다. 신경립은 문서를 맡다. 소속된 각 고을의 남정(男丁)은 모두 관군에 들어
갔으므로 군사가 1만 명이 차지 못하자, 이에 선비와 품관(品官)을 모두 징발하여 건장한 자는 군대에 속하고
늙고 약한 이는 종[奴]을 대신하여 쌀을 바치게 하니 일부(一府)에서 얻은 것이 마침내 5백여 원(員)과 쌀ㆍ콩
1천여 석이 되다.
약속하기를, “적의 머리를 베는 것으로 상공(上功)을 삼는다면 먼저 베려고 다투다가 적에게 기회를 줄 것이다.
우리들의 이 일은 다만 적을 죽이려는 것이니, 잘 쏘아 꼭 죽이는 것으로써 상공을 삼고 머리 베고 왼쪽 귀를
베는 것은 차공(次功)으로 하자.” 하다.
그 뒤에 김면이 합도 대장(闔道大將 전라도 의병대장)이 되고 경립이 의병 명부를 가지고 강을 건너서 충청도
황간(黃澗)으로 둘러서 거창에 도달하다. 김면이 명부를 열람해 보매 모두 유생으로 편성되어 있으니, “이야말
로 참의병이로다.” 하다. 이듬해 계사년에 김해는 천병을 따라 경주에 있다가 계림(鷄林)에서 병으로 죽다.
일이 위에 알려지매 홍문관 수찬으로 증직되었고, 생원 금응훈(琴應壎)이 대신하다. 《경상순영록》에서 나옴.
○ 심유경이 평양의 적진에서 나와 순안(順安)에 와서 본국이 일본과 국교를 통하여 변란이 일어난 사실을
역관(譯官) 진효남(陳孝男)에게 물으니, 유경이 적장들의 말을 믿고 들었으므로 이 물음이 있었으니, 슬프도다.
효남이 대답하기를, “일본의 대마도(對馬島)는 땅이 가까우므로 저들이 개시(開市)를 위하여 때로 혹 왕래하나,
우리나라에서는 백여 년 동안 일본에 일체 사신을 통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전일에 일본이 근년 이래로
배를 만들고 군사를 훈련하여 천조에 범하려 한다는 풍문을 듣고 사람을 보내서 교린(交隣)한다 칭하고 일본
에 가서 사정(事情)을 탐지한 일이 있으니, 전일에 아뢴 글 가운데 또한 진술하였습니다. 그 후로 영원히 서로
배척하고 끊어서 길이 통하지 않았고 이로 인하여 원한을 맺었습니다.” 하다.
유격(遊擊) 유경(惟敬) 이 데리고 갔던 무리가 다 나오고 다섯 사람만을 성중에 머물게 하면서 다음달 5, 6일
사이에 유격이 두 번째 입성할 것이라 하다. 유격이 곧 송 시랑(宋侍郞 응창(應昌))에게 글을 보내어 병마(兵
馬)를 재촉하여 7, 8일에는 마땅히 도착하게 하고 요동의 양향(糧餉)을 운반하여 평양에 주둔하여 뒷날의 계책
을 하게 하였다.
또 효남에게 이르기를, “내가 왜장과 말을 많이 하였는데 행장이 국왕을 보고자 하였다. 내가 도리에 불가하다
는 뜻으로 거절하였더니 행장이 말하기를, ‘노야(老爺)의 말이 이치가 있다.’ 하였다. 내가 말하기를, ‘대장부가
식언(食言)하지 아니할 터이라. 50일 안에 가정(家丁)을 보내고 나 역시 뒤이어 와서 서로 약속을 저버리지
않을 것이니, 평양성을 우리에게 돌릴 일은 어찌할 터인가?’ 한즉, 행장이 지도를 내어 보이며, ‘조선 팔도에
평안도 또한 그 하나를 차지하고 있는데 어찌해서 평양의 서쪽만이 천조의 지방이 되는가?’ 하기에, 내가 말하
기를, ‘본시 천조의 지방이므로 조사(詔使)가 올 적에 국왕이 이 땅에서 영접한다.’ 하였다.
