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신 + 발의 합성어이고, 신과 발은 서로 불가분의 관계를 갖으며 인간생활의 필수도구로 변천해 왔다.
신발은 BC 4000년경 동물의 가죽을 발에 감싸고 이집트 사막을 걷는 것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한다. 신발은 지혜를 가진 인간의 당연한 문화적 유산임에는 재론의 여지가 없다.
가장 오래된 신발로 기원전 2000년경 고대 이집트에서 발견된 샌들인 "파피루스"가 있다. 재미있는 사실은 세계 신발의 역사는 판자를 발바닥에 고정시킨 고대 이집트의 샌들부터 시작되었다고 한다.
인간의 최초의 옷과 신발은 큰 나뭇잎이나 나무껍질이었고, 다음은 짐승을 잡아먹고 생긴 가죽으로 변천되었다.
한반도의 경우 신석기 시대부터 발의 보호를 위해 신발이 고안되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우리 선조들은 오래전부터 짚, 가죽, 헝겊, 금동, 청동제 등 다양한 소재를 사용했다.
가장 오래된 짚신은 1995년 부여에서 출토되었는데 재질이 짚이 아니라 물가에 나는 부들이었다. 길이가 30cm 너비가 10.7cm에 달하여 화제가 되기도 했다.
신발의 형태와 장식은 인간의 예술성향을 반영하기도 했다. 기후와 성향에 따라 좌우되기도 하고, 신분이나 계급, 명예를 반영하기도 했다. 삼국시대에는 지배계급은 목이 긴 가죽신을 즐겨 신었으며, 중간계급이나 피지배계급은 짚신이나 목이 없는 가죽신을 삼아 신었다고 한다.
검정고무신을 최초로 신은 사람은 '순종왕'었다고 한다.
![]() |
고무를 재료로 하여 폭이 넓고 굽이 낮으며 남자 것은 갖신을, 여자 것은 당혜라는 신발을 본떠서 만들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는 1919년 '이하영'이 "대륙고무주식회사"를 처음 창설하였다.
당시 짚신, 미투리, 갖신, 나막신을 신을 때 고무신이 선보여 크게 인기를 끌었으며 방수가 잘 되어 실용적이었고 1938년부터 1945년 이후 6.25 때까지 전성기를 이루었다.
1960년경부터 고무신의 단점을 보완하고 발의 피부와 위생적인 면을 고려하여 운동화가 생산되었고, 그의 대중화 및 구두의 생활화로 신발의 변천사에 커다란 획을 그었다.
구약성서 창세기 3장을 보면 신발은 태초에 "말씀"에 따라 창조(?). 아담과 이브가 무화가 나뭇잎을 따서 몸을 가리는 이른바 "선악과" 이후 하나님께서 뱀, 여자, 남자를 모두 꾸짖은 뒤 "가죽옷을 지어입히시니라" 했다고 하니 ....
신발에 관련된 유명한 동화인 신데렐라 공주 이야기를 살펴보면 유리구두가 등장한다. 그러나 프랑스판 원본에서는 유리구두가 아니라 모피 구두이다. 이는 프랑스어로 흰 모피가 'vair' 이며 유리를 뜻하는 단어가 'verre'인데 두 단어가 서로 혼동되어 일어난 것이라고 한다.
그 밖에 인체의 모든 뼈 중 4분의 1 이 발의 뼈이며, 왼손잡이는 걸음을 시작할 때 왼발을 먼저 내딛는다고 하고, 현재 미국인, 영국인, 독일인, 프랑스인, 이태리인 순으로 신발을 많이 사 신는다고 한다.
가장 많이 소비되는 신발은 역시 남녀노소 구분이 없는 운동화이며, 디자인의 큰 변화는 없지만 기능이 추가되거나 패션적인 요소가 가미되면서 여전히 운동화의 선호도가 높다. 최근 개성이 뚜렷한 신세대를 중심으로 세련된 디자인과 편안한 자유로움으로 힙합 등 새로운 장르의 문화가 다변화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