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정현민 전공수학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위상수학 박대희 13.1.13~15 상공간 질문
짤랑쫄랑 추천 0 조회 710 21.03.26 15:56 댓글 3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21.03.29 15:00

    첫댓글 13
    (0,4)라고 하면 2에 대응되는 정의역의 원소가 없으므로 전사가 아닙니다. (0,2)∪(2,4)로 바꿔주어야 하고 열린사상은 기저의 상이 열린집합임을 보이면 충분합니다.

    14
    열린사상도 닫힌사상도 아닙니다.
    f:Y→[0,4], f((x,y))=y-x 라 할 때
    f:전사, f^(-1)(G):정의역에서 열린집합 ⇔ G:공역에서 열린집합 보이면 됩니다.

    15
    열린사상도 닫힌사상도 아닙니다.
    Z/~={[(x,-x)] | x∈[-2,-1]}∪{[(x,-x+4)] | x∈(1,2]} : 비연결, 컴팩트아닙니다.
    따라서 [0,4]와 위상동형 아닙니다.

  • 작성자 21.03.30 10:21

    13 - 기저의 형태가 ((a,b)×(c,d))∩X인데 이것의 상이 어떻게 되는지를 모르겠어요... a,b,c,d의 범위에 따라 다 따져봐야 하나요?

    14 - 역방향은 f가 연속임에 의해 성립한다는 것을 알겠는데, 정방향은 어떻게 해야할까요?
    f^(-1)(G)를 Y 개집합이라 하면, R² 개집합 U가 존재해서 f^(-1)(G)=U∩Y
    -> f는 전사이므로, G=f(f^(-1)(G))=f(U∩Y)⊂f(U)∩f(Y)=f(U)∩[0,4]
    -> f(U)가 [0,4] 개집합이면 될거같은데.. 이게 성립하는 이유를 못 찾겠어요ㅠ

  • 21.03.31 10:28

    @짤랑쫄랑 13
    정확히 서술한다면 a,b,c,d 범위를 나누어 생각해주어야 합니다.

    14
    더 간단한 방법이 있을지 모르나 말씀드린 방법으로 정확히 서술하기에는 꽤 길어집니다.
    저는 G⊂[0,4]와 a∈G에 대해 포함하고 포함되는 기저의 원소가 존재함을 보였습니다.

    13~15 모두 서술하는 연습보다 각각이 열린사상이 되는지, 닫힌사상이 되는지, 상함수가 되는지 여부를 "생각"할 수 있는게 더 중요하고 그정도면 충분합니다.

    기본서에는 서술하는 연습이 필요한 문제와 그렇지 않은 문제가 있으니 잘 선택해서 공부하는 것이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