행장이, ‘비록 천조의 지방이 아니더라도 이미 의정(議定)된 것이니 평양 서쪽은 곧 노야(老爺)에게 돌리고
마땅히 대동강으로 경계를 삼아서 서쪽은 대명(大明) 지방이 되고 동쪽에는 일본 지방으로 할 것이나 다만
이 성을 어느 군사로 지키겠는가?’ 하였다. 나는, ‘우리가 스스로 지키겠다.’ 하니, 행장이, ‘노야의 견해가 옳다.
조선 군사로 지켜서는 안 된다. 나는 노야의 돌아오기를 기다려서 경성으로 돌아가겠다.’ 하였다.
내가, 말하기를, ‘왜장이 함경도에 있는 자가 두 왕자(王子)를 포로로 하고 있다 하니, 지금 통지해 타일러서
돌려보내고 포로된 사람들 또한 모두 풀어주게 하며, 각처의 왜인들은 모두 돌아가라.’ 하였더니, 행장이 말하기를, ‘관백이 나를 평안도로 보냈으니 평양성은 내가 주장하지마는, 다른 도는 내가 관장하지 못한다.’ 하고
또 말하기를, ‘지금 노야와 함께 관백에게 가는 것이 어떠한가?’ 하기에, 내가 말하기를, ‘조정이 나를 시켜
다만 이 성에 갔다 오라 하고, 대동강을 건너는 데는 조정의 명령이 없으니 어찌 감히 넘을 수 있겠는가.’
한즉 행장이 생각을 한참 하더니, ‘노야의 말이 이치가 있다. 노야는 두 사람을 시켜 봉서(封書) 한 통을 써서
관백에게 보내고, 나는 열 사람을 시켜 구봉(求封 명(明)에서 관백을 봉해 주기를 구함) 문서를 가지고 노야와
함께 북영으로 가면 어떻겠는가?’ 하므로, 내가 허락하였다.” 하다.
효남이 말하기를, “왜적이 언제 평양성에서 물러갑니까?” 하니, 유격이 말하기를, “천병이 크게 오면 적이 물러
갈 것이다.” 하다. 이때에 임해군(臨海君)ㆍ순화군(順和君) 두 왕자가 수상(首相) 김귀영(金貴榮), 판서 황정욱(黃
廷彧), 승지 황혁(黃赫), 남병사(南兵使) 이영(李榮) 및 여러 조신(朝臣) 허명(許銘) 등과 그의 내권(內眷)들까지
함께 몰래 회령(會寧) 땅에 모여 있었는데, 본도의 생원 진대유(陳大猷)가 본부의 관노(官奴) 국경인(鞠景仁)과
공모하고 청정(淸正)에게 밀통하여 불시에 야습하여 모두 포로로 잡아 경성으로 들여 보냈다. 그러므로 유경이
왜장과 말하다가 끝에 왕자를 돌려 달라는 일을 언급하였던 것이다. 이영은 그 뒤에 살아와서 복주되었고,
김귀영 이하 여러 신하는 모두 귀양갔다. 황혁은 순화군의 장인이요, 허영은 임해군의 장인이다.
○ 경상 우도 감사가 정랑(正郞) 박성(朴惺)으로 모곡차사원(募穀差使員)을 삼다. 이노(李魯)가 글을 지어 열읍
(列邑)에 통문하였는데 그 글에, “백 척의 나무 이미 빠졌다가 한 치의 뿌리에 생기가 돌아오고, 아홉 길의
산이 장차 이루어지려다가 한 삼태기가 모자라 큰 공이 이지러진다. 진실로 국가에 이로움이 있다면 의당
내 몸에 아까움이 없어야 하리라.” 하였다. 이러한 구절들은《경상순영록》에서 나옴.
○ 군사와 백성에게 효유(曉諭)한 글은 다음과 같다.
