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의 향기ㅡ배초향과 나비
(양산 법기에서ㅡ모모수계)
배추흰나비
남방부전나비
줄펌팔랑나비
호랑나비
표범나비
남방제비나비
나비와 나방
나비는 나비목 그중에서 자나방사촌상과, 팔랑나비상과,
호랑나비상과 이 3상과에 속하는 곤충들을 일컫는다.
전 세계에 총 일곱 개 과와 2천여 속에 약 1만 8천~2만 종,
대한민국에는 2상과 5과 280종 이상이 보고되었다.
일반적으로 학자들은 자나방사촌상과, 팔랑나비상과,
호랑나비상과에 속하는 곤충들을 나비라 부른다.
나비의 더듬이는 그냥 작대기 모양에, 끝이 굵은 구조이지만
나방은 옛날 TV 안테나처럼 촘촘한 빗 모양이거나 끝이 가는 작대기 모양이다.
나비는 고치를 만들지 않고 표피가 단단한 번데기로 용화하지만,
나방은 고치를 만들고 그 안에 부드러운 번데기로 용화한다.
나비는 주행성인데 나방은 주로 야행성이다.
나비는 땅에 앉을 때 날개를 서로 오므려 위로 세우지만
나방은 'ㅅ'자 모양으로 날개를 접은 채 앉는다.
나비는 복부가 가늘지만 나방은 대체로 복부가 통통하다.
나비는 빠는 입, 나방은 씹는 입이다.
나비는 날개가 화려하지만 나방은 보호색을 띄거나 은백색이다.
다만 이는 예외가 아주 많으며, 특히 주행성 나방은 밝은 색이 많으며
특히 독이 있는 나방은 아주 화려한 종이 많다.
나방은 대부분 웃자리낱눈이지만 나비는 대부분 연립상 눈이다.
배초향(방아)
꿀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한국과 중국, 일본, 대만에 분포한다.
방아풀, 방애풀 또는 깨나물이라고도 하며 특히 배초향의 잎을 건조시킨 것은
곽향이라는 이름으로 오랫동안 약초로 사용해왔다
풀 전체에서 강한 향기가 나는 방향성 식물로 한국 토종 허브로 알려져 있다.
여름에서 초가을에 자주색 꽃을 피우고 가을에 씨앗이 익는다.
경상도 지역에서는 추어탕이나 생선매운탕 등의 비린내를 없애는 향신채로 많이 이용한다.
이 향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음식 속의 배초향을 화장품 냄새로 느끼면서 꺼리기도 한다.
한방에서는 구토와 설사 증상에 약재로 사용한다.
꽃말 : 향수
첫댓글
가을의 향기ㅡ배초향과 나비
(양산 법기에서ㅡ모모수계)
맞아요
이젠 가을입니다
모모수계 님
쭉쭉내려오면서
향이 좋은 배초도 중요하지만 ㅎ
나비들을 살펴봤어요
역시 호랑나비는 참 멋져요
제위에
하얀나비는 우리 공원에도 가끔 너울거리면서
춤을 춥디다
그런데
호랑나비는 절대 안보여요 ㅎㅎ
가을의 향기ㅡ배초향과 나비
참으로 환상적인 작품입니다
모모수계님 한결같이
이른 아침에 좋은 작품의
사진 나눔에 감사 드립니다
오늘 아침은 선선하군요
이제 가을로 접어 드는 듯
환절기 건강 잘 챙기시고
알차고 멋진 하루 되세요
꽃과나비 환상입니다
베초향에 나비들이 많이 날아왔네요
역시 순간 포착을 잘 하셨구요
감사하면서 위 아래로 즐감합니다
시원해진 날씨로 오늘도 행복한 하루가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