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 초록동색(草綠同色)
뜻 : 풀빛과 초록은 같은 색이다. 같은 처지의 사람과 어울림을 말함.
한자풀이
草 (초) 풀
綠 (록) 푸르다
同 (동) 같다
色 (색) 색
102. 파란만장(波瀾萬丈)
뜻 : 파도의 물결치는 것이 만장의 길이나 된다. 사람의 생활이나 일의 진행이 여러 가지 곡절과 사연, 시련이 많고 변화가 심함.
한자풀이
波 (파) 물결
瀾 (란) 물결
萬 (만) 일만
丈 (장) 길이
103. 우여곡절(迂餘曲折)
뜻 : 이리 굽고 저리 굽은 복잡한 사정
한자풀이
迂 (우) 멀다
餘 (여) 남다
曲 (곡) 굽다
折 (절) 꺾다
104. 호사다마(好事多魔)
뜻 : 좋은 일에는 흔히 방해 되는 일이 많다
유래 : 조설근이 쓴 [홍루몽]에 “옥에도 티가 있고 좋은 일에는 탈도 많다.”라는 문장에서 유래
한자풀이
好 (호) 좋다
事 (사) 일
多 (다) 많다
魔 (마) 마귀
105. 대기만성(大器晩成)
뜻 : 큰 그릇은 만드는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뜻으로 크게 될 인물은 늦게 이루어짐을 이르는 말
한자풀이
大 (대) 크다
器 (기) 그릇
晩 (만) 늦다
成 (성) 이루다
106. 살신성인(殺身成仁)
뜻 : 자신의 몸을 희생하여 어짐, 의로움을 이룸
한자풀이
殺 (살) 죽다
身 (신) 몸
成 (성) 이루다
仁 (인) 어질다
107. 천우신조(天佑神助)
뜻 : 하늘이 돕고 신령이 도움, 또는 그런 일
한자풀이
天 (천) 하늘
佑 (우) 돕다
神 (신) 귀신
助 (조) 돕다
108. 구사일생(九死一生)
뜻 : 아홉 번 죽을 뻔하다가 살아난다는 뜻으로 죽을 고비를 여러 차례 넘기고 겨우 살아남음을 이르는 말
한자풀이
九 (구) 아홉
死 (사) 죽다
一 (일) 하나
生 (생) 살다
109. 기사회생(起死回生)
뜻 : 거의 죽은 사람이 다시 살아남.
유래 : [여씨춘추]위 ‘별류편’에 노나라 사람 공손작이 반신불수를 고치는 약을 배로 늘려 죽은 사람을 살릴 수 있다고 말한 데에서 유래한 말
한자풀이
起 (기) 일어나다
死 (사) 죽다
回 (회) 돌아오다
生 (생) 살다
110. 군웅할거(群雄割據)
뜻 : 여러 영웅이 각기 한 지방씩 차지하고 위세를 부림
한자풀이
群 (군) 무리
雄 (웅) 영웅, 수컷
割 (할) 베다
據 (거) 근거
111. 중과부적(衆寡不敵)
뜻 : 적은 수효로 많은 수를 대적하지 못함.
유래 : [맹자]에 실린 말 중, 맹자가 제나라 선왕에게 “무리가 적은 것은 무리가 많은 것을 대적할 수 없으며, 약한 것은 강한 것에 패하기 마련입니다.”라고 한 데에서 유래한 말
한자풀이
衆 (중) 무리
寡 (과) 적다
不 (부) 아니다
敵 (적) 대적하다
112. 자중지란(自中之亂)
뜻 : 같은 편 사이에서 일어나는 혼란이나 난리
한자풀이
自 (자) 스스로
中 (중) 가운데
之 (지) 어조사
亂 (란) 어지럽다
113. 오합지졸(烏合之卒)
뜻 : 까마귀 데가 모인 것처럼 질서가 없이 모인 병졸이라는 뜻으로, 임시로 모여들어서 규율이 없고 무질서한 병졸 또는 군중을 이르는 말
한자풀이
烏 (오) 까마귀
合 (합) 합하다
之 (지) 어조사
卒 (졸) 군사
114. 추풍낙엽(秋風落葉)
뜻 : 가을 바람에 떨어지는 낙엽이라는 뜻으로, 어떤 형세나 세력이 갑자기 기울거나 흩어지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한자풀이
秋 (추) 가을
風 (풍) 바람
落 (락) 떨어지다
葉 (엽) 잎사귀
115. 풍비박산(風飛雹散)
뜻 : 바람에 날리고 우박처럼 이리 저리 흩어진다는 뜻으로 엉망으로 깨어져 흩어져 버림.