왕세자는 이렇게 말한다. 하늘이 앙화를 내리매 섬 오랑캐가 침범하였으니, 각 고을이 붕괴되매 강회(江淮)가
보장(保障)의 험함을 잃었고 옛 서울이 함몰되매 도성 사람이 서리(黍離)의 시를 슬피 읊는다. 구묘(九廟)가
티끌을 무릅쓰고 임금의 행차가 멀리 파천하였으며, 2백 년의 예악 문물이 하루아침에 없어졌으니 예로부터
드문 병화(兵火)의 참혹함이다. 슬프다! 우리 군사와 백성들이 혹은 칼날에 걸려 피를 풀밭에 쓰러지고 혹은
부모가 잡혀가서 의탁할 바를 잃었으며, 혹은 처자가 더럽혀지고 욕을 보아 집을 보존하지 못하니 이 원수를
생각하매 어찌 한 하늘을 이고 살랴! 눈으로 보고 마음으로 뉘우치매 회복함은 기약이 없었는데 상국(上國)이
구원병을 보내어 신병(神兵)이 대동강에 모였고 영남ㆍ호남에서 의병을 일으켜서 맹렬한 장사가 한강 언덕에
구름 뭉치듯 하였으니, 칼날이 이르는 바에 적의 넋이 이미 빠져나갔다.
전승의 보고가 끊이지 않고 전장에서 적의 귀를 베어 바침이 연달았으며, 더구나 적의 괴수 평수길(平秀吉)이
스스로 죽을 자리를 찾아와서 바다 위에서 주자 남은 군사들은 기운을 잃어 항복하며 혹은 거리에서 울부짖고
혹은 영동(嶺東)으로 달아나니, 너희 장사들의 힘으로 이 망해가는 적을 멸하기는 바로 벌겋게 달구어진 화롯
불에 털 하나를 태우는 격이요 도끼를 갈아 버섯을 치는 격이라 할 것이다.
내가 왕명을 받고 동쪽으로 와서 국사(國事)를 권서(權署)하매 원수를 갚고자 괴롭고 어려움을 참고 견디며
창을 베고 자며 날새기를 기다리니, 이 적과는 함께 살지 아니하기를 맹세한다. 너희 군사와 백성이 누구인들
우리 열성조(列聖朝)께서 길러낸 사람이 아니겠는가. 위로는 국가의 수치를 생각하고 아래로 사삿집의 욕됨을 생각하여 분기하고 적을 섬멸할 것이 정히 이때로다. 벼슬과 상은 나에게 있으니 나는 너희에게 아끼지 않을
것이다. 아, 죽을 마음만이 있고 살려는 생각을 말아서 적개(敵愾)의 공을 함께 아뢰고 성상을 받들어 옛 도읍
에 돌아와서 어서 내소(來蘇)의 희망을 위로하라.
○ 경상 좌병사 박진(朴晉)이 안강(安康)에 주둔하고 흩어진 군사를 수합하여 박의장(朴毅長)으로 하여금 군사
를 거느리고 낮에는 성 밑에 달려 돌격하여 군사의 위엄을 보이고 밤에는 산머리에다 횃불을 벌이고 포를
쏘아 놀라게 하니, 이로 말미암아 경주의 적이 숨어 나오지 못하다가 얼마 안 되어 성을 비우고 밤에 도망하
다. 의장이 성에 들어가서 창고의 곡식 4백여 석을 수합하고 길도 통할 수 있게 되니, 부윤 윤인함(尹仁涵)이
기계(杞溪)에 있으면서 의장으로 하여금 군사를 거느리고 성을 지키게 하다. 《경상순영록》에서 나옴.
○ 황제가 사신 설번(薛藩)을 보내어 행조에 와서 주상을 위로하기 위하여 조서를 가지고 오다. 조서는 다음과
같다.
