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 기도)
주님,
유한한 인생들이지만,
오직 주님만을 의지하는 자는 주님께서 손목 꼭 잡아주실 줄 믿습니다.
말씀 앞에 나아갑니다.
어리석고 미련한 생각을 십자가에 못 박습니다.
주님의 보혈로 덮어주옵소서.
정결한 마음과 정직한 영이 되게 하옵소서.
성령님, 인도하여 주옵소서.
예수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본문)
1. 너는 내일 일을 자랑하지 말라 하루 동안에 무슨 일이 일어날는지 네가 알 수 없음이니라
2. 타인이 너를 칭찬하게 하고 네 입으로는 하지 말며 외인이 너를 칭찬하게 하고 네 입술로는 하지 말지니라
3. 돌은 무겁고 모래도 가볍지 아니하거니와 미련한 자의 분노는 이 둘보다 무거우니라
4. 분은 잔인하고 노는 창수 같거니와 투기 앞에야 누가 서리요
5. 면책은 숨은 사랑보다 나으니라
6. 친구의 아픈 책망은 충직으로 말미암는 것이나 원수의 잦은 입맞춤은 거짓에서 난 것이니라
7. 배부른 자는 꿀이라도 싫어하고 주린 자에게는 쓴 것이라도 다니라
8. 고향을 떠나 유리하는 사람은 보금자리를 떠나 떠도는 새와 같으니라
9. 기름과 향이 사람의 마음을 즐겁게 하나니 친구의 충성된 권고가 이와 같이 아름다우니라
10. 네 친구와 네 아비의 친구를 버리지 말며 네 환난 날에 형제의 집에 들어가지 말지어다 가까운 이웃이 먼 형제보다 나으니라
11. 내 아들아 지혜를 얻고 내 마음을 기쁘게 하라 그리하면 나를 비방하는 자에게 내가 대답할 수 있으리라
12. 슬기로운 자는 재앙을 보면 숨어 피하여도 어리석은 자들은 나가다가 해를 받느니라
(본문 주해)
1~2절 : “내일 일을 자랑하지 말아라. 하루 사이에 무슨 일이 생길지 알 수 없다.
네가 너를 칭찬하지 말고, 남이 너를 칭찬하게 하여라. 칭찬은 남이 하여 주는 것이지, 자기의 입으로 하는 것이 아니다.”(새번역)
모든 인생은 내일을 꿈꾸며 살아간다.
그러나 성경에서는 내일에 대한 생각과 계획들이 어떻게 무너지는지 말씀한다.
“들으라 너희 중에 말하기를 오늘이나 내일이나 우리가 어떤 도시에 가서 거기서 일 년을 머물며 장사하여 이익을 보리라 하는 자들아 내일 일을 너희가 알지 못하는도다 너희 생명이 무엇이냐 너희는 잠깐 보이다가 없어지는 안개니라 너희가 도리어 말하기를 주의 뜻이면 우리가 살기도 하고 이것이나 저것을 하리라 할 것이거늘 이제도 너희가 허탄한 자랑을 하니 그러한 자랑은 다 악한 것이라”(약4:13~16)
우리는 내일에 대하여 자랑할 것도 없고 내일에 대하여 염려할 것도 없다.
오늘 여기서 주와 함께 사는 것, 이것이 천국을 맛보며 누리며 사는 것이다.
3~4절 : “돌도 무겁고 모래도 무겁지만, 바보가 주는 모욕은 이것보다 더 무겁다.
분노는 잔인하고 화는 사람을 삼키지만, 질투처럼 파괴적이지는 않다.”(쉬운 성경)
타락한 인간은 자기를 중심으로 선악을 판단하기에 자기 뜻대로 되지 않으면 언제나 화를 낸다. 그처럼 자신이 언제나 옳다고 여기기기에 돌과 모래보다 더 무거운 것이 미련한 자의 분노인 것이다.
이러한 미련한 자가 질투를 하면 분노의 잔인함과 진노가 홍수처럼 밀려오는 것보다 더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런 인간들이 가득하게 사는 세상은 늘 분노와 질투가 끊어질 날이 없는 것이다.
5~6절 : “드러내 놓고 꾸짖는 것이, 숨은 사랑보다 낫다.
친구의 책망은 아파도 진심에서 나오지만, 원수의 입맞춤은 거짓에서 나온다.”(새번역)
면책(面責)이라는 말은 대면한 자리에서 책망을 하는 것이다. 이것이 숨은 사랑보다 낫다고 한다. 면책을 받을 때는 비록 아프지만 친구의 그 책망이 진심에서 나온다면 아파도 좋은 것이다.
그러나 원수의 입맞춤은 진심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거짓에서 나오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람이 분노할 때에 옳다는 동조를 받으면 분노하는 자가 좋아할 것이지만, 면책을 받으면 서로 원수가 될 것이다.
그러나 그 면책을 받아들인다면 그 사람은 미련한 자가 아니라 지혜로운 자이다.
7절 : “배부른 사람은 꿀도 지겨워하지만, 배고픈 사람은 쓴 것도 달게 먹는다.”(새번역)
이 말씀은 ‘시장이 반찬’이라는 교훈을 주기 위한 것이 아니다.
분노와 질투를 책망하는 것과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지금 분노하는 자에게 책망할 때에 자신을 의롭다고 여기는 자(배 부른 자)는 결코 책망을 받아들이지 않는. 그러나 자신이 정말로 죄인임을 아는 사람(배고픈 사람들)은 책망도 달게 받아들일 것이다.
