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도교사상(道敎思想)
도교(道敎)란 무엇인가
신선사상을 기반으로 자연 발생하여, 거기에 노장사상·유교·불교 그리고 통속적인 여러 신앙 요소들을 받아 들여 형성된 종교를 말한다. 기원전 3세기 무렵 중국에서는 신선설이 생겨났다. 이 신선설은 중국 고대에 있었던 산악신앙(山嶽信仰)과 깊은 관계가 있다.
여기에 중국 종교의 원초적 형태인 무술(巫術)·자연숭배 등이 혼합되어, 사람의 힘이 미치지 못하는 모든 문제를 해결한다는 방술(方術)이 생겨났다. 이 방술은 전국시대에 이미 성립되어 민간에도 널리 알려져 있었다.
방술을 행사하는 사람을 방사(方士)라고 하는데, 방사가 제왕과 밀접하게 된 것은 진시황(秦始皇) 때부터였고, 한무제(漢武渧) 때에는 제왕 측근에서 거의 떠나지 않을 정도였으므로 방술은 상층사회에 굳게 뿌리 내리게 되었다.
한편, 신선설이나 방술은 호소할 곳 없는 일반 백성들의 마음까지 사로잡기에 이르러 종교적인 힘을 발휘하는 방향으로 변천하였다.
전한 말부터 전설의 임금인 황제(黃帝)와 《도덕경(道德經)》의 저자로 전해지는 노자(老子)가 초인적인 존재로 여겨지고 신선으로 꼽혀 황로신앙(黃老信仰)이 대두하였다. 방사들의 조작적인 선전과 참위설(讖緯說)의 유행이 활로신앙(活路信仰)을 가열시켰다.
도교(道敎)와 도가사상(道家思想)
도교가 종교의 형태로 형성되기 이전에 이미 노자의 《도덕경(道德經), 이러한 황로신앙을 가미시킨 신선방술의 내용이 조정, 확대되고 신흥종교였던 불교의 영향을 받아 도교로 개괄되는 한 종교로 형태를 갖추어 나가게 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신선사상은 중국의 그것과는 성격을 달리한다. 우주의 절대적 존재를 무(無)라고 하는 무위자연설(無爲自然說)을 주장하는 사상을 말하며, 노자(老子)와 장자(莊子)를 대표로 한다.이는 제자백가의 하나로 유가(儒家)와 더불어 중국 철학의 두 주류를 이룬다.》과 《장자(莊子)》·《열자(列子)》 등에 드러나 있는 도가사상은 존재하고 있었다. 동서고금(東西古今)에 도교와 도가사상을 혼동하는 예가 많다.
도교와 도가사상은 밀접한 관계가 있지만, 도교는 어디까지나 종교이므로 근본적으로는 도가사상과 뚜렷하게 구별되어야 한다.
도교는 본래 피안(彼岸)의 관념이 의외로 희박하고, 오히려 현세의 길복(吉卜)을 추구하는 것이 특징이기 때문에 종교로서의 이론을 보강할 필요가 생겼던 것이고, 그러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방편으로 도가의 사상이나 그 논리를 받아들이게 되었으므로 도교와 도가사상은 그 관계가 밀접해졌다.
도교는 마치 큰 바다가 작고 큰 물줄기들을 두루 받아들이는 것같이, 온갖 종교·사상·풍속 등을 자체에 편리하게 흡수, 조절하는 특이한 성질을 지니고 변천해 왔다.
도가사상은 도교가 흡수, 조절한 주요한 사상의 하나이지, 본래부터 도교가 곧 도가사상(道家思想)이었던 것은 결코 아니다. 도가사상은 도교가 그 사상과 논리를 흡수한 이후에도 사상·문학·예술 등 각 방면에 작용하면서 독자적으로 전개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도가사상은 도교라는 종교와는 엄연히 구별되어서 역대 지식인들에 의하여 연구, 수용되어 한국사상(韓國思想) 형성에 일익을 담당하였다.
도교의 정착과 특색
도교는 4세기 이후 비로소 불교의 체제와 조직을 모방하고 불법(佛法)의 전개방식 등을 받아 들여, 교리의 체계화와 종교체제의 정비를 꾀하였다. 도교는 본래 자연발생적인 종교였기 때문에 엄밀하게 따질 경우, 교조(敎祖)라든가 개산조(開山祖)라든가 하는 것을 밝혀낼 수는 없다. 노자를 교조로 내세우기도 하나 그것 역시 종교의 체제를 갖추게 하려는 의식이 생겨난 뒤의 일이다.