조선 국왕에게 칙유(勅諭)하노라. 그대 나라가 대대로 동번(東藩)을 지키고 평소 공순함을 바쳐서 의관(衣冠)과
문물이 낙토(樂土)라 칭해졌는데, 근간에 왜놈들이 창궐하여 크게 함부로 침략해서 왕성을 함락시키고 평양을
약탈하여 점령하매 생민이 도탄에 빠져 멀고 가까운 곳이 없이 소란해지고 국왕이 서쪽으로 바닷가에 피하여
거친 들에 거처하니, 그대가 난리를 겪은 상황을 생각하매 짐의 마음이 측은하다. 어제 급하다는 소식을 전하
기에 이미 변방 장수에게 영을 내려 군사를 내어 구원하게 하고 이제 또 행인(行人 외교관) 설번을 시켜 국왕
에게 이르니, 마땅히 그대 조종(祖宗)이 대대로 전해온 기업을 생각할 것이요 어찌 차마 하루아침에 가벼이 버
리랴. 급히 수치를 씻고 흉악한 놈들을 제거하여 수복을 힘껏 도모하라. 다시 마땅히 계속하여 선유(宣遊)하니,
해국(該國) 문무 신민은 각각 임금에게 보답하는 마음을 굳게 하고 원수를 갚는 의리를 크게 분발하라.
짐이 이제 문무 대신(文武大臣) 2원(員)에게 명하여 요양(遼陽)의 정예한 군사 10만을 통솔하고 적을 치는 것을
도우러 가서 해국의 병마와 앞뒤로 협공(挾攻)하여 흉악한 적을 섬멸하여 남은 종자가 없기를 기하도록 하였
다. 짐이 밝으신 천명(天命)을 받아서 중화(中華)와 이적(夷狄)에게 군주가 되어 있는데 방금 만국이 모두 편안
하고 시해가 안정되었거늘 어리석은 이 조그맣고 하찮은 놈들이 감히 횡행하므로 다시 동남의 연해(沿海)
여러 진(鎭)에 신칙하고 아울러 유구(琉球)ㆍ섬라(暹羅) 등 나라에 선유하여 군사 10만 명을 모아 동쪽으로
일본을 쳐서 악인의 거괴(巨魁)의 목을 베어 바다 물결이 고요해지도록 하니, 벼슬과 상주는 후한 은전을 짐이
어찌 아끼랴.
대저 선대의 강토를 회복함이 이것이 대효(大孝)요, 군부(君父)의 환란에 급히 달려감이 이것이 지극한 충성이
다. 해국의 군신은 본래 예의(禮義)를 아니 반드시 능히 짐의 마음을 잘 알아서 옛 강토를 빛나게 회복하여
국왕으로 하여금 개가(凱歌)를 울리며 환도하여 종묘사직을 지키게 하고, 길이 번병(藩屛)을 지켜짐이 먼 지방
을 구휼하고 소국을 어루만져 기르는 뜻을 위로할 것이다. 공경할지어다. 그러므로 공경히 이를 선유하고 행인
설번을 시켜 받들고 조선에 달려가서 국왕 및 문무 신민에게 선유하노니 힘써 수복을 도모하기를 시행하라.
○ 8도 신민에게 선유하는 교서는 다음과 같다.
우러러 생각하건대, 황천이 우리나라가 왜적에게 침략받은 것을 심히 불쌍하게 여겨 특별히 행인(行人) 설번을
보내어 성지(聖旨)를 선유하고 인하여 크게 군사를 보내어 적을 쳐서 우리의 생령(生靈)을 건지고, 우리의 강토
를 회복시켜 주려고 기필하시었다. 그래서 힘이 1천 근의 중령을 들어 낙천근이라고 불리는 참장(參將) 낙상지
(駱尙志)를 시켜서 남방의 정예한 화포수(火炮手)로 혼자서도 1백 명을 당해내는 자 5천 명을 거느려 선봉으로
삼고, 광녕총병관(廣寧總兵官) 양소(楊韶)는 요병(遼兵) 및 가정(家丁)ㆍ달자(㺚子)ㆍ철기(鐵騎) 3만 명을 거느리
고 다음이 되며, 병부 상서(兵部尙書) 송응창(宋應昌)은 소진(蘇鎭)ㆍ산동(山東)ㆍ산서(山西)ㆍ선부(宣府) 등의
대군을 통솔하여 뒤이어 와서 육로로는 평양으로 달려가서 바로 공격하여 소탕하고 수로로는 두 패로 나누어,
수륙 모든 군사가 모두 경성에서 모여 멀리 몰아 남쪽으로 내려가기를 약속하였으니 전장(戰將)이 3백 명이요,
군사가 무릇 70만 명이다. 천병의 위엄으로 이 조그마한 오랑캐를 치는 것은 비유컨대 태산을 들어 새알을
누르는 것과 같을 것이다.
