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웃음박사 김영식 의 진도 여행기
|
|
공연장소: 전남 진도군 지신면 임지리[일시:1983]
순서 안당 → 초가망석 쳐올리기 → 손님굿 → 제석 → 조상, 액맥이 → 고풀이
→ 영동말이, 씻김 → 넋풀이 → 희설 → 길닦이 → 종천맥이
*내용
진도 씻김굿은 소리굿으로 친다. 최근 판소리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판소리의 근원을 파헤치면서 무속 굿거리에서 그 원류를 찾아내고 있다. 씻김굿의 장단가락소리는 판소리와 굿의 인연을 충분히 느낄 수가 있을 만큼 음악적으로 고도의 기능과 품격을 지니고 있다.
풍류가 센 고장의 굿이라 굿판에 등장하는 모든 형식이나 노래, 춤등이 뛰어난 멋을 지니고 있다. 씻김굿을 소리굿으로 치지만 거기 나오는 춤사위 역시 소리만큼이나 멋진 데가 있다. 제석춤, 지전사위가 있고 이 춤들은 불교, 무속, 민속농악에서 현대무용무대까지 널리 그 원류가 퍼져 있고 넓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무당의 복색은 서울을 기점으로 북으로 올라갈수록 화려해지고 남으로 내려갈수록 간소해지는 경향이 있다.
씻김굿의 여자무당 의복은 최대한으로 정리되어 간추린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다. 흰 치마저고리 위에 중간길이 소매의 한삼을 걸치고 그 위에 붉은띠를 어깨에서 허리로 비껴맸다. 머리에는 흰고깔을 상큼하게 접어 올려 썼다. 조선종이를 길게 오려 만든 지전을 양손에 들고 춤을 출때나 놋쇠접시모양으로 생긴 바라를 들고 출 때 이 복색은 한결 아름다움을 더해준다.
씻김굿의 인간문화재이며 남도의 세습 巫家인 박병천씨에게 시집와서 씻김굿의 여왕으로 군림하고 있는 박숙자씨는 이번 무대에서 굿거리장단의 제석춤에 이어 떵떵이 장단에 복개를 들고 추는 복개춤, 손에 마른 해물을 묶은 것을 들고 엇중모리장단으로 추는 군웅춤, 그리고 약그릇 두 개를 들고 살풀이로 추는 액막음춤까지를 이어 춘다. 태를 부리지 않으면서도 장단이 온몸에 베어 나오는 그의 춤에서 한국춤의 어떤 원형을 찾아 볼 수 있다.
진도 만가 가사
① 긴염불 (진양조)
? 선창
재해보살 / 재해보살이로고나 / 남우여 / 다냐타 / 남우 남우어 / 아미타불 /
? 후렴
재해보살 / 재해보살이로고나 / 남우여 / 다냐타 / 남우 남우어 / 아미타불
? 늙어 늙어 알년주야 / 다시 젊기 어려워라 / 하날이 높다해도 / 초경에 이슬오고 /
유경이 멀다해도 / 사시 행차가 왕래허네
② 중염불 (중모리)
? 선창
남우야 남우여 / 남우아미타불
? 후렴
남우야 남우여 / 남우아미타불
? 산에 나무를 심어 유전 유전이 / 걸러내야 고물고물 단청일세
? 동에로 뻗은 가지 / 복토보살 열리시고 / 남에로 뻗은 가지 / 화보살 열렸네
? 서에로 뻗은 가지 금호보살 열리시고 / 북에로 뻗은 가지 / 수호보살 열렸네
? 일탄남 이거문 / 삼녹주 사영장 / 오목궁 육폐관으로 / 하감 통촉하소서
③ 애소리 (중모리)
? 선창
애~애~애애~애애야 / 애~애~애애~애애야 / ~애애애야
? 후렴
애~애~애애~애애야 / 애~애~애애~애애야 / ~애애애야
? 옛 늙은이 말들으면 / 북망산천이 멀다드니 / 오날보니 앞동산이 북망
? 여보소 상도꾼들 / 너도 죽으면 이길이요 / 나도 죽으면 이길이로다
? 가시길래 못가것네 / 차마설어 친구두고는 못 가것네
? 어이를 갈거나 / 어이를 갈거나 / 심산험노를 / 어이를 갈거나 /
