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미 육군, 산업계에 차세대 지휘통제망 개발을 위한 정보요청서 발행 -지휘통제
Army releases request for industry feedback on Next-Gen Command and Control
2025.1.14
미 육군이 1월 13일 육군 차세대 지휘통제(NGC2, Next Generation Command and Control) 개발을 위해 산업계에 정보요청서(Request for Information)를 발행했다. 이는 미 육군의 미래 대규모전투작전(LSCO)를 준비하면서 현세대 지휘통제 아키텍처와 체계는 부적합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며, NGC2 사업은 육군 지휘관과 부대들에 정보, 데이터, 지휘통제에 소프트웨어 기반의 기민하고 새로운 접근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육군의 계약은 NGC2에 기술을 공급하는 여러 번의 반복적, 경쟁적 기회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한 회사가 전체 목표에 해결책을 제공할 수 없다. 산업계는 육군이 발행한 NGC2 요구사항에 관련된 초안을 확인하고 피드백을 보내야 하며, 초안에는 시제품 목표상태(State Of Objective) 등이 포함된다. 미 조달청 홈페이지 정보요청서에 따르면 NGC2에 필요한 특성은 개방형 아키텍처 반영, 비독점 API*에 의존하는 일련의 독립적 계층(layer), API가 지원하는 각 층의 인터페이스와 연결이다. 모든 층에서 NGC2 환경은 데이터 조직화를 최적화하고, 지휘관의 정보 요구사항에 맞춤화된 자원 할당으로 전술적 우위를 제공한다. 정보요청서의 제출 기한은 1월 말까지로 계획되어 있다.
https://defensescoop.com/2025/01/14/army-rfi-next-gen-command-and-control-ngc2-request-industry-feedback/
https://sam.gov/opp/10c31559b223416b9cd1d6271edc5e6d/view
2. 미 해병대, 생성형 AI 사용에 대한 군령 발표 -AI
‘Distrust and verify’: Marines warily embrace generative AI with new guidance, task forces
2025.1.10
미 해병대가 2024년 12월 4일 생성형 AI(Generative AI) 기술 사용에 관한 명령을 발령했다. '해군/해병대 명령 5239.1호(Instruction NAVMC 5239.1)'는 생성형 AI 도구의 잠재 위험과 이익의 균형을 맞추는 거버넌스 방식을 개발하는 것을 권장한다. 명령에는 지휘관들이 생성형 AI를 안전하고 책임감있게 활용하기 위해 할 일 목록이 있다. 첫 번째 할 일은 작업에 생성형 AI를 적용할 때 시스템 소유자, 개발자, 사용자를 식별할 것이다. 이는 중계기업들이 생성형 AI 기능을 제공한다며 단순히 질문을 타 플랫폼에 보내어 답변을 재포장하는 방식으로 활동하며 보안 위험을 일으킨 사례가 많기 때문이다. 두 번째로는 시스템 소유자, 개발자, 사용자가 모두 적절한 위험평가체계를 사용할 것이다. 이러한 체계에는 미 국방부의 책임 인공지능도구키트(DoD Responsible AI Toolkit) 등이 포함된다. 세 번째는 지휘관들이 인공지능 도구를 추적 관리하고, 어떤 것들이 개발되며, 어떻게 미 국방부 인공지능 윤리강령에 따라 사용되는지 확인할 것이다. 이외에도 생성형 AI도구가 어떤 특정 목적에 유용한지 밝힐 특수임무대의 창설 등이 명령에 포함되어 있다.
https://breakingdefense.com/2025/01/distrust-and-verify-marines-warily-embrace-generative-ai-with-new-guidance-task-forces/
3. 영국 국방과학기술연구소, 높은 정확도의 군용 양자시계 개발 -첨단
Top secret lab develops atomic clock using quantum technology
2025.1.2
영국 국방과학기술연구소(Dstl)에서 정교한 시간 측정을 제공하는 군용 양자시계(quantum clock)를 개발했다. 해당 시계는 수십억년에 1초 오차가 발생하는 수준의 정교함을 자랑하며, 연구를 통해 소형화와 대량생산이 가능해지면 5년 이내로 군사 응용분야에 적용될 예정이다. 양자시계는 정밀하면서 독립적 항법체계를 구현하여 전파방해나 GPS거부 상황에서 위성에 대한 의존도를 줄여주며, 동기화된 시간유지(Synchronized Timekeeping)에 의존하는 비화 군용네트워크 등 통신체계를 보호해준다. 또한 정확한 시간에 궤적을 계산하고 공격을 조율해야 하는 유도미사일 등 타격체계의 정확성을 향상해주며, 사이버전 등 1밀리초가 승부를 가르는, 시간이 중요한 작전에서 우위를 제공한다. 해당 시계는 '고급 타이밍 장비 시연(DATA, Demonstration of Advanced Timing Apparatus)' 시험에 따라 성능과 한계를 실험 받고 있으며 실험실 외부 환경 시험을 거쳤다. 연구에는 인플렉션(Infleqtion) 등 양자산업 파트너와 영국 해군 최고기술책임자실, 육군 전투연구소(Battlelab) 등이 참여하고 있으며 영국 국방부는 2800만 파운드(500억 원)을 Dstl을 통해 투자할 계획이다.
https://www.gov.uk/government/news/top-secret-lab-develops-atomic-clock-using-quantum-technology
4. 중국군, 험난한 지형에서 운용이 가능한 이동식 군용 5G 통신체계 공개 -지휘통제
China Unveils First Military 5G System Capable of Operating in Complex Terrains.
2025.1.7
중국군이 험난한 지형에서 운용이 가능한 세계 최초의 이동식 군용 5G 통신체계를 공개했다. 해당 체계는 차이나모바일커뮤니케이션그룹(CMCG)와 중국군이 협업하여 개발하였으며, 3km 반경 이내의 10,000개 이상 군용 로봇을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기능은 무인무기가 점차 통합되고 있는 현대전에 핵심 역할을 할 수 있다. 체계는 최소한의 지연으로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하며, 중국군이 최대 80km/h로 산맥과 도심지역 등 복잡한 지형에서 기동할 때도 작동이 가능하다. 전자기 전파방해 공격 하에서도 회복성을 보여주었으며 15밀리초 이하 지연으로 안정적 통신을 제공한다. 지상 기반 기지국이나 위성 신호에 의존하지 않고 군용 차량 기반으로 효과적으로 작동한다는 점은 해당 체계의 최대 장점이다. 체계 개발을 담당한 중국군 31567 부대(Unit 31567) 공학자는 통신체계가 다수의 시험을 성공적으로 통과하여, 연결 끊김과 느린 전송속도 문제를 극복하고 신뢰성, 실전 배치를 담보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신형 통신체계는 중국이 세계 최대 규모의 로봇 부대를 운용할 수 있게 만들어줄 것으로 보인다.
https://armyrecognition.com/news/army-news/2025/china-unveils-first-military-5g-system-capable-of-operating-in-complex-terrains
5. 미 공군, 적성 대공미사일체계 개발에 대한 우려 발표 -방호
Air Force Predicts Enemy Anti-Air Missiles With 1,000-Mile Range By 2050
2025.1.14
https://www.twz.com/air/air-force-predicts-enemy-anti-air-missiles-with-1000-mile-range-by-2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