도교라는 종교의 성립과정과 그것이 목적하는 바를 요약해 보면, 도교는 고대의 민간신앙을 기반으로 하여 신선설(神仙說)을 중심에 두고, 거기에다 도가·역리·음양·오행·참위·의술·점성 등의 법술과 무술적인 신앙을 보태고, 그것을 불교의 체제와 조직을 본받아 뭉뚱그린 종교로, 불로장생(不老長生)을 주요 목적으로 삼고 현세의 길복을 추구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도교는 유교와 불교는 물론 다른 신앙까지 큰 마찰없이 받아 들여서 포괄할 수 있었다.
그 결과 도교라는 명목으로 포괄되는 신앙이나 행사의 내용이 매우 복잡해졌다. 도교는 신선설과 연결되어 불로장생을 이룩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게 됨에 따라 건강관리를 중시하여, 심리적으로는 사과신적 신앙(司過神的信仰)과 주술적인 방법이 도입되었고, 물리적으로는 호흡조절[調息], 곡식 먹지 않기[辟穀], 관절의 조절[導引], 남녀 방사의 조화[房中] 등의 방법이 채택되었다.
여기서 질병치료에서 불로장생까지 연결되는 도교의학의 성립을 보게 되는데, 그 극치가 금단(金丹)이다. 그러나 금단은 현실적으로는 생명을 잃게 하는 독극물일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그러한 위험을 극복하기 위하여 금단의 연조(煉造)를 연금술 같은 물리화학적인 방술에서 끌어내면서 수련적인 단학(丹學)으로 전개하여, 도법을 닦는 의의와 결합시키는 데로 기울어졌다. 이렇게 하여 도교의 금단도(金丹道)는 연금술적인 외단(外丹)과 수련적인 내단(內丹)으로 크게 나누어졌고, 결국은 내·외단의 통섭(通涉)이라는 방향으로 이론체계(理論體系)를 정립시켰다.
비승(飛升) 은화(隱化) 및 시해(尸解)
선단을 먹거나 수련을 통해 공행(功行)을 쌓아 득도하거나 하여 신선이 되는 계제도 여러 가지로 다루어졌다. 가장 화려하고 찬란한 것은 비승(飛升)이다. 비승은 신선이 되어 날아서 천상 선계로 올라가는 것으로 그 실례가 몇 가지 전해진다.
환 진인(桓眞人)의 경우 도교의 대인물인 도홍경(陶弘景, 456∼536)의 등외(等外) 제자로 있으면서 진실한 마음으로 공행을 쌓아 그의 스승인 도홍경을 제쳐 놓고 선계 천존(天尊)의 부름을 받아 동자(童子)가 이끄는 선가(仙駕)와 의장(儀仗)의 영접을 받고 동자가 주는 선단을 마시고 선가(仙駕)에 올라타고 선계로 날아올라 갔다.
당나라 말기의 신라 유당 학생인 김가기(金可記)는 내단 수련에 성공하고 공행이 차서 미리 정해진 날짜에 당나라의 장안 종남산(終南山)에서 선계의 의장에 옹위되어 선단의 복용이라는 절차를 거치는 일 없이 백주에 만인이 지켜보는 가운데 천상선계(天上仙界)로 곧장 날아올라 갔다. 이러한 비승(飛升)의 예는 이 밖에도 몇 가지 전해진다.
은화는 비승같이 유별나게 선화(仙化)하는 것이 아니고 세상에 드러나지 않는 길로 신선이 되는 것이다. 다만 비승의 경우같이 죽음의 형식을 전연 취하지 않고 곧장 신선이 되어 선계로 날아 올라가는 사례는 그리 흔하지 않으며 그렇다고 그 밖에는 신선이 되는 일이 없다고 해버리기에는 아쉬움이 없지 않으므로 죽는 형식만 취하고 실제로는 죽지 않고 신선이 되는 길을 터놓았다.
시해(尸解)가 그것이다. 시해에는 금목수화토(木金水火土) 오행(五行)에 걸친 각기 다른 방법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례로 검시해(劍尸解)는, 평소 지니고 다니던 검을 임종하는 자리에 세워 놓고 임종을 하면 사람은 신선이 되어 선계로 올라가고 지켜보는 가족에게는 그 검이 시신으로 보여 그것을 매장한다는 순서이다. 이것은 말하자면 오행의 금 시해(金尸解)에 속한다고 하겠다.