날짐승도 쉬어 넘고 / 구름도 쉬어넘는 / 심산험노를 / 어이를 갈고
? 삼천갑자 동방석은 / 삼천갑자를 살았는데 / 요내 나는 무삼죄로 / 백년도 못사는고
④ 재화노래 (중모리)
? 선창
피리
? 후렴
재화좋네 좋을시구 / 명년소상 날에나 / 다시만나 보자세라
? 재화좋네 좋을시구 / 명년소상 날에나 / 다시만나 보자세라
⑤ 하직노래 (늦은 중모리)
? 선창
하적이야 하적이로 고나 / 새왕산 가시자고 / 하적이로고나 /
? 후렴
상기와 동일
? 동네방네 하직하고 / 살던집도 다 버리고 / 새왕산 가시자고 / 하적(하직)을 허네
? 일가친척 다 버리고 / 처자식들 이별하고 / 새왕산 가시자고 / 하적을 허네
⑥ 다리천근 노래 (중중모리)
? 선창
아~아~아애~애요 / 아~아~아애~애애요 / 천근이야 천근이요
? 후렴
? 깊은 물에 다리 놓아 / 만인공덕의 다리천근
? 쉬어 넘자 쉬어 넘어 / 다리 천근에 쉬어 넘자
? 반야종선은 물위에 띄고 / 다리천근에 길을 닦세
? 동갑에 천근 / 갑장에 천근 / 한님에 다리천근
⑦ 아미타불 노래 (중중모리)
? 선창
남우아미타불
? 후렴
? 간다간다 나는가
? 북망산천을 나는가
? 허망하다 인생살이
? 아적나잘 성튼 몸이
? 저녁나잘 병이들어
? 이내 목숨 뺐어가니
? 몹쓸열의 병이로다
? 어떤동갑은 백년도산듸
? 이넘팔자 어이하여
? 단 팔십도 못사는고
? 친구벗네 많다한들
? 어느 친구 대신가며
? 일가친척 많다한들
? 어느일가 대신갈까
⑧ 달구질 소리 (중모리)
? 선창
어이기야해 - / 가래로고나
? 후렴
? 선창
일새동방 다굴적에 / 청용한쌍이 들었으니 / 용에머리 걷힐손가 / 아라감실로 닦아주소.
? 이새남방 다굴적에 / 거북한쌍 들었네 / 거북머리 걷힐손가 / 아라감실로 닦아주소
? 삼새서방 다굴적에 / 두꺼비한쌍 들었네 / 두꺼비머리 걷힐손가 / 아라감실 닦아주소
? 사새서방 다굴적에 / 업에머리 걷힐손가 / 아라감실로 닦아주소.
⑨ 달구질 소리 (자진모리)
? 선창
어이기청청 가래요
? 후렴
? 앞에 앞주산 바라보니
? 문필봉이 비쳤구나
? 대대문장도 날명장
? 옆에 옆주산 바라보니
? 노적봉이 비쳤으니
? 대대장자도 날명당
? 뒷산을 바라보니
? 노인성이 비쳤구나
? 백발당산도 날명당
(10) 잦은 달구질소리 (잦은 모리)
? 선창
어이청청 가래요
? 후렴
? 만첩청산에 깊은골
? 두개비업도 닦아 보세
? 앵명 쟁쟁 요란한
? 깐치업도 닦아보세
? 반월 울리주라
? 반달이 구름속에
? 묻어있는 성국이요
? 와우 동초하니
? 초동아이 풀비어갖고 / 소앞에 가는 성국
? 갈마 운수성은
? 목마른 말이 물먹는 성국
? 대포 연풍이라
? 탄탄 대추에
? 바람맞는 성국이라
? 노께 탈곡성은
? 늙은 장닭이
? 지네쫓는 성국이요
삼천갑자 동방삭은
삼천갑자 살았는데
요네 나는 백 년도 못 살아
애 애 애 애 애애애 애애야
애 애 애 애 애애애 애애야
구름도 쉬어 넘고
날짐승도 쉬어 가는
심산유곡을 어이를 갈꼬
애 애 애 애 애애애 애애야
애 애 애 애 애애애 애애야
옛 늙은이 말 들으면
북망산이 멀다드니
오날보니 앞동산이 북망
애 애 애 애 애애애 애애야
애 애 애 애 애애애 애애야
못 가겠네 쉬어나 가자
한번 가면 못 오는 길을
어이를 갈꺼나 갈꺼나
애 애 애 애 애애애 애애야
애 애 애 애 애애애 애애야
심산험노를 어이를 갈꼬
육진장포 일곱매로 상하로 질끈 메고
생이 타고 아주 가네
애 애 애 애 애애애 애애야
애 애 애 애 애애애 애애야
삼천갑자 동방석은
18만 년을 살았는데,
요네 나는 백 연도 못 살아.