아! 너희 대소 서민들은 조종의 옛 백성으로 이제 함몰되어 섬 오랑캐를 위하여 복역(服役)하고 혹은 그 부모
와 처자를 잃었으니 어찌 마음이 아프지 아니하랴. 어찌 원수 갚을 뜻이 없으랴. 마땅히 각각 힘을 다하고 분
발하여 왜적을 메어 공을 바치면 난이 평정되는 날에 공신(功臣)을 녹(錄)하여 은택이 후손에게 미칠 것이다.
그렇지 못하면 천병이 멀리 몰아 짓밟을 즈음에 반드시 옥석구분(玉石俱焚)의 근심을 면치 못할 것이니 비록
뉘우친들 무슨 소용이 있으랴. 각기 힘써서 공을 바치라. 왜장 한 놈을 베는 자는 신분을 따지지 않고 가선대
부에 승진시킬 것이요, 왜적의 머리 한 개를 베는 자는 공신이 되고 적중에 들어 있던 자도 왜적을 베어가지
고 나오면 죄를 면할 뿐 아니라 아울러 그 공을 녹할 것이다. 모두 알라.
○ 황제의 칙서(勅書)를 반포하는 교서는 다음과 같다.
왕은 이렇게 말한다. 내가 임금답지 못하여 이렇게 천고에 없던 적변을 당하여 삼경(三京)을 지키지 못하고
여기 저기 파천하며 종묘사직이 폐허가 되고 생령이 어육이 되었으니 천지와 조종에게 죄를 얻음이 지극하도
다. 오직 우리 성천자(聖天子)께서 생각하고 구휼하기를 자성(子姓)의 나라와 같이 보아 전후로 군사를 크게
발하여 만 리에 달려와 구원하고 은(銀) 2만여 냥을 주어 군수(軍需)를 하게 하니, 지금껏 지탱하여 한구석을
보존할 수 있는 것은 추호도 모두 황제의 은혜로다. 이제 또 특별히 사신을 보내어 과인에게 대효를 힘쓰라
하고 신민들에게 지극한 충성을 힘쓰게 하여, 한 통의 윤음이 정녕하고 간절하여 귀에다 대고 타이름과 같을
뿐만이 아니니 다 읽기도 전에 울음소리와 눈물이 함께 나오는구나. 스스로 생각하건대 박덕한 몸이 어찌하여
이것을 천조에 얻었는고. 불행 중의 다행히 이보다 더 클 수가 없노라. 무릇 혈기 있는 자로서 이 칙유를 보는
이는 누군들 감동되고 격동되어 정성을 다하여 적을 치기로 생각하지 아니하랴.
이에 별지에 등서하여 각 도에 게시하노라. 아! 3백 60여 고을에 어찌 충의 호걸의 선비가 적으랴마는 당초에
변란이 갑작스레 일어난데다 태평을 누린 지도 이미 오래되었으므로 진실로 방위하는 힘을 바치기 어려웠던
것이다. 그러나 이제는 사람들이 더욱 원한을 쌓았고 선비들은 분발하기를 생각하며, 적도 또한 지극히 흉악함
을 저지르던 나머지 조금 쇠하여 하늘이 우리에게 앙화를 내린 데 대해 뉘우침을 성하게 볼 수 있으니, 적을
꺾어 소탕함이 정히 이 기회에 있도다. 무릇 너희 대소 인민은 비록 과인을 생각지는 아니하더라도, 홀로 우리
선왕의 남기신 덕택을 생각하지 않겠는가. 비록 우리 조종이 남긴 덕택을 생각하지는 아니하더라도, 홀로 성천
자의 은혜로운 뜻을 생각하여 너희 부모 형제와 처자의 원수를 갚지 않겠는가. 힘쓸지어다. 힘쓸지어다.