한자풀이
風 (풍) 바람
飛 (비) 날다
雹 (박) 우박
散 (산) 흩어지다
116. 승승장구(乘勝長驅)
뜻 : 싸움에 이긴 형세를 타고 계속 몰아침. 좋은 성과가 꾸준히 계속됨
한자풀이
乘 (승) 타다
勝 (승) 이기다
長 (장) 길다
驅 (구) 몰다
117. 유구무언(有口無言)
뜻 : 입이 있어도 말이 없다는 뜻으로 변명할 말이 없거나 변명을 못함을 이르는 말
한자풀이
有 (유) 있다
口 (구) 입
無 (무) 없다
言 (언) 말씀
118. 목불인견(目不忍見)
뜻 : 눈앞에서 벌어진 상황 따위를 눈 뜨고 차마 볼 수 없음
한자풀이
目 (목) 눈
不 (불) 아니다
忍 (인) 참다
見 (견) 보다
119. 아연실색(啞然失色)
뜻 : 뜻밖의 일에 얼굴빛이 변할 정도로 놀람
한자풀이
啞 (아) 벙어리
然 (연) 그러하다
失 (실) 잃다
色 (색) 빛
120. 십시일반(十匙一飯)
뜻 : 밥 열 술이 한 그릇이 된다는 말ㄹ로 여러 사람이 조금씩 힘을 합하면 한사람을 돕기 쉬움을 이르는 말
한자풀이
十 (십) 열
匙 (시) 숟가락
一 (일) 하나
飯 (반) 밥
121. 수수방관(袖手傍觀)
뜻 : 팔짱을 끼고 보고만 있다는 뜻으로, 간섭하거나 거들지 아니하고 그대로 버려둠을 이르는 말
한자풀이
袖 (수) 소매
手 (수) 손
傍 (방) 곁
觀 (관) 보다
122. 소문만복래(笑門萬福來)
뜻 : 웃는 문으로 만복이 들어옴. 우리말 웃으면 복이 온다는 말에 대응하는 말
한자풀이
笑 (소) 웃음
門 (문) 문
萬 (만) 일만
福 (복) 복
來 (래) 오다
123. 희희락락(喜喜樂樂)
뜻 : 매우 기뻐하고 즐거워함
한자풀이
喜 (희) 기쁘다
喜 (희) 기쁘다
樂 (락) 즐겁다
樂 (락) 즐겁다
124. 포복절도(抱腹絶倒)
뜻 : 배를 잡고 넘어진다는 뜻으로 몹시 우스워서 배를 안고 몸을 가누지 못할 만큼 웃음
한자풀이
抱 (포) 안다
腹 (복) 배
絶 (절) 끊다
倒 (도) 넘어지다
125. 박장대소(拍掌大笑)
뜻 : 손뼉을 치며 크게 웃음
한자풀이
拍 (박) 치다
掌 (장) 손바닥
大 (대) 크다
笑 (소) 웃다
126. 파안대소(破顔大笑)
뜻 : 얼굴이 찢어지도록 크게 웃는다는 뜻으로, 즐거운 표정으로 한바탕 크게 웃는 것을 이르는 말
한자풀이
破 (파) 깨다
顔 (안) 얼굴
大 (대) 크다
笑 (소) 웃다
127. 구곡간장(九曲肝腸)
뜻 : 아홉 번 구부러진 간과 창자라는 뜻으로, 시름과 한이 가득 찬 마음속을 일컫는 말
한자풀이
九 (구) 아홉
曲 (곡) 굽다
肝 (간) 간
腸 (장) 창자
128. 애이불비(哀而不悲)
뜻 : 속으로는 슬프면서도 겉으로는 슬프지 않은 체함.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마음 속의 슬픔
한자풀이
哀 (애) 슬프다
而 (이) 말 잇다