구름도 쉬어 넘고
날짐승도 쉬어 가는
깊은 산의 으슥한 골짜기를 어찌 갈까?
노인들의 말을 들으면
사람이 죽어서 묻힌다는 북망산이 멀다더니
오늘 보니 앞에 있는 동산이 북망(이로구나).
못 가겠네. 쉬었다가 가자.
한 번 가면 못 오는 (저승)길을
어찌 갈까나, 갈까나.
깊고 험한 산의 험하고 나쁜 길을 어찌 갈까?
육진에서 생산된 긴 베 일곱 매로 위아래를 질끈 매고
상여를 타고 아주 가네.
요점 정리
갈래 : 만가(輓歌) 민요(전남 진도, 기능요, 상례요, 선후창요)
성격 : 체념적, 허무적, 애상적
표현 : 대조법, 대구법, 반복법
운율 : 2음보 위주로 대부분 4·4조, 대부분 4·4조. 후렴구
시적 화자 : 죽은 사람
구성 :
1연 짧은 인간의 수명에 대한 탄식
2연 장지(葬地)로 가는 도중에 느끼는 어려움
3연 죽음이 가까운 곳에 있다는 인식
4연 고인(故人)을 보내는 안타까운 심정
5연 상여를 운구(運柩)하여 장지(葬地)로 가는 정회(情懷)
제재 : 죽음
주제 : 이승을 떠나는 비애, 고인에 대한 애도(哀悼)
출전 : 한국 만가집에서 일부 수록
채집지 : 전남 진도
기타 : 전남 지정 무형 문화재 제 19호로 상례(喪禮)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노래이다. ‘상엿소리''상부소리''영결소리''향도가''상두가(常頭歌)''해로가’라고도 한다.
내용 연구
삼천갑자 동방삭(동방삭이 무제에게 벼슬할 때 그 명령을 기다리지 않고 복(伏)날에 고기를 베어 가지고 돌아갔다는 이야기이고, 〈동방삭투도〉는 동방삭이 서왕모(西王母)가 심은 복숭아를 훔쳐 먹고 인간계로 내려와 삼천갑자, 즉 1만 8000년을 살았으므로 ‘삼천갑자동방삭’이라 부르게 됨)은
삼천갑자 살았는데
요네 나는 백 년도 못 살아(대조접으로 오래 산 사람의 대명사인 동방삭과는 달리 짧은 삶을 살 수밖에 없는 자신의 처지에 대한 안타까움을 드러내고 있다. 인생무상(人生無常)이 느껴지는 구절로 인생의 유한함을 탄식)
애 애 애 애 애애애 애애야
애 애 애 애 애애애 애애야 - 인생의 유한함에 대한 탄식과 한탄
구름도 쉬어 넘고
날짐승도 쉬어 가는
심산유곡(深山幽谷 : 깊은 산속의 으슥한 골짜기)을 어이를 갈꼬(장사하여 시체를 묻는 땅인 장지가 구름이나 새조차 쉬어 갈 정도의 깊은 산속의 으슥한 골짜기에 있다는 것으로 험난한 저승길에 대한 걱정이 나타나 있다)- 장지로 가는 도중에 느낀 어려움
애 애 애 애 애애애 애애야
애 애 애 애 애애애 애애야
옛 늙은이 말 들으면
북망산이 멀다드니(멀다고 하더니)
오날보니 앞동산이 북망(북망산(北邙山)으로 무덤이 많은 곳이나 사람이 죽어서 묻히는 곳을 이르는 말. 중국의 베이망 산에 무덤이 많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비슷한 말로 북망산천.) - 죽음이 가까이 있다는 깨달음
애 애 애 애 애애애 애애야
애 애 애 애 애애애 애애야
못 가겠네 쉬어나 가자
한번 가면 못 오는 길을
어이를 갈꺼나 갈꺼나(차마 이승을 떠나고 싶지 않은 심정과 이승과 저승의 거리를 아울러 표현하고 있다.) - 고인을 보내는 안타까운 심정
애 애 애 애 애애애 애애야
애 애 애 애 애애애 애애야
심산험노(심산험로로 깊은 산의 험한 길)를 어이를 갈꼬