○ 천사(天使) 설번이 행재(行在)에 하루 동안 머물다가 돌아가면서 먼저 천조에 보고하니, 다음과 같다.
행인사(行人司) 행인직 설번이 왜적의 정상이 교활하여 걱정할 만하므로 군사를 발하여 마땅히 급히 구해야
함과 방어의 한두 가지 사의(事宜)를 아울러 진술하여 성명(聖明)께서 참고하심에 대비합니다. 전에 우리 병부
(兵部)에서, 오랑캐 놈이 반란하여 서로 싸우고 왜놈의 정상이 헤아리기 어려우므로 성명께 간절히 빌어서
빨리 문무 대신을 보내어 토벌하기를 경략(經略)하여 급한 환란을 풀어줄 일로 성지를 받들었습니다.
조선이 왜놈의 침략을 당하여 국왕이 심히 급하게 청병하므로 이미 다관(多官)의 회의를 거쳐 득실을 결정하
고 예부(禮部)를 시켜 번직(藩職)을 파견하여 칙서를 받들고 가서 조선 국왕에게 선유하게 하였습니다. 공경히
받들고 곧 조선에 달려가서 칙서를 열어 선유하니 해국 임금과 신하가 감동되어 울지 않는 이가 없어 모두
말하기를, “황제의 은혜가 소국을 구원함이 참으로 천지의 은혜와 같다.” 하고, 우리 군사가 오는 것을 바라는
것이 큰 가뭄에 구름 바라듯 합니다. 그 임금과 신하가 슬피 호소하는 간절한 말과, 곤궁하고 고생하는 정상을
눈으로 본 것을 근거하건대 진실로 존망이 순간에 처해 있습니다. 그러나 돌아보건대 사세의 민망함은 조선에
있지 않고 우리나라의 국경에 있으며, 직(職)이 깊이 염려하는 바는 국경에 있지 않고 내지(內地)의 진동(震動)
함에 있습니다. 군사를 발하여 토벌함을 어찌 잠시인들 늦출 수 있겠습니까. 직은 청컨대 반드시 닥쳐올 사세
와 마땅히 군사를 일으켜 방어할 지방의 사의를 헤아려서 황상을 위하여 진술하겠습니다.
대저 요진(遼鎭)은 경사(京師 북경)의 팔이며 조선은 요진의 울타리요, 영평(永平)은 기보(畿輔)의 중지(重地)이
며 천진(天津)은 또 경사의 문정(門庭)입니다. 2백 년 동안 복건(福建)ㆍ절강(浙江)은 항상 왜환을 만나도 요양
ㆍ천진에서는 왜구가 있음을 듣지 못한 것은 조선이 병풍이 되어 가려 준 까닭입니다. 압록강에 비록 세 길이
있으나 서쪽에 가까운 두 길은 물이 얕고 강이 좁아서 말이 뛰어 건널 수 있고, 나머지 한 길은 동서의 거리
가 화살 두 개의 거리에 불과하니 능히 그것을 믿고 방어하여 지키겠습니까.
만약 왜놈이 조선을 차지한다면 요양의 백성이 하룻밤도 베개를 편안히 하여 눕지 못할 것입니다. 순풍이 한
번 빠를 때에 돛대를 날리고 서쪽으로 온다면 영평ㆍ천진이 첫째로 화를 당할 것이며 경사가 진동하여 놀라지
않겠습니까. 직은 사사롭고 지나친 걱정을 견딜 수 없어서 발길 가는 곳마다 곧 상세히 묻고 널리 알아보았으
며 또 사람을 시켜 바로 평양 지방에 가서 정탐하였습니다. 그 회보에 의거하건대, 모두 이르기를, 왜적들이
각기 남의 집 부녀를 겁탈하여 살림을 차리고 창고를 수선하여 군량과 마초를 많이 저장하여 오래 머물 계획
을 하고, 병기를 더 제조하고 민가의 활과 화살을 수색해 모아서 싸우는 데 쓰려고 한다 하니 이것은 그 뜻이
작은 데에 있지 아니합니다.