不 (불) 아니다
悲 (비) 슬프다
129. 애이불상(哀而不傷)
뜻 : 슬퍼하되 정도를 넘지 않음
유래 : [논어]에서 공자가 [시경]에 실린 작품을 보며 작품 속에 드러난 심정, 혹은 음조에 슬픔이 있으나 마음을 해칠 정도를 지나치지는 아니하다는 평에서 유래한 말
한자풀이
哀 (애) 슬프다
而 (이) 말 잇다
不 (불) 아니다
傷 (상) 해치다
130. 동병상련(同病相憐)
뜻 :
한자풀이
同 (동) 같다
病 (병) 질병
相 (상) 서로
憐 (련) 불쌍히 여기다
131. 일희일비(一喜一悲)
뜻 : 상황에 따라 좋아했다 슬퍼했다를 반복하는 모습
한자풀이
一 (일) 하나
喜 (희) 기쁘다
一 (일) 하나
悲 (비) 슬프다
132. 만시지탄(晩時之歎)
뜻 : 시기가 늦어 기회를 놓쳤음을 안타까워하는 탄식
한자풀이
晩 (만) 늦다
時 (시) 때
之 (지) 어조사
歎 (탄) 탄식하다
133. 망양지탄(望洋之歎)
뜻 : 넓은 바다를 바라보며 탄식함. 자신보다 뛰어난 사람을 보면서 자식의 부족함을 탄식하는 모습
유래 : [장자]에서 유래한 말로 강의 신 하백이 바다를 바라보면서 자신이 초라한 존재였음을 깨닫는 데에서 만들어진 말
한자풀이
望 (망) 바라다
洋 (양) 큰 바다
之 (지) 어조사
歎 (탄) 탄식하다
134. 풍수지탄(風樹之嘆)
뜻 : 나무가 바람을 탄식하다. 부모에게 효도를 하려고 생각할 때는 이미 돌아가셔서 그 뜻을 이룰 수 없음을 이르는 말
한자풀이
風 (풍) 바람
樹 (수) 나무
之 (지) 어조사
嘆 (탄) 탄식하다
100.
뜻 :
한자풀이
()
()
()
()
135. 맥수지탄(麥秀之嘆)
뜻 : 고국의 멸망을 한탄하며 이르는 말.
유래 : 기자라는 사람이 중국의 은나라가 망한 뒤에 그 터에서 보리가 잘 자라는 것을 보고 한탄하였다는데서 유래함.
한자풀이
麥 (맥) 보리
秀 (수) 빼어나다
之 (지) 어조사
嘆 (탄) 탄식하다
136. 망국지탄(亡國之歎)
뜻 : 나라가 망함에 대한 탄식
한자풀이
亡 (망) 망하다
國 (국) 나라
之 (지) 어조사
歎 (탄) 탄식하다
137. 회자정리(會者定離)
뜻 : 만나면 언젠가는 헤어지게 되어 있다는 말로, 인생의 무상함을 인간의 힘으로 어쩔 수 없는 이별의 아쉬움을 일컫는 말
한자풀이
會 (회) 모으다
者 (자) 놈, 사람
定 (정) 정하다
離 (리) 떠나다
138. 부자유친(父子有親)
뜻 : 삼강오륜의 하나로 부모는 자식에게 인자하고 자녀는 부모에게 존경과 섬김을 다하라는 말. 부모 자식 간에 친애가 있어야 함을 의미함.
한자풀이
父 (부) 아버지
子 (자) 아들
有 (유) 있다
親 (친) 친하다
139. 부위자강(父爲子綱)
뜻 : 부모와 자식 사이에 지켜야할 떳떳한 도리. 삼강오륜의 하나. 부모와 자식 사이라도 함부로 해서는 안 되고 지켜야 할 도리가 있음을 뜻함.