육진장포(六鎭長布 : 함경북도의 육진이 있던 곳에서 나는 베. 척수(尺數)가 다른 곳에서 나는 것보다 훨씬 길다.) 일곱매(매 : 소렴(小殮) 때에 시체에 수의(壽衣)를 입히고 그 위에 매는 베, 헝겊.)로 상하로 질끈 메고(매고)
생(상여)이 타고 아주 가네(고인이 다시는 돌아올 수 없는 길을 가고 있다는 사실에 대한 안타까운 심정이 담겨 있고, 상여가 나가는 모습을 표현한 부분)
애 애 애 애 애애애 애애야
애 애 애 애 애애애 애애야 - 죽음의 길을 떠나는 비애, 상여를 운구하여 장지로 가는 정회
삼천갑자 : 60갑자의 삼천 배, 즉 18만 년
동방삭 : (B.C 154-B.C 93) 중국 전한(前漢)의 문인. 속설에 서왕모(西王母)의 복숭아를 훔쳐 먹어 장수하였다 하며, ‘삼천갑자 동방삭’으로 일컬어짐. 흔히 ‘오래 사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쓰임
심산유곡(深山幽谷) : 깊은 산의 으슥한 골짜기
북망산(北邙山) : (중국의 북망산에 무덤이 많았다는 데서) 사람이 죽어서 가는 곳을 이르는 말. 북망산천(北邙山川)
심산험노(深山險路) : 깊은 산의 험하고 나쁜 길
육진장포(六鎭長布) : 조선 세종 때 지금의 함경북도 북변(北邊)에 설치한 여섯 진(鎭)에서 생산된 베로, 한 필의 길이가 다른 곳에서 생산된 베보다 훨씬 길었다고 함
메고 : 매고. 풀어지지 않게 둥이어 묶고
생이 : 상여(喪輿). 장례 때 여럿이 메어 시신을 운반할 수 있도록 만든 기구
삼천갑자 동방삭은 / 삼천갑자 살았는데 / 요네 나는 백 연도 못 살아 : 오래 산 사람의 대명사의 동방삭과 달리 짧은 삶을 살 수밖에 없는 자신의 처지에 대한 안타까움을 드러내고 있다. 인생무상(人生無常)이 느껴지는 구절이다.
구름도 쉬어 넘고 / 날짐승도 쉬어 가는 / 심산유곡 : 활유적인 표현으로, 시신으로 안치(安置)할 장지(葬地)가 구름이나 새조차 쉬어 넘어갈 정도로 높은 곳에 있다고 노래한 것이다.
한번 가면 못 오는 길을 / 어이를 갈꺼나 갈꺼나 : 저승의 길은 한 번 가면 다시 돌아올 수 없는 길인데, 고인(故人)은 그 길을 가고 있다는 생각에서 오는 안타까운 심정을 드러내고 있다.
육진장포 일곱매로 상하로 질끈 메고 / 생이 타고 아주 가네 : 고인(故人)이 다시는 돌아올 수 없는 길을 가고 있다는 사실에 대한 안타까운 심정이 내재되어 있다.
이해와 감상
만가(輓歌)의 일종인 상례의식요(喪禮儀式謠)이며 상여를 운반하는 노동요로 향도가, 향두가, 상두가, 상부소리라고도 한다. 죽은 사람의 명복을 빌면서 산 사람에게는 액이 들지 말고 복만 들기를 기원한다. 이별의 슬픔과 영원한 삶에 대한 소망도 담겨 있다. 상여의 운반은 여럿이 호흡과 발을 잘 맞춰야 하는 일이다. 집을 떠날 때, 가파른 언덕이나 산길을 오르고 내릴 때, 개천이나 다리를 건널 때, 장지에 도착할 때 등 상황에 따라 가락과 사설이 다르며 지역에 따라 가락·사설·뒷소리 등에 차이가 있다. 가창방식은 앞소리꾼이 요령을 흔들면서 "북망산이 머다더니 저 건너 안산이 북망이네" 등으로 앞소리를 메기면, 상여를 맨 상여꾼들이 뒷소리를 받는다. 뒷소리는 "어허이 어허", "어허넘차 어허", "관살에 보살 나무애비타불" 등 매우 다양하다.