신이 도착하는 날에 그들이 서쪽으로 와서 압록강에 열병(閱兵)을 하겠다고 소리치는 것을 들었는데 조선의
신민들이 쩔쩔매어 어찌할 바를 모르더니, 다행히 유격 심유경이 분연히 몸을 돌보지 아니하고 단기(單騎)로
가서 말을 통하여 50일을 약속하여 그들의 침범할 기간을 늦추면서 우리 군사가 도착하기를 기다리고 있습니
다. 그러나 우리가 이 꾀로 저들을 속일 적에 역시 저쪽에서도 이 꾀를 가지고 우리를 속이는 것이 아님을
어찌 알겠습니까. 저것들이 간사하고 교활하여 한창 평양을 함락할 때에는 “조선에 길을 빌려 중국에 원수를
갚겠다.” 하더니, 지금은 ‘길을 빌려 조공(朝貢)하겠다.’ 합니다. 전일에는 중국과 대등하지 못함을 천고의 유한
(遺恨)으로 삼다가 문득 또 심유경을 만나 조공을 통할 수 있는 것을 다행으로 여긴다고 말합니다.
그들이 순식간에 거만스럽고 욕하는 말을 하였다가 잠깐 사이에 공순한 말을 하니, 이로써 그들이 간사하여
신빙하기 어려움을 가히 알 수 있습니다. 또 10년 만에 한 번 공물을 바치기로 일정한 기간이 있었고, 공물을
바칠 적에 전에는 영파부(寧波府)를 거쳤고 또 귀주(貴州) 지방도 있는데 이제 와서는 조선을 끼고서 우리에게
맹약을 강요하니, 신은 생각건대 여러 겹의 번역을 거쳐서 조공하는 자는 아마도 이와 같지 않을 것 같습니다.
그러니 그대로 두고 문책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신이 그 꾀를 헤아리건대, 이렇게 거짓으로 강화를 청하는
척하여 우리의 군사를 늦추려는 데에 지나지 않는 것입니다. 혹은 강이 얼기를 기다려서 요양을 범하거나
혹은 봄을 기다려서 천진을 범할는지도 또한 알 수 없는 바입니다. 만일 이때에 빨리 큰 군사로써 임하지
아니하면 저들은 “침범하는 곳마다 우리를 감히 누가 어쩌랴.” 할 것이니, 순순하게 돛대를 돌리리라는 것을
신은 믿지 못하겠습니다.
지금 조선이 거의 망하여 위태로움이 조만간에 임박해 있으나 칙서가 한 번 선포되어 그들의 충의의 마음을
고동시키고 그들의 적개(敵愾)한 기운을 진작시키매, 그 나라 사람들이 회복하기를 생각하여 왜적과는 함께
살지 않겠다고 맹세하지 않는 이가 없습니다. 이 인심을 이용하고 정예한 군사를 주어 그들과 함께 왜적을
협공하면 왜놈을 반드시 기일을 정하여 섬멸할 수 있겠으나, 시일만 끌다가 저것들이 가난하고 궁한 백성을
불러 모으고 유리(流離)하는 자를 안정시키며 또 조선 사람들이 전쟁을 싫어하고 새 임금 있는 것을 좋아한다
면 비록 1백만 군사가 있은들 되겠습니까. 혹자는, “우리가 군사를 일으켜 가서 토벌하면 그들이 쳐들어오는
것을 재촉하는 격이다.” 하는 이도 있으나, 직은 “토벌하면 올 것이요 토벌하지 않아도 역시 올 것인데, 토벌하
면 평양의 동쪽에서 견제되므로 그들이 오는 것이 더디어 화가 작을 것이요 토벌하지 않으면 평양 밖에 함부
로 날뛰므로 그들이 오는 것이 빨라 화가 클 것이니, 속히 토벌하면 우리가 조선의 힘을 빌려서 왜적을 사로