8~10절 : “고향을 잃고 떠도는 사람은, 둥지를 잃고 떠도는 새와 같다.
향유와 향료가 마음을 즐겁게 하듯이, 친구의 다정한 충고가 그와 같다.
너의 친구나 너의 아버지의 친구를 저버리지 말아라. 네가 어렵다고 친척의 집을 찾아 다니지 말아라. 가까운 이웃이 먼 친척보다 낫다.”(새번역)
고향을 떠난 자는 면책해 줄 사람이 없다.
하지만 친구의 충성된 권고가 있는 사람은 기름과 향이 사람의 마음을 즐겁게 하는 것과 같이 즐거운 것이다.
그러므로 네 친구와 네 아비의 친구를 버리지 말라고 한다. 이들은 권면하고 충고해주는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환난 날에 형제보다 가까운 이웃이 낫다는 것은 가까운 이웃이 피붙이보다 나을 때가 있다는 것이다.
예수 그리스도의 살과 피를 나눈 자들은 혈육의 관계가 아니라, 영원한 생명의 관계이다. 그래서 성도는 서로 권면하고 서로 가르치는 관계이다. 만약 인간관계가 싫어서 교회에 나오지 않는다면 그것은 둥지를 잃은 새와 같다.
11~12절 : “아들아, 부디 지혜를 깨쳐 내 마음을 기쁘게 해다오. 그래야 나를 비웃는 자에게 할 말이 있다.
영리한 사람은 불길한 일을 보고 숨지만 철부지는 제 발로 걸어 들어가 화를 입는다.”(공동번역)
지혜의 책망을 받아들이는 사람은 지혜의 아들이요, 슬기로운 사람이다.
이러한 말씀의 책망을 받지 않고 오히려 분노하는 자는 늘 자신이 옳다고 여기기에 고집을 피우다가 해를 받게 되는 것이다.
(나의 묵상)
“면책(面責)은 숨은 사랑보다 나으니라”(5절)
대면하여 책망해 줄 친구가 있다는 것은 참 복된 일이다.
세상 친구가 아니라, 영적 친구로서.....
그런데 이것이 참 어렵다는 것을 느낀다.
잘못하면 상처 준다고 오해받기도 하고, 사랑이 없는 자로 도로 판단받기 십상이기 때문이다.
인간이 연구해 낸 ‘상담학’ 등에서 쉽게 들을 수 있는 이론-같은 마음이 되어 부드러운 말로 위로하고 상대의 말을 들어주는 것-같은 것은 얼마든지 할 수 있지만, ‘책망’이나 ‘충고’는 참 어렵다.
최근에 나는 친구에게 해 줄 말이 있었다.
그런데 하지 못했다.
이유는 두 가지였다.
하나는 친구가 그것을 받아들일 상황이 아니었고, 다른 하나는 나 자신이 욥의 세 친구처럼 잘 알지도 못하면서 떠드는 자가 아닐까 싶어서였다.
친구와 나는 다 불완전한 존재이다.
자존심 때문에 받아들이지 못하는 친구나 다 알지도 못하면서 뭐라고 조언을 한다는 나나 다 온전치 못한 존재라는 사실이다.
입으로는 사랑한다고 하지만, 나와 같은 이유로 친구에게 입을 떼지 못하는 경우가 얼마나 많을까?
오래 전에 이런 일도 있었다.
어느 날 남편에게 나 스스로가 참 한심하다는 이야기를 했다.(나는 남편에게 내 잘못이나 부끄러운 일들을 잘 이야기하는 편이다.)
그런데 그때 남편이 나를 위로해 주기는커녕, 내가 한 말에 그대로 동조하는 것이 아닌가?
직역하자면 ‘네가 그런 줄 몰랐냐?’는 식이었다.
한심한 나는 남편에게 더 분노했다.
스스로 겸손한 척했지만 여전히 자기의가 가득한 내 밑마음은 반성이라기보다 위로를 받기를 원했던 심리 상태였던 것이다. 눈치없고 솔직한(?) 남편은 나를 ‘아주 작게 면책한 것’이었는데 나는 분노하고 또 너무너무 실망하였다.
생각해 보니 내게 면책을 해도 섭섭하지 않는 친구는 예수님뿐이라는 것....그리고 나는 그 누구에게도 면책할 자격이 없다는 사실.......
매일 말씀 앞으로 나아가는 것은 매일 주님께 면책받는 일이다.
왜냐 하면 숨을 쉬는 것만큼 어리석고 미련한 짓을 많이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 면책에 분노하거나 절망하지 않는다.
말씀의 빛 속에서 부유하는 나의 더러움과 연약함을 보여 주시는 것에 그치지 않고, 주님의 보혈로 다 덮어주심을 경험하니 오히려 기쁨이 회복되고 힘을 얻게 되는 것이다.
주님을 날 구원하셔서 주님과 교제하며 살게 하여 주시고,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에 이르도록 내 삶을 이루는 중이시라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 이 완전하신 분이 나의 친구란다.
“날 구원하신 예수는 참 좋은 나의 친구!” (요15:15, 찬90장 3절)
(묵상 기도)
주님,
자존심과 자기의로 늘 분노가 넘치는 자,
늘 자신이 옳다고 고집피우던 존재입니다.
이런 자를 구원하여 주시고, 주님의 친구로 삼아주셔서
날마다 면책하여 주시니 정말 참사랑을 받는 자입니다.
주님의 그 사랑에
마음과 몸이 반응하며 살게 하옵소서.
성령님, 인도하여 주옵소서.
예수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