이해와 감상1
‘만가(輓歌)’에서 ‘만(輓)’은 끌어당긴다는 뜻이다. 원래 ‘만가(輓歌)’는 ‘상여를 끈다’는 뜻에서 온 말로, 흔히들 ‘상엿소리’라고도 한다. 즉 죽은 사람을 애도하여 망자(亡者)가 이승에 남긴 행적을 기리며 저승에서 좋은 곳으로 가도록 인도하는 뜻으로 부르는 노래이다.
상여를 운구하는 형태와 그 때 불리는 노래는 지방마다 다른데, 위 노래는 ‘진도 만가’에 속한다. 상여를 메고 갈 때 다른 지방에서는 남자만이 상두꾼이 되고 만가의 선창자는 요령이나 북을 치면서 메김소리를 하지만, 진도에서 여자도 상두꾼으로 참여하고 만가의 반주 악기로 사물과 피리가 등장하여 메김소리와 뒷소리를 뒷받침해 준다. 뿐만 아니라, 가면을 쓴 방장쇠 두 사람이 조랑말을 타고 칼춤을 추면서 잡신을 쫓는가 하면, 횃불이 등장하고, 상주(喪主)들의 상복(喪服) 또한 특이하다.
이 노래는 상여를 메고 가면서 짧은 인간의 수명에 대해 탄식하면서 죽음이 먼 곳에 있는 것이 아니라는 안식을 드러내고 있다.
심화 자료
진도 만가
전라남도 진도군 지산면 인지리에 전승하는 신청(神廳) 예인(藝人)들의 만가.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19호.
〔연 원〕
1987년 8월에 지정되었다. 진도지방에는 일반 마을의 상여소리 이외에 인지리에 거주하던 무업(巫業) 종사자들이 부잣집이나 유지댁의 상례에 초청되어 갔을 때 진도씻김굿의 길닦음노래들을 활용해서 부르는 만가가 있다.
진도만가는 출상시에 북·장구·꽹과리·피리가 동원됨으로써 일반적으로 행상(行喪) 때는 요령을 흔들고 달구질 때는 북을 사용하는 것과 차이가 난다.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용미리는 아직까지도 무당을 불러 짐대굿을 벌이는 마을로 상부소리에 북·장구·제금·쇄납을 수반한다. 진도에서는 상여 앞에 길게 두 줄로 늘어뜨린 베 끈을 여자들이 잡고 묘지까지 간다.
〔구 성〕
설재복(1920∼1989)과 김항규(金恒圭:1925년생)가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으나 설재복은 작고하였다. 진도만가는 1982년도 전국 민속예술경연대회에 참가하여 문공부장관상을 수상한 바 있으며, ① 진 염불 ② 중 염불 ③ 에-소리 ④ 하적소리(하직, 이별하는 소리) ⑤ 재화소리(행락치기) ⑥ 자진 염불 ⑦ 다리 천근(다리를 건널 때) ⑧ 가난보살(산을 오르면서 복창함) ⑨ 가래질소리로 진행된다.
①∼④와 ⑥, ⑦은 진도씻김굿의 길닦음노래들이다. ⑤는 피리와 반복구가 교창되며 선율은 서로 같다. 반복구는 민요 ‘풍년가’의 후렴구와 관계가 있다. ⑨는 봉분을 만들기 전에 관을 묻은 땅을 달구질꾼들이 나무토막에 두 귀를 단 달구질 도구를 각자 잡고 다지면서 흙가래질의 가래소리(중모리장단의 첫소리는 모심는 받음소리와 관계 있음)에 맞춘다.
전라남도 지역은 일반적으로 묘 달구질소리가 적은 편이다. ①∼⑨의 받음구 내지 반복구는 아래와 같다.
