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댓글 치외법권은 거의 모든 조약에서 인정했던거니깐요... 그 위에 문제는 제 생각인데...중농학파든 중상학파든 모두 통제경제를 주장했습니다..자원의 효율적 배분은 우선 자유경쟁에서 달성되는거니깐요...그래서 1번이 틀린것 같은데요..
홍대용같은 경우 토지를 차등있게 배분하자는 균전제를 주장하기도 하였죠.기술의 혁신을 근본으로 보면서도요.
첫댓글 치외법권은 거의 모든 조약에서 인정했던거니깐요... 그 위에 문제는 제 생각인데...중농학파든 중상학파든 모두 통제경제를 주장했습니다..자원의 효율적 배분은 우선 자유경쟁에서 달성되는거니깐요...그래서 1번이 틀린것 같은데요..
홍대용같은 경우 토지를 차등있게 배분하자는 균전제를 주장하기도 하였죠.기술의 혁신을 근본으로 보면서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