나라에서 지내는 도교제사
도교의 신들에게 올리는 제사를 재초(齋醮)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 중기까지 국가 차원에서 재초를 거행하며 왕실과 나라의 안녕과 재난의 소멸 등을 기원하였으나, 성리학을 통치 이념으로 내세운 조선시대에 와서 이런 재초가 크게 축소되었다. 그나마 16세기에는 조선의 왕이 하늘에 제사지내는 것이 명분에 맞지 않는다는 조광조 등의 주장에 따라 그 동안 재초의 명맥만 잇고 있던 소격서마저 폐지와 복구의 진통을 겪다가 16세기발에 완전히 폐지되기에 이른다.
신선의 세계, 동천복지(洞天福地)
도교에서 신선들이 사는 곳을 불로불사(不老不死)의 낙원이었다. 곤륜산에는 도교 최고의 여성 신선 서왕모가 사는데, 그의 과수원에서 3천 년마다 한 번 열리는 복숭아를 먹으면 불로장생한다는 이야기가 있다. 또 발해(渤海) 동쪽에는 방장산, 영주산, 봉래산 등 삼신산(三神山)이 있는데, 이곳에는 불사약이 있고 신선들이 하늘을 날아다닌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1세기경의 낙랑 무덤과 5세기 무렵 고구려 무덤 벽화에 서왕모가 보이며, 조선후기에는 서왕모가 베풀었다는 연회를 묘사한 회화들이 많이 그려졌다. 그런가하면 백제나 통일신라의 왕실 원지(園池)에 삼신산을 조성하거나, 백제의 왕실 향로와 같은 신산(神山)을 표현한 예들이 있다.
신선세계를 꿈꾸다
고려시대 이래로 지식인들 사이에서는 현실 속에 신선세계를 구현하여 탈속적인 분위기르 조성하려는 기풍이 확산되었다. 정원에 가산(假山)을 만들어 이를 감상하는 일, 자연 속에서 바둑을 두는, 산수화를 그리고 감상하는 일, 산수(山水)나 신선에 대한 시를 짓거나 읽는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조선시대에는 신천처럼 하늘을 날며 도술을 부리는 여웅의 이야기들이 소설로 만들어져 큰 인기를 누렸다. 『홍길동전(洪吉童傳)』을 비롯한 영웅소설의 주인공들은 옥황상제나 용왕, 신선, 도사 등의 도움속에 신이한 도술을 발휘하여 위기를 극복한다. 이러한 소설들은 억눌린 현실에서 대리만족을 얻으려는 많은 사람들의 욕망을 반영한 것들이었다.
신선이 되는 법
도교에서 신선이 되기 위한 방법을 사사약과 같은 인체 외부의 물질에 의존하는 외단(外丹)과, 수련으로 인체 내에 생명의 기운을 축적하는 내단(內丹)d로 크게 나뉜다. 외단은 주사(朱砂)와 납으로 만든 금단(金丹)을 복용한 사람들이 잇따라 중독사하면서 송대(宋代) 이후에는 쇠퇴해 갔다. 우리나라 내단 수련의 전통은 9세기 당나라에 유학한 최승우, 승 자혜 등에서 비롯된다고 하는데, 이것이 꽃을 피운 것은 조선시대였다. 조선시대에는 전무적인 내단 수련가가 아니더라도 퇴계 이황처럼 건강을 위한 내단 수련을 활용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도교 의학의 입방은 이러한 내단 수련의 원리와 그 맥을 같이 하였으니, 『동의보감(東醫寶鑑)』은 그 대표적인 성과였다. 도교에서는 아무리 불사약을 먹거나 수련을 하더라도, 윤리도덕을 지키지 않으면 신선이 될 수 없고 수명도 그만큼 짧아진다고 생각하였다. 조선 후기에 이러한 가르침을 담은 도교 권선서들이 많이 유포되었다.
함께 하는 도교-도교와 유교, 불교, 그리고 동학
국가적으로 도교를 높이던 고려시대에는 도교적 지식을 갖추고 신선처럼 생활하는 것이 큰 미덕으로 여겨졌다. 도교의 지위가 낮아진 조선시대에도 유ㆍ 불ㆍ도 삼교(三校)의 어우러짐을 형상화한 문학이나 회화 작품이 만들어졌고, 저명하 유학자들은 『도덕경(道德經)』이나 『莊子』를 학문적으로 탐구하기도 하였다. 한편 고려시대에는 사망한 승려의 매지권에 서왕모ㆍ동왕공ㆍ황천(皇天)ㆍ후토(后土)와 같은 도교의 신들이 등장하고, 고려 조선의 불화에서는 도교의 신들이ㅣ 불법(佛法)의 수호신으로 묘사되기도 하였다. 19세기 말에 창시된 동학(東學)은 선약(仙藥), 주문, 장생과 같은 도교적 용어나 개념을 통해 백성들에게 보다 친근하게 파고들었다.