〔노래말〕
① 세-헤 헤 -/ 보- 살-, / 세-헤헤 헤헤-/ 보살이로고나, / 나-무여-허/ 어 허어 허- 허/
허 허 허 허 로 고나/ 나-나- 나/ 허-허 허로고나/ 나-무 나무여-, / 아미타-불-//
② 나무야- / 나무나무 나무야/ 나-무풀이가/ 새로아미났네//
③ 에- 헤- 에헤에 야-/ 에헤- 에헤헤- 에헤에 야-//
④ 하적이야- 하적이로고나/ 새왕산 가시자고 하적을 허네//
⑤ 재화좋네/ 절 어절 절 시고나/ ○년 - 초상 날에나/ 다시 만나 보자세 라// ⑥ 나무 아미 타 불
⑦ 아 하라 헤헤 요/ 아 하라 헤헤 요/ 천근이야/ 천근이요// ⑧ 가난보살
⑨ⅰ) 어기야 허 허이 여허 허라/ 가래 가래 가래요 //
ⅱ) 어기 청청 가래요/ 알아감실러 다과주소//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노래 듣기
강원도 명주 덜구소리. 상여가 장지에 이르면 '하관'이라 하여 ...
제주도 성읍 상여소리. 남제주군 표선면 성읍리의 '상여 소리'는 ...
충청북도 중원 상여소리. 발인을 하고 상여꾼들이 어깨에 상여를 ...
(출처 : 브리태니커백과사전)
만가 : 상엿소리(喪輿--)로 상여꾼들이 상여를 메고 가면서 부르는 구슬픈 소리로 만가(輓歌), 상여가, 상여메김소리, 요령잡이소리, 행상소리, 향도가라 부름.
만가 고사성어
輓 : 수레 끌 만. 歌 : 노래 가.
[출전]《古今 》〈音樂篇〉,《晉書》〈禮志篇〉,《古詩源》 〈 露歌〉〈蒿里曲〉
상여를 메고 갈 때 부르는 노래. 죽은 사람을 애도하는 노래로 한(漢)나라 고조 유방(劉邦)이 즉위하기 직전의 일이다.
한나라 창업 삼걸(三傑) 중 한 사람인 한신(韓信)에게 급습 당한 제왕(齊王) 전횡(田橫)은 그 분풀이로 유방이 보낸 세객(說客) 역이기( 食其)를 삶아 죽여 버렸다. 이윽고 고조가 즉위하자 보복을 두려워한 전횡은 500여 명의 부하와 함께 발해만(渤海灣)에 있는 지금의 전횡도(田橫島)로 도망갔다. 그후 고조는 전횡이 반란을 일으킬까 우려하여 그를 용서하고 불렀다. 전횡은 일단 부름에 응했으나 낙양을 30여리 앞두고 스스로 목을 찔러 자결하고 말았다. 포로가 되어 고조를 섬기는 것이 부끄러웠기 때문이다. 전횡의 목을 고조에게 전한 고조에게 전한 두 부하를 비롯해서 섬에 남아있던 500여 명도 전횡의 절개를 경모하여 모두 순사(殉死)했다. 그 무렵, 전횡의 문인(門人)이 해로가( 露歌) 호리곡(蒿里曲)이라는 두 장(章)의 상가(喪歌)를 지었는데 전횡이 자결하자 그 죽음을 애도하여 노래했다.
부추 잎의 이슬은 어찌 그리 쉬이 마르는가
上朝露何易晞(해상조로하이희)
이슬은 말라도 내일 아침 다시 내리지만
露晞明朝更復落(노희명조갱부락)
사람은 죽어 한 번 가면 언제 다시 돌아오나
人死一去何時歸(인사일거하시귀) -해로가-
호리는 뉘 집터인고
蒿里誰家地(호리수가지)
혼백을 거둘 땐 현.우가 없네
聚斂魂魄無賢愚(취렴혼백무현우)
귀백은 어찌 그리 재촉하는고
鬼伯一何相催促(귀백일하상최촉)
인명은 잠시도 머뭇거리지 못하네
人命不得少 (인명부득소지주) -호리곡-
이 두 상가는 그 후 7대 황제인 무제(武帝:B.C.141∼87) 때에 악부(樂府) 총재인 이연년(李延年)에 의해 작곡되어 해로가는 공경귀인(公卿貴人), 호리곡은 사부서인(士夫庶人)의 장례 시에 상여꾼이 부르는 '만가'로 정해졌다고 한다.
[주]
해로가 : 인생은 부추 잎에 맺힌 이슬처럼 덧없음을 노래한 것.
호리 : 산동성(山東省)의 태산(泰山) 남쪽에 있는 산 이름. 옛 중국인들은 사람이 죽으면 넋이 이곳으로 온다고 믿어 왔음.
동방삭설화(東方朔說話)
저승사자를 잘 대접해 삼천갑자(三千甲子)를 살았다는 동방삭에 관한 설화. ‘동방삭이 삼천갑자를 산 내력’, ‘동방삭과 숯 씻는 저승 차사’로 불리기도 한다.
