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북유모(북경유학생,한인모임) 원문보기 글쓴이: 북유모팀 푸른연못
브랜드 |
원산국 |
내용 |
락앤락 |
한국 |
2004년 중국 진출. 같은 해 11월 상하이 번화가인 화이하이중루에 1호점 개설 |
타파웨어 |
미국 |
1995년 12월 중국 법인 설립. 독자 진출. 1996년부터 중국 내 판매 개시. 총 투자액 1000만 위안. 광저우에 중국 본부 설립. 베이징, 상하이, 청두, 우한, 창춘, 시안에 분공사 설립 |
써모스 |
독일 |
1995년 중국 진출 |
메이러후이 |
중국(홍콩) |
홍콩메이러후이(국제) 유한공사는 가정용 일용품 연구·개발, 생산, 유통에 종사하는 대기업. 2005년 저쟝성 타이저우에 공장 설립 |
타이거 |
일본 |
일본의 소가전 생활용품 생산기업. 1932년 일본 설립. 상하이 민항구에 생산 공장 소재 |
러이뚜어 (樂億多) |
중국(홍콩) |
2004년부터 밀폐용기 출시. 러이뚜어 밀폐용기, 고급 밀폐용기, 진공 밀폐용기 등 시리즈 제품 생산 |
룽스다 |
중국 |
저쟝 룽스다 플라스틱 유한공사는 플라스틱 재질 가정용품, 고무, 철제용품 생산기업으로 중국 시장에서 유명 |
전싱 |
중국 |
광저우 전싱실업유한공사는 1983년 설립. 연구·개발부터 생산까지 일체화된 플라스틱 재질 가정용품 생산 기업 |
샹인(象印) |
일본 |
1981년 일본 설립. 유리 보온병을 처음으로 출시한 회사. 진공보온전기 가열 보온병, 스테인리스 보온병 등 개발 |
자료원: 코트라 상하이 무역관 자체 정리
○ 2009년 락앤락의 중국 시장 매출은 3억3000만 위안에 달했으며, 2010년에는 이보다 30% 늘어난 4억3000만 위안을 기록함.
- 2010년 락앤락의 중국 시장 매출이 락앤락 글로벌 전체 매출의 약 30%를 차지함.
- 락앤락은 중국의 유명 홈쇼핑을 통해 인지도와 판매를 늘려갔으며 중국의 30여 개 홈쇼핑 채널에서 판매됨.
- 락앤락 제품은 중국 홈쇼핑 채널의 베스트셀러 중 하나임.
□ 한국 일용품에 관심 있는 중국 기업
※ 하오샹꼬우(好亨購, 중국의 유명 TV 홈쇼핑): 락앤락과 글라스락을 ‘고객이 가장 관심을 보이는 제품’으로 꼽음. 한국 제품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홈쇼핑 채널
※ 쟈요우꼬우우(家有購物)와 콰이러꼬우우(快樂購物) 등 TV 홈쇼핑 채널에서도 한국 제품 판매가 양호한 편 |
○ 락앤락 등 한국 밀폐용기가 중국에서 큰 인기를 끌면서 중국 내 한국의 기타 밀폐용기 브랜드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으며 중국의 대리상들이 한국 기업과의 협력을 희망함.
※ 항저우취차이 상무 유한공사(杭州趣彩商貿有限公司) - 2007년부터 밀폐용기 판매. 연 매출액 3000만 위안. 전자상거래 및 기업 단체구매 위주. 한국의 기타 밀폐용기 제품에 대한 관심 큼. - 담당자: 정커(郑科) 경리(부장에 해당) - 전화: +86-571-85802713 |
□ 진출 방안
○ TV 홈쇼핑과 기업 단체 구매에서 밀폐용기제품이 잘 팔림.
- 중국의 TV 홈쇼핑이 빠르게 발전하며, 한국 제품에 대해 좋은 인상을 갖고 있어 경쟁력 있는 한국 일용품이 TV 홈쇼핑과 기업 단체구매 시장에 진입하기 유리함.
- 최근에는 2, 3선 시장 소비자의 소비력이 크게 확대되고 있으므로 외국 브랜드 일용품 기업들도 대도시를 위주로 한 영업망에서 벗어나 소비력이 급증하는 2, 3선 시장으로 눈을 돌림릴 필요가 있음.
- 일부 브랜드는 대형 할인매장이나 TV 홈쇼핑뿐만 아니라 약국을 판매 채널로 활용해 일정 부분 효과를 거두고 있으므로 우리 기업도 이 점을 감안해 판매 채널을 다변화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中國行業硏究網, 中國靑年報, 環球企業家, 網易 등
- 코트라 / 김명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