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영국 독일 뉴질랜드와 함께 4대 조림 성공국가라고 합니다.
세계가 주목하는 기적같은 역사는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졌고
오늘 날 우거진 산을 보며 그 시절 꿀샘식물을 1/10만 심었더라면
오늘날 세계적인 자원부국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그 시절
산림녹화의 비전을 가지신 박정희 대통령과
치밀한 추진계획을 세운 고건 총리와
세계적 식물육종학자 현신규박사님께서
꿀샘식물에 대한 지식이 있었더라면 하는 생각을 합니다.
이제 대통령 선거가 다가옵니다.
주요 꿀샘식물 심는 일이 정책으로 채택되기를 바랍니다.
주요 꿀샘식물 꽃피는 시기를 전체공지로 올리며
박대통령의 녹화사업 일지 요약을 올립니다.
2007년도에 결성되었던 국토밀원화운동본부는
본부장으로 추대드렸던 조상균님이 고인이 되셨습니다.
성금과 그 기록 갖고 계시는 분은 누구인지 모릅니다.
뜻 있는 분들
선거켐프에서 정책으로 채택되도록 하시기를 바랍니다. (한결)
박정희 대통령의 산림녹화 사업
문재인 대통령은 "1946년 정부가 수립도 되기 전에 4월 5일을 식목일로 정했고, 1949년부터는 아예 식목일에는 나무만 심고 다른 일은 하지 말자 그래서 아예 식목일을 공휴일로 정했다" "그 결과 일제강점기 시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황폐화됐던 민둥산들을 빠른 시일내에 아주 푸르게 녹화된 산림으로 바꿔내는 데 성공한 세계에서 유일한 나라"라고 평가했다. (2020.04.05. 강원도 강릉 식목일 행사에서)
박정희 대통령은 1967년 산림의 육성과 보호를 위해 산림청을 개청하고 전국 산림녹화 사업을 대대적으로 추진한다. 1984년 임업 통계 요람에 따르면 남한 전체 임목 면적의 84%가 20년생 이하로 박대통령 시대에 심어진 것이다.
1982년 식량농업기구(FAO)는 한국을 "2차 세계대전 이후 산림 복구에 성공한 유일한 나라"라고 평가했고, 우리나라의 산림 면적은 국토의 63.2%로 OECD 국가 중 핀란드(73.1%), 일본(68.5%), 스웨덴(68.4%)에 이어 4번째이다.
1965.04.01. 치산녹화 7개년 계획 확정
1965.06.30. 수자원종합개발 10개년계획 수립
1966.04.23. 화전정리에 관한 법률 제정(법률 제1778호)
1966.12.27. 산림청직제 제정(대통령령 2843호) 농림부 산하에 산림청 설치
1967.01.09. 농림국 산림국에서 산림청으로 개청
1967.02.10. 대도시 그린벨트 설정 공포
1967.03.30. 조수보호 및 수렵에 관한 법률 제정
1967.12.29. 지리산국립공원 지정
1968.09.23. 수계별 산림종합복구계획 수립, 낙동강·한강·섬진강·영산강·태화강
1968.11.21. 산림청, 5년간 산림조사 및 3강 유역개발 착수
1968.12.31. 경주·계룡산·한려해상 국립공원 지정
1970.03.14. 대단지 조림계획 수립, 14개 단지 3,200ha 용재림단지 조성
전국 14개 대단지는, 1단지 (포천·가평) 2단지 (홍천·원성) 3단지 (평창·정선) 4단지 (명주·삼척) 5단지 (단양·제천) 6단지 (보은·옥천) 7단지 (공주·청양) 8단지 (영주·봉화) 9단지 (울진·영덕) 10단지 (무주·진안·장수) 11단지 (임실·순창) 12단지 (승주·보성) 13단지 (함양·산청) 14단지 (밀양·양산) 등이었다
1968.03. 12단지 (승주·보성 지구) 식재
1970.03.24. 설악산·속리산·한라산 국립공원 지정
1970.12.17. 4대강 유역 종합개발 계획 수립
1971.03.11. 통일동산 만들기 운동 전개(1971~1973) 완료(1973.12.31)
1971.05.31. 산림해충방제 범국민운동 전개
1971.07.30. 수도권 개발제한지역(그린벨트) 지정
1971.09.07. 국토종합개발계획 확정
1971.11.17. 내장산 국립공원 지정
1972.08.07. 부산 그린벨트 지정
