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youtu.be/p6bApKiV0XM
오늘 본문에 바리새인과 헤롯 당원들이 함께 예수님께 나아와 말의 올무에 걸리게 하기 위해 한가지 질문을 하는데 그것은 가이사에게 세금을 바치는 것이 옳은가 옳지 않은가 하는 것이었습니다. 이 질문이 말의 올무가 되는 것은 만일 세금을 바치라고 하면 반민족주의, 매국노와 같은 자라는 비난을 받게 되고 세금을 바치지 말라고 하면 반국가, 반로마황제와 같은 자로 비쳐져서 그 자리에서 체포되어 구금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본문에 주님께 나아온 자들이 바리새인과 헤롯당원인 것은 매우 의미심장한 인물들에 해당됩니다. 바리새인들은 성전의 중심세력에서 밀려나 백성들 편에 서서 백성들을 등에 업고 목표로 원하는 것들을 이루는 자들이었습니다. 백성들과 함께 하는 자들이 아니라 백성들을 이용할 뿐이지 결코 순수한 자들이 아니었습니다. 반면에 헤롯당원들은 친로마세력들입니다. 당시 헤롯은 로마에서 지명한 자요 로마의 일종의 하수인과 같았기 때문에 친로마세력이 될 수 밖에 없었던 것입니다. 그러니까 바리새인들과 헤롯당은 정치적으로 말하자면 서로 반대되는 세력들이었습니다. 한데 예수를 넘어뜨리기 위해서 한편이 되어서 예수님께 나아온 것입니다.
이들이 던진 질문에 주님이 대답하시는 것은 요즘말로 실시간으로 백성들과 통치자들에게 흘러들어가는 상황이었습니다. 세금을 바치지 말라고 하면 헤롯당원들이 그 자리에서 체포할 것이고 세금을 바치라고 하면 바리새인들이 이 발언을 백성들에게 전하게 되면 백성들은 즉시로 예수님을 선지자로 인정하지 않는 상황이 되고 마는 것입니다.
이에 예수님은 당시 통용되던 동전을 가져 오라고 하시면서 역질문을 하십니다. 이 동전에 누구의 형상과 누구의 글이 새겨져 있느냐 하는 것이었습니다. 당시 로마화폐에는 가이사 티베리우스의 형상이 새겨져 있었습니다. 그리고 새겨진 글은 ‘가이사 디비 아우구스투스 폰티펙스 막시무스’ ‘존엄한 신의 아들 티베리우스, 최고의 제사장’이라는 뜻이 됩니다. 그러니 유대인들에게는 신성모독이요 우상숭배에 해당되는 동전이었던 것입니다. 그래서 성전에서는 사용하는 것을 금하고 유대인들이 만든 동전, 세겔을 사용하게 했었습니다.
주님이 던진 질문에 이들은 가이사의 형상이 새겨져 있다고 대답을 하자 주님은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치라고 말씀을 하시자 더 이상 시험을 할 수 없고 주님 곁을 떠났다고 본문은 기록하고 있습니다.
질문에 대답하는 것이 어려울 것이라 생각했는데 예수님은 너무나 상식적이고 쉽고 간단하게 대답을 하심으로 질문하는 자들이 매우 허탈한 생각이 들었을 것이 분명합니다. 가이사에게 바쳐야 할 세금은 가이사에게 내고 하나님께 바쳐야 할 세금은 하나님께 내라는 것이었습니다. 결국 가이사에게 세금을 내는 것은 옳은 것이라는 간접적인 대답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치라는 말씀 때문에 책잡을 수가 없었던 것입니다.
세금이라고 하는 것은 혜택을 받은 것에 대한 비용을 내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로마정부가 이스라엘을 불법으로 점령하고 통치하는 것은 맞습니다만 한편으로는 이민족의 침략을 막아주고 사회질서, 치안, 안보, 공공시설 등을 제공한다는 면에 있어서는 혜택을 받는다는 것을 부인할 수 없습니다. 세금을 내는 것은 당연한 것입니다. 그래서 바울도
■롬 13:1. 각 사람은 위에 있는 권세들에게 복종하라 권세는 하나님으로부터 나지 않음이 없나니 모든 권세는 다 하나님께서 정하신 바라
모든 권세가 존재하는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라 하나님의 섭리 가운데 되어진 일이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 신앙인들은 사회질서, 국가질서에 복종해야 하는 것입니다.
한데 문제는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치라는 것인데 과연 이 부분은 어느 정도 실천하고 있는지 점검해 보지 않을 수 없습니다. 국가에 대한 세금은 정해진 대로 정해진 만큼 내면 그것으로 끝나지만 하나님의 것은 그렇지 않습니다. 온 세상이 하나님의 것이요 모든 시간이 하나님의 은혜로 충만한 시간들이므로 하나님이 베푸신 은혜에 대해 세금으로 낼 수 있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입니다. 물론 성전세도 있긴 합니다만 그것은 형식적인 것이요 진정한 세금은 우리의 삶 전체로 내야 되고 드려져야 할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께 내야 할 세금을 사람에게 내야 합니다. 우리가 만나는 모든 사람에게 사랑과 섬김과 봉사의 손길을 내밀어야 하는 것은 바로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치라는 말씀 때문입니다.
그래서 사도 바울도 ■롬 1:14 헬라인이나 야만인이나 지혜 있는 자나 어리석은 자에게 다 내가 빚진 자라
■고전 6:20 너희는 너희의 것이 아니라, 값으로 산 것이 되었으니 그런즉 너희 몸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라"
오늘도 부지런히 사랑과 겸손과 섬김의 사역을 감당하시므로 하나님의 것을 하나님께 돌려드리는 복된 날 되시길 주의 이름으로 축원드립니다.
사랑의 주님, 모든 만물은 하나님이 창조하셨으며 하나님이 섭리와 은혜 가운데 살아가고 있음을 고백합니다. 하나님께 받은 은헤와 사랑을 사람들에게 베풀며 살아가는 저희들 되게 하여 주시고 사람들과의 관계속에서 하나님의 나라가 이루어지는 것을 보게 하여 주시옵소서. 오늘도 삶의 현장에서 함께 하심을 믿사옵고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렸습니다. 아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