잡을 것이요 더디게 토벌하면 왜적이 조선인을 거느리고서 우리를 대적할 것이다.” 하고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신은 군사를 내어 토벌하는 것을 잠시라도 늦출 수 없다고 여기는 것 비록 대병(大兵)이 일시에
일제히 모이지는 못한다 하더라도 또한 마땅히 연달아 군사를 내어 조선에 성세(聲勢)의 도움이 되게 하면
조금이라고 오랑캐의 넋을 빼앗을 수 있을 것입니다. 다만 군사를 일으키는 비용으로는 군량이 막대한데 직이
조선에게 저축한 바를 물어본즉 7, 8천 명을 한 달 먹일 양식은 겨우 되고 부족한 것은 우리가 대주기를 의뢰
한다 하고, 그 나라 임금과 신하들도 역시 인마(人馬)를 많이 내어서 압록강 부근에 있기를 원합니다. 평양을
수복한 뒤에는 그 나라 임금과 신하들이 또한 우리 군사들이 그 부모와 형제들을 위해 원수 갚은 것을 다행으
로 여겨 양식을 즐겨 바칠 것이니, 절로 지방에 따라 양식을 댈 수 있을 것입니다. 하물며 왜적이 쌓아둔 것도
있음이리까.
관전보(寬奠堡) 같은 데는 지방이 5백여 리인데 원액 관군(原額官軍)은 수효가 이미 극히 적은데다가, 지금
각영(各營)에서 조발해간 선봉(選鋒)ㆍ초마(哨馬) 및 연만(年滿), 도망친 자, 죽은 군사를 제하고 나면 관전보에
실제로 있는 영군(營軍)은 다만 3백 30여 명뿐입니다. 이미 왜를 막으려 하고 또 오랑캐를 막자니 보(堡)를
지키는 데 군사가 없을 수 없고 적을 질러 막는 데 사람이 없을 수 없으니, 왜가 만일 오게 되어 막는다면
직은 관전보 등지의 군사를 속히 더 설비하지 않을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북방 사람은 오랑캐를 막는 데 잘하고 남방 사람은 왜를 막는 데에 잘하니, 만일 왜와 싸운다면 남방 군사
2만 명을 쓰지 않고는 어찌 그 칼날을 꺾어 그 날랜 기운을 좌절시키겠습니까. 그런즉 남방 군사를 속히 조발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우리의 장기(長技)는 말 달리고 활 쏘는 데 있고 왜의 장기는 조총(鳥銃)에 있으니,
우리 화살을 쏘는 곳에는 투구와 갑옷으로 피할 수 있지마는 조총을 쏘는 곳에는 군사와 말이 당하기 어렵습
니다. 하물며 등패(藤牌)가 있으면 이미 몸을 가릴 수 있고 또 말도 가릴 수 있으니 등갑(藤甲)과 조총을 속히
준비해야 합니다. 신이 말한 바는 아마도 모든 신하들이 이미 말하였을 것이니 어찌 신이 누누이 진술함을
기다리겠습니까.
다만 생각하건대, 하루가 빠르면 조선이 하루에 망하는 화를 면할 것이요, 하루가 더디면 우리 영토에 하루의
근심을 끼치는 것이니, 간절히 바라건대 성명께서 밝으신 결단을 내리시고 해부(該部 병부)에 명령하시어 담당
한 모든 신하에게 의론하게 하시고 병마(兵馬)를 재촉하여 전진하게 하면 국토에 다행이요 종묘사직에 다행이
겠습니다. 직은 기인(杞人)의 걱정을 견디지 못하나 날씨와 바람은 차고 중도에서 병이 나서 빨리 달려가지 못
하고, 의인(義人) 설지(薛志)를 시켜 글을 가져가서 병부에 아뢰나이다.
ⓒ 한국고전번역원 | 성낙훈 (역) | 197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