1972.10.13. 가야산 국립공원 지정
1972.12.30. 영일지구 한일 항공로 집단황폐지 녹화사업 착수, 완료(1977.12.24)
1972.12.30. 산림 개발법 제정 및 공포(법률 제2432호)
1973.03.08. 제주도 그린벨트 지정
1973.03.10. 제1차 치산녹화 10개년 계획 발표, 6년 만에 완료(1978.12.30) 전국의 100만ha 산지에 나무 21억3200만 그루 심고 화전민 20만3000가구를 이주, 계획 100만ha 조림 -> 실적 108만ha 조림
1973.06.30. 화전 정리 사업
1973.12.31. 농촌 임산연료채취 확립
1973.12.31. 통일동산 조성사업 완료(1967㏊, 1,100개소)
1974.~1986. 대관령 특수조림 성공(311ha)
1974.02.18. 전국 산림3대 개발권화 설정, 용재림개발권·풍치림개발권·농용림개발권
1974.07.31. 녹화사업에 관한 한·독간 약정 체결
1974.12.11. 산림병해충 방제대책과 화전정리사무지침 제정
1975.02.01. 덕유산·오대산 국립공원 지정
1975.03.15. 훼손임지복구요령 제정
1976.04.16. 보안림관리요령 제정(예규 제125호)
1976.09.24. 연료림관리요령 제정(예규 제135호)
1976.12.30. 솔잎혹파리 천적보호구 설정
1976.03.30. 주왕산 국립공원 지정
1977.08.26. 임지훼손허가 및 복구요령 제정
1977.09.20. 임업연수원(산림교육원) 신설
1977.10.24. 육림의 날 제정 및 행사 실시(대통령령 8734호)
1977.12.24. 영일지구 한일 항공로 집단황폐지 녹화사업 완료(4,538ha), 착수(1972.12.30)
1978.12.30. 제1차 치산녹화 10년 계획 목표 달성
1978.10.20. 태안해안 국립공원 지정
1979.01.01. 제2차 치산녹화 10년 계획 수립(1979~1988)
황폐한 한국의 산
1960년대 구파발 일대의 산림모습
1963년도 경기도 여주 이천
경기도 이천의 황폐한 산
1967.01.09. 산림청 개청
1973년 치산녹화 10개년 계획 발표
1960년대 사방공사 현장
첫댓글 지금 선거운동 하시지요?
정치 종교 외설 비방은 우리 카페의 금기사항입니다.
@한결 (예천) 죄송합니다
나는 옛 정부와 현정부가 내용에 들어있어서 지금은 시기가 시기인지라 느낌이 달라집니다.
하지만 양봉인의 한사람으로 밀원운동에는 동감합니다
@형남
자료를 그냥 옮기다 보니 두 정부를 비교하는 듯한 말이 들어갔습니다.
앞으로 잘 살피겠습니다.
지금이라도화분수를심어야.........
녹화사업 자료를 보면서 너무 아쉬웠습니다.
지금이라도 10대 밀원식물 심기 운동을 전개하고 싶습니다.
소나무위주로 심었는데 그것도 그런데 숲가꾸기하면서 소나무외는 다베버리니 밀원이 말랐다면 ...
그것이 참 문제입니다. 1핵터 단위로 꿀샘식물을 집단화 시키는 방법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한결 (예천) 아 그렇군요
제가 살던 지역은 헐벗은 산에 산림 녹화라는 슬로건으로 아까시나무와 싸리나무를 주로 심었답니다.
그래도 사방 사업에 동참했던 기억이 자부심을 느낍니다.
물론 일당은 받았지요.
그 당시 소나무는 우리 지역에는 나오지 않았던 것 같아요.
또한 밤나무를 심어 마을 공동으로 관리하기도 했답니다.
밀원 식물의 식재는 우리양봉사업가들의 의무라고 생각합니다.
유휴지에 단년생 초화류 뿌리고 산야에는 밀원수를 심고 말이죠.
저는 올해 봄과 가을에 560주의 밀원수를 심거나 가식해두었답니다.
혹시 나무구입이 부담되시면 인근 양봉조합원들께 주문부탁하시면 주당 200원에서 400원에 공급한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밀원수 심는 일은 양봉인들의 의무이지요. 양봉법 10조에도 규정되었습니다.
밀원조성은 국가적 정책으로 추진해야 된다고 보고 있습니다.
@한결 (예천) 관심주셔서 감사합니다.
선생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