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상분야 | 수 상 자 | 수 상 작 품 | 비 고 | |
대 상 (시) | 강우식 | 마추픽추 | 시집 | |
소설 | 금상 | 조완선 | 걸작의 탄생 | 장편 |
은상 | 윤정아 | 서포서한(西浦書翰) | 중편 | |
시 | 금상 | 김유섭 | 해변에서 외 9편 |
|
은상 | 한승엽 | 멸치 복음(福音) 외 6편 |
|
○ 수상자 현황 : 총 5명
○ 시상식 안내
- 일 시 : 2014. 11. 1(토). 15:00 예정
- 장 소 : 남해유배문학관
※ 문 의 처 : 남해유배문학관(055.860.8888), 남해군청 문화관광과(055.860.8622)
<제 5회 김만중문학상 공모 시(시조)부문 심사소감>
올해도 김만중 문학상공모 시 (시조) 부문 응모자는 많았다. 뿐만아니라 결선에 오른 작품의 수준도 다른 지역의 당선작들에 비하여 수준이 높았다. 이러한 현상은 전국의 기초자치단체에서 공모하는 다른 문학상에 비하여 많은 상금 탓도 있겠으나, 5년을 시행에 오는 동안 그 권위를 인정받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결선에 오른 작품은 시 175명의 357편 가운데 15명과 시조 22명 197편 가운데 1명으로 총 16명이었다. 시 부문 심사위원 3명이 각각 5명씩, 시조 심사위원 1명이 1명을 골랐다. 11명의 작품을 놓고 네 명의 심사위원이 장시간 논의하였다.
우선 지금까지 4회 동안 반복된 김만중의 삶이란 소재주의에서 벗어나 작품의 참신성과 완성도 그리고 작품 전체의 수준을 고려 하여 많은 가능성을 가진 작품을 고르겠다는 점에서 4명의 심사위원이 의견의 일치를 보았다. 그 결과 시 5명 정도로 압축을 하여 다시 4명의 심사위원이 금, 은상의 수준에 육박한 작품을 고른 결과 <해변에서>외 9편(김유섭)의 경우 4명 전원이 인정하고, <멸치 복음(福音)>외 6편(한승엽)을 2명이 인정하고 나머지 1명을 1명이 인정하는 순서로 나왔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금상을 <해변에서>외 9편으로 정하고 은상으로, < 멸치 복음(福音)>외 6편으로 결정하는데 아무런 이견이 없었다. 그리고 나서 투고자를 확인한 결과 특히 지역 문학상에 이름이 자주 오르내리는 사람들도 아니었다.
금상 작품과 은상 작품은 각각 개성적인 면을 확연하게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여러 면에서 대조적이다.
시인들의 나이는 어떠한 지는 알 수 없으나 김유섭은 젊고 건강한 어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감정이 절제된 부분이 많은 이미지의 전개 과정이 특색으로 등장하여 독자들의 상상력이 개입된 읽기가 필요한 시이다. 그렇다고 해서 시들의 분위기가 건조하지는 않다. 격정적이고 비극적인 시적 정경도 마치 한지에 물이 드는 것처럼 차분하고 조용한 감동을 준다. 특히 <그래도 봄이었다>는 죽은 어머니의 화장 광경을 지켜보는 과정인데도 그 비극적 정경을 마지막연에서 승화시키고 있다.
화자가 직접 말하는 담화구조를 가지고 있기는 하나 그 화자의 시적 상황이 각각 미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의미구조도 단절되지 않아 지나치게 난해하지 않다. 앞으로 이러한 시편들로 시집이 엮어진다면 독자를 충분히 가질 수 있을 것 같다.
한승엽의 어조는 나이가 들어 있으며, 어떤 작품에서는 마치 김만중 그것도 절해고도에 갇힌 노인이 시적화자인 것 같았다. 그렇다고 해서 지금까지의 당선작들에서 보이는 노골적으로 김만중의 생애를 이입시키지 않은 점이 오히려 장점이라고 볼 수 있었다. 이 시인은 바닷가나 섬에 살고 있을 것이라 짐작하였는데 시인의 인적 사항을 공개하니 그 짐작이 맞아 떨어졌다. 그리고 사물을 인식하는 방식도 건강하고 낙천적이기보다 비극적이고 절망의 그림자 마저 드리워져 있다. 그러면서도 인식의 태도가 예사롭지 않다. <멸치 복음(福音)>은 제목에서 일종의 역설이 보이기도 하지만 고기 가운데 가장 개성이 없는 ‘멸치’를 가지고 이러한 인식과 상상력을 전개하였다는 데서 시인의 역량을 충분히 엿볼 수 있다.
한 시인의 화자는 시 속에 들어가기보다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지느러미론(論)>같은 데서는 평범한 사물에다 관념을 이입시키는 솜씨도 보여주고 있다. 다소 무거운 시편들이지만 병적인 절망이나 비극으로 떨어지지 않고 진지한 즐거움을 주고 있다. 이러한 시편들 역시 시집으로 엮어지면 한국시단의 개성적인 시집이 될 것이다.
*심사위원;문효치, 양왕용, 박태일, 원은희(시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