구전설화로 전국적인 분포를 보이며 널리 전승된다. 중국에서의 동방삭설화는 보통 〈동방삭작육 東方朔斫肉〉과 〈동방삭투도 東方朔偸桃〉 두 가지가 전한다.
〈동방삭작육〉은 동방삭이 무제에게 벼슬할 때 그 명령을 기다리지 않고 복(伏)날에 고기를 베어 가지고 돌아갔다는 이야기이고, 〈동방삭투도〉는 동방삭이 서왕모(西王母)가 심은 복숭아를 훔쳐 먹고 인간계로 내려와 삼천갑자, 즉 1만 8000년을 살았으므로 ‘삼천갑자동방삭’이라 부르게 되었다는 이야기이다.
우리 나라의 동방삭설화는 크게 연명설화 형태와 저승 차사에게 잡혀간 내력이라는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반부 동방삭이 목숨을 연장하게 된 내력은 모두 저승사자를 잘 대접한 때문인데 그 동기는 네 가지로 나타난다.
① 동방삭은 어릴 때 심술궂어 맹인에게 해를 끼쳤는데, 화가 난 맹인이 점을 쳐 보고 그가 곧 죽을 것이라고 하였다. 사정하여 면할 방도를 물었더니 맹인이 저승사자 대접법을 가르쳐 주었다.
② 도승의 방문으로 단명할 것을 알게 되고, 그 연명 방법을 물었다. ③ 오래 살다보니 스스로 터득했다. ④ 마음에서 우러나 저승사자를 잘 대접하였다.
위의 어느 경우에나 모두 밥·신·노자 등을 저승사자의 숫자대로 준비했다가 먼 길을 걸어오느라 지친 사자를 대접하는 것이다. 그 결과 대접을 받은 저승사자는 인정상 그를 잡아갈 수 없어서 저승의 명부에 삼십갑자인 동방삭의 수명에 한 획을 삐쳐서 십자(十字)를 천자(千字)로 만들어 삼천갑자를 살도록 수명을 연장시켰다.
후반부 저승사자에게 잡혀간 내력은, 삼천갑자를 살고 난 동방삭이 세상일에 통달해서 잡히지 않으니까 저승에서는 계교를 내어, 사람이 많이 다니는 냇가에서 저승사자로 하여금 숯을 씻게 하였다.
누군가가 와서 무엇을 하는가 물었으므로 “숯을 자꾸 씻으면 하얗게 된다 해서 씻고 있다.”고 하자 “내가 삼천갑자를 살아도 처음 듣는 소리”라고 하는 말을 듣고 저승사자는 그가 동방삭인 줄 알고 얼른 저승으로 잡아갔다.
각 편에 따라 전반부 또는 후반부만 있거나, 전반부와 후반부가 함께 나타나기도 하지만, 후반부가 보다 강조되어 있다. 동방삭의 연명부분에서 저승사자와 함께 저승까지 갔다가 되돌아온다는 저승설화 모티프가 첨가되어 있는 각 편도 많다.
한·중 양국 간의 설화 유통을 보여 주는 이 설화에서 우리 민족의 타계에 대한 민간적 사고를 알 수 있으며, 저승을 걸어서 도달할 수 있는 수평적 연장선에 놓인 곳으로 인식하고 있음도 보여 준다.
또한, 이 설화는 내세보다는 현세적인 삶에 가치를 두는 우리 무속의 세계관과도 일치하고 있다. 제주도의 〈멩감본풀이〉, 전라도의 〈장자풀이〉 등의 서사무가는 이 유형과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자료들이며, 고대소설 〈당태종전〉 등과도 관계가 있다.
≪참고문헌≫ 全北民譚(崔來沃, 螢雪出版社, 1979), 韓國口碑文學大系(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0∼1988).(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만가(輓歌)
장례식 때 상여를 메고 가는 향도꾼 혹은 상두꾼으로 불리는 상여꾼들이 부르는 소리.
〔개 요〕
일명 만가(輓歌)·향도가·향두가(香頭歌)·행상소리·회심곡(回心曲)·옥설개·설소리 등 지역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불리고 있다. 대도시에서는 사회적으로 천시를 받던 사람들이 작은 집단을 형성하여 상두도가를 중심으로 직업화된 사람들에 의해서 불렸지만, 지금은 보통 불리지 않고 있다.