한자풀이
父 (부) 아버지
爲 (위) 하다
子 (자) 아들
綱 (강) 벼리
140. 사친이효(事親以孝)
뜻 : 삼국시대 때 신라의 화랑도가 지켰던 세속오계의 하나. 어버이를 섬기기를 효도로써 하라는 말
한자풀이
事 (사) 섬기다
親 (친) 친하다
以 (이) 써
孝 (효) 효도
141. 반포지효(反哺之孝)
뜻 : 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는 효도라는 뜻으로, 자식이 자라 부모님의 은혜를 갚는 효성을 이르는 말
한자풀이
反 (반) 돌이키다
哺 (포) 먹이다
之 (지) 어조사
孝 (효) 효도
142. 혼정신성(昏定晨省)
뜻 : 저역에 잠자리를 보아드리고 아침에 문안을 드린다는 뜻으로, 자식이 아침저녁으로 인사를 드리며 부모의 안위를 살피는 것
한자풀이
昏 (혼) 어둡다
定 (정) 정하다
晨 (신) 새벽
省 (성) 살피다
143. 부부유별(夫婦有別)
뜻 : 남편과 아내는 분별이 있어야 한다는 뜻으로, 부부 사이에는 인륜상 각각 직분이 있어 서로 침범하지 못할 구별이 있음
한자풀이
夫 (부) 지아비
婦 (부) 며느리
有 (유) 있다
別 (별) 다르다
144. 부위부강(夫爲婦綱)
뜻 : 삼강오륜의 하나이며 부부 사이에 지켜야할 참된 도리
한자풀이
夫 (부) 지아비
爲 (위) 하다
婦 (부) 며느리
綱 (강) 벼리(그물을 버티는 줄)
145. 부창부수(夫唱婦隨)
뜻 : 남편이 노래하고 아내가 이에 따르다. 가정에서의 부부화합의 도리를 이르는 말
한자풀이
夫 (부) 지아비
唱 (창) 노래 부르다
婦 (부) 며느리
隨 (수) 따르다
146. 거안제미(擧案齊眉)
뜻 : 밥상을 눈썹 높이로 들어 공손히 남편 앞에 가지고 간다는 뜻으로 남편을 깍듯이 대하는 것을 일컫는 말.
한자풀이
擧 (거) 들다
案 (안) 책상
齊 (제) 가지런하다
眉 (미) 눈썹
147. 조강지처(糟糠之妻)
뜻 : 가난한 살림을 함께 꾸려온 아내. 후한의 광무제가 홀로된 누님을 다시 결혼시키려고 신하 송홍에게 아내를 바꾸면 어떨까하고 묻자 송홍이 “지게미와 쌀겨를 먹으며 고생한 아내는 집에서 내보내지 않는다고 들었습니다.”라고 거절했다는 일화가 있다.
한자풀이
糟 (조) 지게미
糠 (강) 겨
之 (지) 어조사
妻 (처) 아내
148. 백년해로(百年偕老)
뜻 : 부부가 되어 서로 사이가 좋고 즐겁게 함께 늘음,
유래 : [시경]에 실려 있는 <격고>의 한 구절에서 유래한 말. <격고>는 고향을 등지고 멀리 떨어진 전쟁터에서 아내를 그리워하는 한 병사가 읊은 애절한 시이다.
한자풀이
百 (백) 일백
年 (년) 해
偕 (해) 함께
老 (로) 늙다
149. 해로동혈(偕老同穴)
뜻 : 살아서 같이 늙고 죽어서 한 무덤에 묻힌다는 뜻으로, 삶과 죽음을 같이하는 부부의 사랑을 비유적으로 일컫는 말.
한자풀이
偕 (해) 함께
老 (로) 늙다
同 (동) 같다
穴 (혈) 구멍
150. 원앙지계(鴛鴦之契)
뜻 : 원앙새와 같이 부부의 사이가 좋은 것을 일컫는 말.
한자풀이
鴛 (원) 원앙
鴦 (앙) 원앙
之 (지) 어조사
契 (계) 맺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