복을 바라다
늙지도 죽지도 않는 도교의 신이나 신선들은 복을 비는 대상으로 인기가 있었다. 특히 가장 인기가 있는 이른바 팔선(八仙)이나 서왕모(西王母)의 연회를 그린 그린 그림 등이 조선 후기에 인기가 많았다. 수명을 관장하는 수노인, 장수를 상징하는 동방삭, 학문의 신인 문창제군, 재물의 시닌 관성제군 등도 신선 그림의 소재로 애용되었다. 서왕모의 반도(蟠桃)에서 유래한 복숭아, 신선초라 불리는 영지, 그리고 사슴ㆍ학ㆍ거북을 비롯한 십장생 등은 장수와 복록(福祿)의 상징으로 각종 길상화(吉祥畵)나 일상용품을 비롯한 공예품의 문양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한편 잡귀를 물리치는 신인 종규(鐘馗)는 세화(歲畵)로 그려졌고, 삼시충이 경신일(庚申日)마다 상제에게 사람의 잘못을 고하여 수명이 깎이게 하는 것을 막기 위해 경인일에는 잠을 자지 않고 밤을 새우는 풍습도 도교에서 유래한 것이다.
민간신앙과 도교
북두칠성에서 유래한 칠성신, 성곽이나 마을을 수호하는 성황신, 불을 수호하는 조왕신들은 우리의 토착 신앙과 무리 없이 어우러지면서 그 일부가 되어 갔다. 도교문화가 들어오기 전부터 우리 조상들은 밤하늘의 별자를 관찰하고 숭배하며, 마을이나 성곽, 가정을 지키는 신령이 있다고 믿었던 것이다. 도교의 점복과 부적 문화 역시 복을 구하고 액을 피하려는 우리 고유의 민간신앙과 무리 없이 합쳐지면서 그 일부가 되어 갔다. 한편 임진왜란 이후로 중국 고대의 무장 관우(關羽)를 국가 수호신이자 재물신으로 숭배하는 신앙이 확산되면서 점차 무속화하였다. 특히 19세기 후반 고종 대에는 관우신앙 관련 서적을 많이 간행하는 등 관우숭배를 국가 차원에서 강화하였다. 관우신앙은 20세기에 들어 국가 제사가 중단되면서 힘을 잃었고, 민간에서도 점차 쇠토해 갔다.
신이 된 노자(老子)
노자가 남긴 5천여 자의 가르침을 『도덕경』이라 한다. 노자는 초기도교에서 태상노군(太上老君)으로 불리며 최고의 신으로 신격화되었다. 수ㆍ당 이후 최고신의 자리는 원시천존과 옥황상제가 차례로 자치하였지만, 태상노군의 인기는 여전히 높아 삼청(三淸)의 하나로 모셔졌다. 우리 역사에서는 고구려 영류왕 7년(624) 당 고조가 천존상을 보내온 기록이 있는데, 이와 비슷한 시기에 역시 중국에서 만들어진 노군상(老子像) 등 3점의 도교 신상을 감상할 수 있다.
하늘, 땅, 물의 신
상곳대 이래 신성시하던 해와 달, 북두칠성 등 하늘의 신들과 후토(后土)와 같은 땅의 신, 용신(龍神)으로 상징되는 물의 신 등이 중요한 도교의 신으로 수용되었다. 오랜 옛날부터 하늘, 땅, 물을 신성시하던 우리나라에서도 큰 무리없이 이들 도교의 신들을 받아들였다. 백제 무령왕릉 출토 매지권이나, 고려 승려의 매지권에 등자아는 후토신, 고려의 석관에 새기거나 고려ㆍ조선의 국가적 제초에서 받들던 각종 별자리신, 그리고 고대 이래로 그것에 비를 빌거나 해상 운항의 안전을 기원하던 용신 등은 그러한 사례들이다. 전시에서는 이러한 신들을 보여 주는 거울과 목간 및 각종 진단구 등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