농촌에서는 초상이 나면 마을단위로 마을사람들이 서로 협동해서 장례를 치르고, 또 상여꾼들이 되어서 이 노래를 불렀고, 현재도 불리고 있다. 노래말은 지역에 따라 다르나 비슷한 내용의 메기는 소리와 받는 소리도 적지 않다.
〔내 용〕
메기는 소리에는 보통 “북망산천이 머다더니 내 집앞이 북망일세”, “이제 가면 언제 오나 오실 날이나 일러 주오” 등과 같은 노래말이 많이 쓰인다. 받는 소리는 “너허 너허 너화너 너이가지 넘자 너화 너” 혹은 “에헤 에헤에에 너화 넘자 너화 너” 등의 노래말이 많이 사용된다.
때로는 처음의 느린 부분에 “관세음보살”·“관암보살”·“나무아미타불”·“나무할미타불” 등과 같은 불가(佛家)의 노래말이 자주 사용되고 있다. 목소리, 즉 ‘초성’ 좋고 노래말은 잘 외우는 ‘문서’ 있는 사람이 앞소리를 메기고, 상여를 멘 여러 사람이 뒷소리를 받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상여가 나가기 전날 밤에 초경(初更)·중경(中更)·종경(終更)으로 나누어 예행 연습을 하면서 부를 때는 ‘장맞이’ 혹은 ‘말메이는 소리’라고도 한다. 앞소리를 부르고 요령을 잡았다 하여 ‘요령잡이’라고도 불리는 선창자는 요령을 흔들면서 애처로운 소리로 앞소리를 한다.
앞소리의 노래말은 유(儒)·불(佛)·선(仙)적인 내용을 모두 포함하면서, 이 세 가지 정신과 사상을 바탕으로 한 고사(故事)를 인용하고 있다. 또한, 삼강오륜의 도덕성 확립을 위한 교훈적이고 계몽적인 내용을 많이 담고 있다.
〔구성 및 기능〕
출상 순서에 따라 서창(序唱)소리·행상(行喪)소리·자진상여소리·달구소리로 나누어진다. 서창은 24∼32인으로 구성된 상여꾼들이 상여를 메고 죽은 이의 혼이 집을 떠나기 서러워하는 심정을 나타내기 위하여 느리게 부르는 부분이다.
행상소리는 상여를 메고 가면서 부르는 소리이다. 자진상여소리는 묘지에 거의 다 와서 산으로 올라가면서 부르는 소리이고, 달구소리는 하관 뒤에 무덤을 다지면서 부르는 소리이다.
장례의식과 상여를 메고 운반하며, 또 땅을 다지는 노동의 기능이 복합되어 있어, 의식요이면서도 노동요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흔히 각 지역의 음악적 특성을 언덕 하나만 넘거나 냇가 하나만 건너도 다르다고 이야기하지만, 다르다는 의미가 지방의 사투리에 따라 노래말이 다르다는 뜻인지, 노래의 가락이 다르다는 뜻인지 불분명하다.
그러나 노래말의 적지 않은 부분이 비슷한 내용이고, 선율의 골격도 전라도외 경상도·강원도·충청도 등 지역간의 차이가 별로 없다. 선율은 편의상 서양음악의 계이름에 의한다면, 대개 미·솔·라·시·도·레의 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이한 것으로는 경상도 일부지역에서 회심곡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이 소리는 문학적인 면의 서사민요에 속하는 긴 노래말로 되어 있기도 하나, 선율은 지루하리만큼 슬픈 선율을 반복 사용하고 있다. 충청남도의 공주지방에서는 혼자 메기지 않고 4인의 합창으로 메기고, 이어서 모두가 받는 짝타령의 모습도 보이고 있다.
≪참고문헌≫ 鄕土調 旋律의 骨格(權五聖, 藝術論文集 16, 大韓民國藝術院, 1977).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첫댓글 안방에서 전국의 꾼들과 섯다의 짜릿함!
http://imb85.net
승부사들의 진정한 한판 승부! “ 화투 “
회원가입만 하셔도 5000원의 무료머니를 드립니다
귀찮은 다운로드 이제그만,웹에서 바로 즐기는 화투!
http://imb85.net
국내 최다 회원보유 고객만족도1위!!!
화투의 짜릿한 손맛을 즐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